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고층건물공사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8초

이산형 시뮬레이션을 사용한 초고층건물공사 작업원의 수직이동계획 (A Vertical Movement Plan for Labors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Using Discrete-Event Simulation)

  • 안병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47-54
    • /
    • 2004
  • 최근 수년 동안에 국내에서는 많은 초고층건물들이 완공되었다. 지금도 다수의 초고층건물들이 시공되고 있으며, 심지어 100층 이상 규모의 초고층건물까지도 기획 중에 있다. 이러한 초고층건물공사의 현장관리 측면에서 중요성이 강조되는 관리항목들 중 하나는 시공 과정 중에 발생하는 자원의 수직이동을 관리하는 것이다. 특히 짓고자 하는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작업원들이 각자의 작업층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길어지며, 자칫하면 이것이 현장의 작업능률과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건물공사 수행 시 작업원의 수직이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서 이산형 시뮬레이션을 사용한 작업원의 수직이동계획 프로세스를 제안하였으며, 계획 프로젝트인 MT 130 타워공사를 대상으로 이것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 마감공사 출역인력관리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A Analysis and Improvement of Manpower Management For Finish Work in High-Rise Housing Projects)

  • 원경석;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00-603
    • /
    • 2004
  • 최근 도심지 주거시설 프로젝트가 점차 초고층화, 대형화, 복잡화되면서, 공사에 소요되는 자원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초고층 주상 복합 건물 마감 공사에서는 공사현장이 넓고, 다수의 협력업체와 인력이 투입되기 때문에 공정계획에 맞추어 필요 인력을 적재적소에 투입, 관리하는 것은 전체 프로젝트 관리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공동주택 공사와는 달리 국내에서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이 지어지기 시작한 것이 불과 $4\~5$년으로 출력인력정보에 관한 기초 자료가 부족하고, 현장에서의 인력 수급 및 관리가 대부분 협력업체에 의해 수행되고 있어서 자료 수집 및 관리가 부실하고 체계적인 관리 또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초고층 주상 복합 건물 마감공사 출역인력 정보수집 현황을 파악하고, 발생되는 정보를 분석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초고층건물 마감공사의 발주방식 선정요소에 대한 연구 (Analysing Decision Factors of Delivery System for Finishing Work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이재일;안병주;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345-348
    • /
    • 2003
  • 건축 프로젝트가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현장에서는 총체적인 관점에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초고층건물공사는 그 규모로 인해 생산성 저하의 위험이 상존한다. 특히 관리대상 프로세스가 기타 공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마감공사는 생산성 유지 혹은 향상에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즉, 골조공정의 생산성이 높더라도 마감공사의 생산성이 낮은 경우 전체 프로젝트의 생산성은 현저히 낮아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및 인터뷰 둥을 통해서 초고층 건축공사의 마감공사 발주방식 선정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 요소들은 초고층건물 마감 공사의 발주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 PDF

초고층건물 R/C조 코어월 선행공사의 시공계획 실무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Planning Practice for Reinforced Concrete Core-Wall Construction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안병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94-201
    • /
    • 2004
  • 코어월 선행공사는 공기단축, 비용 절감 효과 등과 같은 이점 등으로 인하여 국내 초고층건물공사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수행한 사례조사연구에 따르면 초고층건물 코어월 선행공사 수행 과정에서 작업 공간 및 작업 동선 등의 미확보로 인한 생산성 저하, 코어월 선행공사의 세부 작업 및 양중장비 등의 작업 간섭으로 인한 공기 지연, 추가 가설 공사 및 비용 발생, 콘크리트 타설 작업의 지연 등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와 공기 지 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원인을 분석한 결과, 시공계획 과정에서 좀더 치밀하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계획을 수립하고 공사에 임했을 경우, 이것들의 상당수는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시공계획 과정에서의 도급자와 하도급자간의 협력체계 개선 방향과 시공계획 과정의 개선 방향 등을 제안하였다.

철골공사 작업중단 빈도수와 사고방지 예측

  • 홍승렬;손기상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83-486
    • /
    • 2003
  • 사무소는 물론 초고층 아파트에까지 철골구조에 의한 공사가 시행되고 있다. 이처럼 상업용 사무소 건물의 경우 초고층 일 수밖에 없으며, 철골구조공사는 필수적이다. 공사공정 및 잠재위험은 그만큼 증대 될 수밖에 없다.(중략)

  • PDF

초고층 마감공사 준비작업 개선을 위한 현장사진기반 공간모델 개발 (Development of Space-Model Based on Site Images for Improving Preparation Process of Interior Construction in High-rise Buildings)

  • 황준영;김승현;정현조;김해곤;박성호;구교진;홍태훈;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90-98
    • /
    • 2008
  • 초고층건축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수요지역이 확장함에 따라 초고층건설 기술력향상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건물의 초고층화로 인해 마감공사는 프로젝트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관리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마감공사 준비작업의 의사결정 및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서 현장사진기반 공간모델을 제안하고 있으며, 그 구축방법을 제시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장사진기반 공간모델을 통하여 초고층프로젝트의 특성과 공종에 맞는 공간모델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하여 건설분야에서의 공간모델 실용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초고층 건설공사 시공단계 리스크 요인 도출 및 분석 (Extraction and Analysis of Construction Phase Risk Factors in High-rise Construction Project)

  • 김수용;김성현;양진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90-98
    • /
    • 2016
  • 고층 건설 프로젝트는 다양한 위험 요인이 있다. 주요 위험 요인은 시간 지연과 비용의 증가 등의 부정적인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PROMETHEE 기법을 사용하여 초고층 건설공사 시공 단계에서의 위험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문가 표적집단면접법(FGI)을 통해 위험 인자를 확인 하였다. 그리고 PROMETHEE는 초고층 건설공사 위험 분석을 위한 설정 평가기준으로 사용 하였다. 다음으로, 평가지표 계산의 기준은 PDRI에서 정의 레벨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선호지수 및 평가 지표는 설문을 통해 규명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PROMETHEE 기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는 초고층 건설공사 시공 리스크의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높은 수준의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이것은 '재료 리프팅 운영 계획', '아웃리거 벨트 트러스 건설', '고층 건물의 기초 작업 계획'과 '고층 건물의 구조 개념을 고려'이다.

타워팰리스 III 현장의 첨단 시공 및 엔지니어링 기술 적용사례 (Applied cases of advanced construction & engineering technology at Tower Palace III Project)

  • 왕인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202-213
    • /
    • 2003
  • 타워팰리스 III 현장은 현존하는 국내 건축물로는 가장 높은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이다. 초고층 현장에는 일반현장과는 다른 시공기술 및 엔지니어링 기술의 적용이 요구되는 바, 타워팰리스 III 현장은 지금까지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보다 발전된 시공기술과 엔지니어링 기술, 그리고 공정관리기법을 통하여 마감공사 포함 충 당 13.4일이라는 공사 속도를 달성하였다. 이와 같은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적용된 첨단 시공기술로 1) 골조공사 및 외벽공사의 3-Day Cycle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공법, 2) 초고층 주거건물의 마감공사 공정관리를 위한 Tact 공정관리 시스템, 3) 현장관리 시스템으로 물류관리 및 정보공유 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또한 엔지니어링 요소기술로 1) 고유동 무다짐 콘크리트와 국내 최초의 압축강도 $800kgf/cm^{2}$의 초고강도 콘크리트 등의 New Material, 2) 냉각수 순환형 파이프쿨링 시스템 등의 New Method, 3) Smart Fan Control 주방환기 시스템을 포함한 Mechanical System 4) False Car System을 포함한 Electrical System 등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