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출

검색결과 5,589건 처리시간 0.03초

대안의 창출을 통한 안경원 브랜드 네이밍 연구 (Study on Brand Naming of Optical Shop through Creation of Alternative)

  • 홍성일;곽호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1-189
    • /
    • 2016
  • 목적: 대안의 창출을 통한 안경원 브랜드 네이밍 연구로 효과적인 안경원 브랜드 네이밍 과정 이해에 목적이 있다. 방법: 안경원의 특성 추출, 타깃 확인, 네이밍 방향 설정, 네이밍 개발 등의 브랜드 네이밍 과정을 살펴보았다. 단어결합, 상징물, 문장 만들기, 단어일부 결합 등 대안의 창출 유형들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고 유형에 따른 브랜드 네임 사례를 조사 하였다. 결과: 대안의 창출은 브랜드 네이밍 과정의 한 단계로, 풍부한 대안의 창출을 바탕으로 정제되고 다듬어진 브랜드 네임으로 발전되고 개발되어져야 한다. 대안의 창출로 만들어지고 적용된 안경원 브랜드 네임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결론: 브랜드 네이밍에서 대안의 창출은 컨셉에 부합하고 브랜드 연상과 언어군 탐색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과정의 체계성과 선택의 객관성을 가진다. 안경원에 대한 바람직한 연상과 차별성을 가진 개성 있고 강력한 브랜드 네임을 위해서는 대안의 창출 작업을 통한 체계적인 브랜드 네이밍 작업이 필요하다.

설계VE활동의 효과적인 아이디어 창출 및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 모델 (A Process Model for Effective Idea Creation and Administration of Value Engineering at Design Phase Activity)

  • 김홍현;민경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3-21
    • /
    • 2009
  • 설계VE수행 시 아이디어 창출을 할 경우 브레인스토밍의 특성상 산발적으로 아이디어를 제안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유사 아이디어를 중복적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중복적으로 창출된 유사 아이디어는 각각 다른 평가 및 분석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렇게 창출된 유사 아이디어는 효율적인 분석/평가가 쉽지 않으며, 아이디어의 타당성 및 객관성을 검증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하여 많은 시간을 소비할 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평가가 어려워지게 된다. 아이디어 창출을 하기 위한 준비단계를 완벽하게 수행 하였으나, 실질적인 VE활동에서는 아이디어 창출 및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이디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창출하고자 설계VE활동의 효과적인 아이디어 창출 및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한다.

고객의 공동가치창출 행태 모형 연구 (Study on the behavioral model of co-creation by customers)

  • 김나랑;홍순구;김종기;박순형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9-72
    • /
    • 2016
  • 공동가치창출이 주요한 사회현상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아직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 특히 고객의 공동가치창출 참여에 대한 사회 심리학적 동기에 대한 분석은 심도 있게 연구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고객의 공동가치창출행태 모형을 제안하고, 고객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와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요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샤 뷰티넷 이용자들의 심층인터뷰 자료를 근거이론으로 분석 하여 고객의 공동가치창출 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객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참여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공동가치창출 플랫폼, 기업의 정책, 개인적인 특성 등이 제시되었다.

경제위기(經濟危機) 이후(以後) 노동시장(勞動市場) 정책방향(政策方向)

  • 유경준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1권3_4호
    • /
    • pp.105-146
    • /
    • 1999
  •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노동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외환위기에서 2년이 경과한 현재 실업률이 빠르게 하락하고 임금수준은 위기 이전으로 회복되었으나, 고용수준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의 상황에서 우려되는 것은 1970년대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것처럼 고실업이 지속되는 현상이다. 본고에서는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경고하고 있다. 향후 고용 및 실업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본원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해 구조적 실업률을 저하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의 시행에 두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는 실업과 분배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초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자리의 창출을 위하여 수십년 동안 경험을 축적한 OECD국가의 경험을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현재 OECD국가에서는 일자리의 창출을 위하여 개별기업의 상황에 맞게 임금결정구조의 분권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으며, 임금상승률의 결정은 과거의 물가상승률이나 생산성 증가 등의 지수화에 의존하던 정책을 포기하고 미래지향적으로 물가상승의 예측치만큼 설정한 후 그 변동분은 사후적으로 고려하는 소득정책협약(income policy agreements)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의 성과를 기존의 취업자 외에 실업자와 신규근로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를 통한 일자리의 창출은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경향이었다는 점이 유럽과 미국에서 발견된 경험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일자리의 창출과 분배의 상충관계(trade-off)를 염두에 둘 필요는 있으나, 일자리의 창출은 일자리를 가짐으로써 불평등도를 개선하는 고용효과(employment effect)가 임금격차의 발생으로 불평등도를 확대시키는 임금효과(income effect)를 상쇄할 경우 오히려 분배구조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

  • PDF

사회적기업의 공유가치창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hared Value Creation of Social Enterpris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이용재;엄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69-379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공유가치창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요 분석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공유가치창출과 조직성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기업이 다양한 조직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형성 또는 창출하고 있는 공유가치나 조직성과는 차이가 없는 것이다. 급격한 사회적기업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공유가치창출과 조직성과의 차이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조직성과에 대한 공유가치창출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성과에 대해서는 공유가치창출의 하위 요인 중에서 제품 시장 재인식과 지역클러스터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대해서는 공유가치창출의 하위요인 중에서 제품 시장 재인식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기업의 전체 조직성과에 대해서는 공유가치창출의 하위요인 중에서 제품 시장 재인식과 지역클러스터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적기업에서도 일반기업과 마찬가지로 공유가치창출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향후 사회적기업에 대한 공유가치창출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통하여 기업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허 데이터에 기초한 지식창출활동의 공간분석 (The Spatial Analysis of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Based on Korean Patent Data)

  • 이희연;김홍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18-340
    • /
    • 2006
  • 지난 10여년 동안 새로운 내생적인 경제성장의 동력으로서의 지식창출활동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면서, 지식기반경제에서 지식창출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특허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지식창출활동은 공간상에 특정지역으로 집중되거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1981-2000년 동안 국내 특허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지식창출활동의 성장에 따른 공간분포패턴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등록된 특허 원시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공간통계와 지리정보체계를 활용하여 지식창출활동 패턴의 공간적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식창출량의 68.5%가 단지 상위 10개 도시에 집중되어 있을 정도로 매우 불균등하게 지식창출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식창출활동의 공간분포 패턴은 유의미한 공간적 자기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서울과 수원을 중심으로 하는 지식창출량이 많은 H-H형 클러스터는 수도권내에서만 형성되어, 지식창출활동의 확산은 공간의 제약성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술연재 / 웹캐스팅은 비즈니스 전략이 중요

  • 김용섭
    • 디지털콘텐츠
    • /
    • 3호통권94호
    • /
    • pp.62-67
    • /
    • 2001
  • 웹캐스팅 비즈니스를 '웹캐스팅 기술을 적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거래행위'라는 개념으로 광범위하게 정의내린다. 즉 인터넷 기반에서 웹캐스팅 기술을 적용해 상품이나 서비스, 정보 등을 거래하는 모든 행위 영역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웹캐스팅 비즈니스로 규정한다. 부가가치 창출이 없는 웹캐스팅은 비즈니스가 아닌 단순한 기술구현이나 서비스 영역 한정한다. 따라서 궁극적인 부가가치 창출이 목적이 아닌 개인적 관심사나 취미에 의한 웹캐스팅 적용 사례는 웹캐스팅 비즈니스로 규정하지 않는다.

  • PDF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Industrial Technology R&D Investment on Employment)

  • 김호영;어승섭;전영두;유승훈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51-672
    • /
    • 2014
  • 최근 정부는 고용률 저조로 인한 저성장세의 고착화가 우려됨에 따라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R&D 활동을 통한 신규 고용창출을 중요한 국정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되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1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정부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고용창출효과는 직접고용효과와 고용유발효과로 분해된다. 산업기술 분야를 대분류 기준 총 7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산업기술 R&D 투자액 10억원당 고용창출효과는 8-12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식서비스 기술분야의 고용창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전기 전자 기술분야는 고용창출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용창출 우위기술에 속하는 바이오 의료 기술분야와 직접고용 우위기술에 속하는 지식서비스, 화학, 에너지 자원 기술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단기적으로 고용창출의 견인차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고용유발 우위기술에 속하는 정보통신, 기계 소재 기술분야는 산업간 파급효과를 통한 중장기적 고용창출 효과가 중요하기 때문에 기술이전, 개방형 혁신 등을 통해 기술 확산에 주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는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진단하고 예측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건설공정의 낭비제거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 (Productivity Improvement through the Waste Elimination of Construction Process)

  • 문정문;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93-103
    • /
    • 2002
  • 철근공사는 거푸집공사와 더불어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 및 공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공사이다. 그러나 국내 철근 콘크리트 공사는 철근현장가공조립을 주로 하고있어 낮은 생산성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생산성 향상을 위해 철근현장가공조립 프로세스를 부가가치 생산성향상을 위한 낭비요소를 분석하였다. 낭비요소 분석은 비가치창출 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요소로 철근현장가공조립의 가치분석을 통해 부가가치를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가치창출작업들이 비가치창출 작업보다 월등히 적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본 논문에서 낭비는 불필요한 작업 단계와 인력, 장비, 자재, 시간 등에서 낭비되고 있었다. 또한 흐름생산이 되지 않고, 과잉생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가치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부가가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프로세스 상에 내재되어 있는 낭비요소를 분석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가치창출 작업을 최대화하고, 비 가치창출작업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