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토문헌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출토문헌에 보이는 『논어(論語)』 고찰 - 정주(定州) 한묘(漢墓)와 돈황(敦煌)에서 발견된 『논어(論語)』 「술이(述而)」편을 중심으로 -

  • Park, Jae-Bok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36
    • /
    • pp.135-161
    • /
    • 2009
  • "논어"는 진시황(秦始皇)의 "분서갱유(焚書坑儒)"로 크게 손실되었다가 한대(漢代)에 이르러 크게 "노론(魯論)", "제론(齊論)", "고론(古論)" 등 3개의 다른 판본이 출현하였다. "노론(魯論)"과 "제론(齊論)"은 각기 다른 사승관계에 의해 전수되어 오다 장우(張禹)에 의해 두 본이 하나로 합쳐지게 되었고, 이후 세상에서 널리 읽혀지게 되었다. 20세기(世紀) 말, 돈황(敦煌)과 토노번(吐魯番)에서 수많은 당사본(唐寫本)들이 발견되었는데, 그 중에 정현(鄭玄)의 "논어주(論語注)"와 하안(何晏)의 "논어집해(論語集解)"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1973년 서한(西漢) 중산(中山) 회왕(懷王) 유수(劉修)의 무덤에서도 죽간(竹簡)에 쓰여진 "논어(論語)"가 출토되었다. 본고에서는 현재 "논어" 판본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속하는 이들 3개의 출토문헌 자료와 전래본인 주자(朱子)의 "논어집주(論語集注)"의 비교를 통하여 한위(漢魏)시기 이래로 여러 "논어"본들이 정리되어가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파생된 제반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여러 판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살펴볼 수 있었고, 또한 한나라 이후 꾸준히 논란이 되어 왔던 내용과 이를 바탕으로 전래본에서 수정 보완된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기존 한국의 "논어" 연구는 후대의 전래본을 중심으로 그 철학적인 사상을 분석하는데 편중되어 왔다. 이들 연구는 상당부분 후대에 가미된 글자와 내용을 논어의 원문으로 오인하고, 이를 통해 추론해 낸 결론들도 원래의 사실과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20세기 이래로, 고고학적 발굴 성과에 힘입어 지하에서 출토되는 새로운 자료들에 대해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 출토되는 간독(簡牘)자료에 수많은 경전관련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일차 자료들을 정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경학, 철학, 역사적인 의미 등을 추론해 낸다면 좀 더 근본적으로 고대사회의 정신문명을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방향에서 "논어" 연구의 올바른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적 작업으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신라시대 섬유직물의 분석고찰 -천마총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육영수;김상용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9 no.1
    • /
    • pp.4-14
    • /
    • 1976
  • 천마총출토유물의 직물류 20여편을 화학적 및 물리적 시험분석을 통하여 그 사용섬유, 직물의 밀도, 구성계의 섬도, 조직, 염색상태등을 조사하므로서 그 직물의 신라시대 당시의 명칭 또는 품질의 정도와 염색기술등을 추정하여 문헌상의 기술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Conservation Treatment and Scientific Analysis of the Jade Excavated from the First Buried Place of King Jung-jo (정조(正祖) 초장지(初葬地) 출토 옥의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 Lee, Tae-jong;Oh, Jung-hyeon;Kim, Sa-dug;Lee, Jung-mi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4
    • /
    • pp.160-173
    • /
    • 2013
  •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precise character of relics based on literature search and material analysis of the jade excavated from the first buried place of King Jung-jo, and to assess the level of damage through non-destructive diagnosis. Furthermore,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was used to restore the original shape of the excavated jade. According to literature search, the excavated jade is known to be jasper, but material analysis showed that it was as a serpentine with the mineral composition of antigorite. Infrared thermography analysis to assess deterioration showed that the internal damage is the result of the interstices developed along the boundary surface of the obtained jade.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damaged area on the surface, the jade was filled with a mixture of plaster and glue, and covered with a mixture of acrylic paint and gloss medium for protection, and color was adjusted.

돈황권자(敦煌卷子) "일명구방(佚名灸方)"고(考) - 돈황에서 출토된 "일명구방"에 대한 고찰

  • 황룡상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21 no.3
    • /
    • pp.37-42
    • /
    • 2008
  • 이 논문은 중국의 돈황(敦煌)에서 출토된 문서번호 S.6168, S.6262의 명칭, 년대, 내용, 학술원류 및 학술가치에 대하여 심도 있게 고찰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돈황에서 출토된 위 번호의 문서 가운데 일부분의 내용은 전형적인 구방(灸方)이며, 나머지 부분은 완전히 수혈(수혈)에 관한 내용이며, 아마 두 종류의 다른 서적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 가운데에서 구방(灸方)의 부분은 당(唐) 손사막(孫思邈)의 "천금익방(千金翼方)"에만 겨우 보이는데, 원서의 이름은 자세하지 않고 원서의 저작 년대는 당대(唐代) 초기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돈황에서 출토된 파손된 서적 가운데 위의 구방(灸方)이 원서에서 직접 수록한 것인지, 아니면 "천금익방"에서 간접적으로 수록한 것인지에 대하여는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파손된 서적 가운데는 구방(灸方)이 없고 단순한 수혈(腧穴)의 내용만이 있어, 당 손사막의 "천금요방"과 "천금익방"과는 구별되어져 보이며, 원서의 이름이 자세하지 않지만 당대(唐代) 이전에 책이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돈황에서 출토된 파손된 문서의 내용은 직접 원서에서 수록한 듯하며, "천금요방"이나 "천금익방"에서 전록된 것 같지는 않다. 둘째,돈황에서 출토된 파손된 문서에는 취혈도(取穴圖)가 붙어 있고 아울러 혈명과 부위에 관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경맥혈(經脈穴)'의 판단과 이해에 있어 '동명이혈(同名異穴)'과 '이명동혈(異名同穴)'의 고찰에 있어 지금까지 세상에 전해져서 존재하는 그 어떤 문헌도 대체할 수 없는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 PDF

몽골 요선오자의 구조적 특징 - 내몽고 명수묘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

  • 김문숙
    • Proceedings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77-80
    • /
    • 2004
  • 요선오자란 의(衣)와 상(裳)으로 구성되어 있고 허리에 여러 줄의 요선(腰線)이 장식되어 있는 독특한 형태의 포(袍를)를 지칭한다. 이러한 특징적인 형태를 지닌 요선오자는 원대(元代) 문헌부터 그 명칭이 등장하고 각종 회화자료에서도 몽골인들이 착용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복식유물도 이 시기부터 출토되어 중세 몽골인에 의해 착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중략)

  • PDF

조선시대 철릭의 바느질법 연구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 박물관 소장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금종숙;고부자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25-26
    • /
    • 2003
  • 본 연구는 고려중기이후부터 조선시대에 왕이하 서인에 이르기까지 착용하였던 철릭에 대한 것이다. 철릭의 형태는 상하가 연결되고 허리에 주름이 잡혀 있으며, 소매는 단추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구는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착장자의 신분과 용도를 살피고,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에 소장된 출토유물 중 측정이 가능한 68점을 실측하여 바느질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중략)

  • PDF

Experimental Reproduction of Cosmetic Powders Excavated from the Tomb of Princess Hwahyup (화협옹주묘 출토 화장분의 재현연구)

  • Lee, Min Hye;Lee, Han Hyoung;Chung, Yong Jae;Lee, Chae Hoon;Baek, Woon Ki;Kim, Hyoyu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6 no.3
    • /
    • pp.187-196
    • /
    • 2020
  • In this study, we tried to reproduce some of the cosmetics from the Joseon period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of the cosmetics excavated from the tomb of Princess Hwahyup. The two cosmetic powders, the white powder consisting of lead(II) carbonate and talc and the cinnabar-based red powder, wer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records from the 6th to the 19th centuries. We also studied the degradation profiles of these reproduced samples by comparison of XRD patterns. Basic lead carbonate of the reproduced white powder turned into lead(II) carbonate, while the reproduced red powder showed different crystalline structure from the excavated cosmetics even after the degradation. Results of the evaluation tests showed that these reproduced cosmetics fell short of the standards set for the modern-day cosmetics, but based on their mixing ratio, the spreadability and oil absorption capacity of some samples of the reproduced white powder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modern cosmetics.

Component Analysis and Reproduction of a Brown Solid Cosmetic Excavated from Tomb of Princess Hwahyeop (화협옹주 출토 화장품(갈색 고체) 성분 분석 및 재현연구)

  • Lee, Chaehoon;You, Song-e;Lee, Hanhyoung;Kim, Hyoyun;Kim, Seongmi;Chung, Yongjae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6 no.5
    • /
    • pp.430-439
    • /
    • 2020
  •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solid brown cosmetic residues that were excavated from the tomb of the Hwahyeop princess. The cosmetics had been buried in 1752 in Cheonghwa Baekja (small porcelain jars) within a Huigwakham (a stone box sealed with lime). A literature search and chemical analyses of the relics were conducte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reproduction of the cosmetic were selected and then cream-form cosmetics were prepared. Aging tests using heat, ultraviolet (UV) radiation, and CO2 were carried out to emulate the deterioration of the excavated cosmetics. Further chemical analyses and functionality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changes from the tests and the effect as a cosmetic. As heat aging progressed, among the reproduced cosmetics, the one which has a high proposition of oil showed a color difference value of 32; the oxidation of oils involved chemical changes in O-H and C=C groups. As the cosmetic cream deteriorated under UV aging, the pH value became acidic. The result of the functional coverage test of the reproduced cosmetic cream was lower than the standard coverage ratio of modern cosmetics.

The study on Ceramic Kilns for Common Qualities Based on the Sejongsillokjiriji -Focused on Woohari Kiln Site- (世宗實錄地理志에 나타난 中品磁器所에 관한 硏究 -于下理 窯址를 中心으로-)

  • Kim, Jong-Ta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4
    • /
    • pp.307-318
    • /
    • 2004
  • We could understand that Woohari oven place is the main place to create important ceramic from Sejongsillokjiriji through the research on the collected remains and books. It was very important founding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n ceramic industry as well as the special feature of the valuable ceramic in Chosun Dynasty because this place is considered as the original place for center of creating valuable ceramic which called Gongseunghyun during the King, Sejong. Most of the unearthed pieces are containers for living. Specially, it shows clearly about this thought after we found a piece of a soup bowl which has the black letter "Seon". So Woorhar Kiln is an official place to manage food during the King, Sejong(1420') which took care of tribute for one of Sasunsa.

  • PDF

Philological Analysis of Shanghan Prescriptions from the Chinese Unearthed Documents (중국 출토문헌에 보이는 상한방(傷寒方)의 문자학적 분석)

  • Lee, Kyung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32 no.3
    • /
    • pp.17-29
    • /
    • 2019
  • Objectives :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name 'Shanghan(傷寒)' and its related contents in unearthed documents. "Shanghanlun" as we know it is an edited version by Wangshuhe of the Jin period, as the original text as written by Zhangzhongjing has been unavailable. Recently in China, documents of the Xian Jin and Liang Han periods are being unearthed, allowing us to look at medical texts of previous times that Zhang reference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hanghan theory based on these medical texts. Methods : Research documents include all unearthed documents that include the name 'Shanghan'. There were a total of 4 written cases, 2 in "Wuweihandaiyijian", and one each in "Dunhuanghanjian" and "Juyanhanjian". Meaning of extracted examples were analyzed in reference to the shape of the character, then compared and analyzed with existing medical texts such as "Shanghanlun", "Jibeiqianjinyaofang", and "Bencaogangmu" Conclusions : By examining the 4 examples, Bianzhenglunzi and clinical prescription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Shanghanlun could be found. There was an 'Eliminating Wind' formula that was used to eliminate Cold pathogen of the exterior which showed remarkable resemblance to that found in "Jibeiqianjinyaofang". There are also formulas that 'Communicate to Disentangle' and 'Disentangle the Stomach' which are used in progressed stages of Shanghan disease, showing that Bianzhenglunzi had already been applied to Shanghan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