Browse > Article

An Analysis of Private Learning Expenses of Young Childre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Suh, MoonHee (육아정책연구소)
Yang, MiSun (육아정책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9, no.3, 2013 , pp. 189-20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current situations and factors related to private learning expenses. A household survey involv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976 households and 1,648 3-5 year old children was conducted. The questionnaire was compris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nvestigated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parents. The second part inquired as to the type and cost of private education, during the month of June, 2012.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First, 86.7% of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used private learning. Second, private learning expenses were estimated to be 129,700 Won for 3~5 year old children. And older children and children from higher income and full-time homemaker families used more private learning. Thirds, Income and the child's age affected private learning expenses. Policy measur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as follows: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Strong support for national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pecial programs is needed.
Keywords
private learning; private learning expens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이주 (2007). 미취학 아동의 사교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감과 관련요인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315-331.
2 교육인적자원부(2001). 2000년도 사교육비(과외비) 실태 조사.
3 김선희 (1997). 사교육 유발요인과 사교육비 경감방안. 소비자문제연구, 19, 29-53.
4 김승권 (2009). 2009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김일혁, 김영원, 남수경, 김현철, 이수정, 성태제 (2007). 사교육비 조사 방법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6 김지경 (2004). 미취학 자녀의 사교육 이용여부 및 비용의 결정요인. 한국소비자학회지, 15(3), 67-86.
7 도현심, 박보경, 김수진, 조숙인 (2009). 아동의 연령, 가정의 경제사회적 수준 및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유아기 및 학령기 아동 대상 사교육의 실태. 한국아동학회지, 30(4), 135-154.
8 박지연 (2004). 부모의 SES에 따른 유아 사교육 실태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백혜정, 김현신, 우남희 (2005). 조기사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43(12), 23-43.
10 서금택(2004). 유아 사교육의 실태 및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전남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서문희, 김은설, 최진, 안재진, 최혜선, 김유경, 조애저 (2009).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12 서문희, 조애저, 김유경, 최은영, 박지혜, 최진원 (2004). 2004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여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서유현 (2006). 아동발달과 뇌발달의 이해.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건강한 아동, 건강한 뇌, 3-12.
14 송점준 (2008). 유치원 시기의 특별 활동에 관한 실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송정, 양정선, 차성현, 정연주 (2011). 경기도 영유아 사교육 실태 조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16 신의진 (2001). 과잉조기학습이 어린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어린이교육협회, 춘계회원연수 자료집. 25-29.
17 우남희 (2002). 한국의 조기교육의 허와 실.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조기교육의 현황과 과제. 5-24.
18 우남희, 김유미, 신은수 (2009). 조기교육/사교육. 한국아동학회지, 30(6), 249-265.
19 이경선, 김주후 (2010). 유아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가구특성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1-38.
20 이기숙, 정영희, 정미라, 홍용희 (2002). 유치원에서의 특별활동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아동학회지, 23(4), 137-152.
21 이미화, 김은영 (2007). 보육시설 특별활동 운영실태 보고. 육아정책연구소.
22 차성현, 김순남, 김지경, 박선욱, 전경원, 민병철, 최보윤 (2010). 유아 사교육 실태 및 영향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3 천세영(2001). 교육비 개념 및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국제비교의 관점. 교육재정경제연구, 10(1). 221-250.
24 최광희.이연승(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특별활동교육의 실태 및 바람직한 방향. 경성대학교 인문과학논총, 11(1), 49-74.
25 통계청 (2010). 인구주택 총조사.
26 통계청 (2011). 2011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 2012. 2.16.일자 보도자료.
27 통계청 (2012). 가계동향조사.
28 홍은자 (2001). 어머니의 성취압력과 학원, 학습지 이용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황혜정 (2006).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9(1). 193-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