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대응

Search Result 70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해양사고 후 사고대응 및 사건전개 시나리오 식별 및 분석

  • Na, Seong;Gang, Min-Seok;Choe, Hyeok-Jin;Seo, Yu-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69-71
    • /
    • 2015
  • 해양사고는 발생 직후의 적절한 초기대응 여부에 따라 사고 이후 다양한 사건 전개 양상을 보이게 되며, 이러한, 해양사고 발생 시 초기 대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발생한 해양사고의 속성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얼마나 빨리 사고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고 대응을 위하여 필요한 장비 / 물자를 조달할 수 있느냐에 따라 신속한 사고 대응이 될 수도,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이렇듯, 효과적이고 신속한 초기 대응을 위해서는 선박 종류 및 사고 종류 별 다양한 조건의 선박 사고에 대한 정보를 갖춘 사고 대응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발생 이후 전개되는 시나리오들에 대한 위험도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해양사고 대응 사례 조사를 통하여 해양사고 대응 시 필요한 정보들을 식별하고, 사고 대응 시 사용되거나 고려되었던 대응 방법들을 식별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식별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유조선, 컨테이너선 및 여객선에 대한 해양사고 발생 후 사건전개 시나리오들을 식별 및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for the detection of hazardous chemicals in the water environment (수환경 유출 유해화학물질 감지 및 식별에 관한 머신러닝 기법 적용 연구)

  • Nam, Su Han;Kwon, Si Yoon;Kwon, J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3-163
    • /
    • 2021
  • 하천에서의 화학사고는 자연적 및 인위적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학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수환경 변화를 야기해 생태계나 인간에게 악영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신속한 초기대응이 필요하다. 하천으로 유입된 화학물질의 평가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화학사고 초기대응을 위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초기대응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측정이 용이한 지표를 활용해야하며, 이 지표를 이용해 유출된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취득 할 수 있어야 한다. 하천의 주요 지점에는 pH 및 EC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자동측정망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러한 측정항목들을 지표로 활용한다면 하천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를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다면 화학사고 발생 시 초기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유해화학물질은 총 26종이며, pH 및 EC를 화학물질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대체지표로 선정하였다. 화학물질의 농도변화에 따른 대체지표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성질이 유사한 화학물질들을 Group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머신러닝 기법인 Decision Tree,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XG Boosting에 적용해 각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 평가를 진행하여 가장 우수한 성능의 머신러닝 기법을 선정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다면 향수 수환경 화학사고 발생 시 유출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신속한 대응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Initial Response Training Method Suitable for Changing Disaster Safety Systems (변화하는 재난안전 시스템에 맞는 초기대응 교육 방안 연구)

  • Lee, Ge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37-138
    • /
    • 2023
  • 4.16 참사 이후 재난 발생 시 황금시간(Golden Time)에 중요성이 대두되어 초기대응 교육이 사회 전반적으로 확대되었고, 소방청과 지방자치단체들도 황금시간 안에 구조인력들이 빠르게 도착할 수 있도록, 인력과 지부를 확장하고 새로운 시스템들을 도입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맞추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초기대응 안전교육 또한 변화가 필요하다.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가지는 안전의식을 토대로 하여, 위기상황판단과 표준행동요령등의 가장 기본적인 안전교육에 중심을 두고, 다양하게 발전되는 새로운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안전교육을 통해서 재난이 발생할 때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PDF

Proposal for enhancement of managing missing cases: through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실종 대응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언론기사분석을 중심으로)

  • Lee, Young-Lim;Lee, Kwon Cheo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4
    • /
    • pp.91-10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propose improvement of countermeasure for missing person cases. While current related other studies examined practice of the countermeasure from inner viewpoint of police authorities itself, this study focused on and analyzed concern or criticism expressed through mass media, outside of the authoriti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newspaper articles dealing with missing person issued during past 5 years with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civil community demands immediacy of coping with missing, phased expertise, systemicity of the countermeasure, improvement of relating policy, and active liaison with community. According to the needs, we proposed advancing risk assessment procedure, enlarging dedicated team for missing case, improving profiling-input system, adding duty for family of missing person, and enhancing of function of control tower.

A Study on Improvement of Fire Simulation Training for Improving Fire Response Ability (화재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im, Eun-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3-114
    • /
    • 2023
  • 본 연구분석결과 훈련 이벤트가 다수 적용될 때 훈련 참여자의 참여율, 관심도 및 화재대응자세가 많이 향상되고 훈련계획시 훈련 참여자들의 초기대응능력(화재통보 및 화재신고, 초기소화, 화재대피) 향상과 유지에 훈련목표를 두고 각 대응단계별 목표시간을 설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훈련평가를 하여야만 화재대응능력 향상과 향후 화재모의훈련의 개선 및 피드백에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Fundamental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Risk 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Maritime Accident Response: Focused on Oil Tanker Grounding (위험도기반 해양사고 초기대응 지원 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유조선 좌초사고를 중심으로)

  • Na, Seong;Lee, Seung-Hyun;Choi, Hyuek-J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0 no.6
    • /
    • pp.391-400
    • /
    • 2016
  • A number of maritime accidents, and accident response activities, including the command and control procedures that were implemented at accident scenes, are analyzed to derive useful information about responding to maritime accidents, and to understand how the chain of events developed after the initial accident. In this research, a new concept of a 'risk based accident response support system' is proposed. In order to identify the event chains and associated hazards related to the accident response activities, this study proposes a 'Brainstorming technique for scenario identifi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HAZID technique. A modified version of Event Tree Analysis was used for quantitative risk analysis of maritime accident response activities. PERT/CPM was used to analyze accident response activities and for calculating overall (expected) response activity completion time. Also, the risk based accident response support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is explained using a simple case study of risk analysis for oil tanker grounding accident response.

Effects of Initial Responses in Steps for the Release Accidents of Hydrofluoric Acid (불산수용액 누출사고에 대한 초기대응 단계별 영향)

  • Choi, Jae Sik;Choi, Jae U;Shim, Ju Yong;Lee, Mu Chul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9 no.1
    • /
    • pp.68-76
    • /
    • 2021
  • As hazardous chemicals are releasing in process industries such as chemical & petro-chemical plants, the importance of initial responses has been always emphasized. However, little attention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nsequence by different initial responses during releasing of the chemicals has been done. The main objective of current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itial responses for the release accidents of hydrofluoric acid. For this, a simplified equation that can easily calculate the effect distance by varying concentrations of hydrofluoric acid was firstly deduced. In addition, a causal loops for the initial response steps using the system dynamics technique was constructed during release of 50% hydrofluoric acid. The effect distances according to different scenarios of the initial actions were also quantitatively analyzed by applying the simplified equation to the causal map. As a result, the highest reduction rate on the maximum effect distance was obtained with 'start time of action after leak detection' being about 87% while the lowest was 'arrival time of professional response team' being about 50%, as expec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gained from the current study can be helpful as of basics of the initial response to the workplace, dealing with the hydrofluoric acid.

Analysis and Recommenda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for Citizens (시민 대상 재난안전교육 체계 분석 및 제언)

  • Kwon, 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3-21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회 내 2014년 이후 2022년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생애주기별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분석하여 재난 발생 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제언을 통해 시민 대상별 최적화된 재난안전교육 체계화를 모색하고자한다. 2014년 4월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는 2015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규칙의 일부 개정 및 이에 근거한 '국민안전의 날'이 국민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기자는 의미로 제정된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재난안전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깨닫게 해준 가슴 아픈 사건이었다. 이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현장대응단에서 2014년 말부터 시민대상 초기대응을 위한 재난안전 교육체계를 기획하고 10만의 안전리더 양성을 추진했다.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시민대상의 재난안전교육이 시, 도별로 진행되었다. 특히 서울 시민의 1%인 10만 시민안전파수꾼 양성을 위해 진행되었던 시민안전파수꾼 정책 사업을 위한 재난안전 교육체계는 시민을 대상으로 황금시간 목표달성을 통한 초기대응으로 재난규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안전에 관한 소양교육의 기본을 구성해 교육했고, 이는 시민 대상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책사업 초기 대학생 이상의 성인을 교육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이 진행되었고, 그 후 2018년 이후 고등학교 이상으로 교육의 대상범위를 확대하여 진행했지만 안전리더로서 역할은 한국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인식이 필요한 부분으로 어린 시절부터의 반복 교육을 통한 안전문화가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자연스럽게 습득되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에 다양한 생애주기별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분석하여 국민스스로 재난 발생 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시민대상 재난 안전교육을 '황금시간 목표달성'을 준거틀로 기존의 중앙, 서울시, 부산시, 경기도 및 산하 교육청에서 실시해온 재난안전교육 체계 관련 문헌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민 대상별 생애주기별 최적화된 초기대응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모색하여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선박 초기 화재 대응을 위한 소화기 가상 훈련

  • Jeong, Jin-Gi;An, Yeong-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243-24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선박 초기 화재 대응을 위한 소화기 가상 훈련에 대한 제안을 한다. 가상 훈련 구현 요소로써 장비 기반 상호작용 및 설명 텍스트 시각화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시스템적 구현을 보인다.

  • PDF

국내 구난활동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Jeong, Chang-Hyeon;Nam, Taek-Geun;Ryu, Chan-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47-49
    • /
    • 2012
  • 2007년 허베이 스피리트호 사고와 2010년 천안함 사고에서와 같이 사고시 초기대응과 구조체계의 미흡으로 인한 심각한 해양오염사고와 인명피해를 초래하였다. 해양사고 발생시 현장의 비상대응체계의 부족, 혼란 등으로 인한 구난활동의 지연으로 피해규모가 확산될 수 있으며, 구난장비를 포함한 예선의 신속한 지원이 구난의 핵심으로 판단된다. 선진국에서는 장기간의 연구개발을 통한 수준 높은 기술과 첨단장비를 통해 전세계 대형 해양사고에 참여하고 있으나, 국내 민간 선박구난업체는 자체적으로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적, 재정적 기반이 취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최근에 실시된 국내의 대표적 구난활동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