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Effect of Industrial Technology R&D Investment on Employment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 분석

  • 김호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
  • 어승섭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
  • 전영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정책기획팀) ;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 Received : 2014.08.26
  • Accepted : 2014.11.03
  • Published : 2014.12.01

Abstract

Under the diagnosis of low employment rate and low growth, the government regards the creation of new jobs through the creative and innovative R&D as an important national plans.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of R&D invest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by using input-output analysis us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oadly. The employment effect can be divided into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and direct employment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of R&D investment of government industrial technology is measured to be 8-12 peoples per 1 billion KRW investment. This results mean that government R&D investment is a effective policy for employment cre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D policies that reflect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In short term, it is important that the government invest the superior technology of total employment and direct employment as essential means of employment creation by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In mid-long term,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technology spread as technology transfer and opening innovation strategy for employment creation to support superior technology of employment induc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analysis on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related to industrial technology R&D.

최근 정부는 고용률 저조로 인한 저성장세의 고착화가 우려됨에 따라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R&D 활동을 통한 신규 고용창출을 중요한 국정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되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1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정부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고용창출효과는 직접고용효과와 고용유발효과로 분해된다. 산업기술 분야를 대분류 기준 총 7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산업기술 R&D 투자액 10억원당 고용창출효과는 8-12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식서비스 기술분야의 고용창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전기 전자 기술분야는 고용창출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용창출 우위기술에 속하는 바이오 의료 기술분야와 직접고용 우위기술에 속하는 지식서비스, 화학, 에너지 자원 기술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단기적으로 고용창출의 견인차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고용유발 우위기술에 속하는 정보통신, 기계 소재 기술분야는 산업간 파급효과를 통한 중장기적 고용창출 효과가 중요하기 때문에 기술이전, 개방형 혁신 등을 통해 기술 확산에 주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는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진단하고 예측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정보원 (2012a), 관광이 지역경제적으로 고용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서울: 고용노동부.
  2. 고용정보원 (2012b), 민간육종연구단지 조성사업의 고용창출효과 분석, 서울: 고용노동부.
  3. 고용정보원 (2012c), 방송영상콘텐츠사업 육성정책 고용영향평가 연구, 서울: 고용노동부.
  4. 고용정보원 (2012d), 복지서비스 확대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서울: 고용노동부.
  5. 고용정보원 (2012e), 사회적기업 육성사업 고용영향평가 연구, 서울: 고용노동부.
  6. 고용정보원 (2012f), 외식산업 육성 정책의 고용영향평가, 서울: 고용노동부.
  7. 고용정보원 (2012g), 전통발효식품산업 지원 정책의 고용영향평가, 서울: 고용노동부.
  8. 관계부처합동 (2013), 고용률 70% 로드맵, 서울: 관계부처합동
  9.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R&D 일자리 창출 성과 측정모형 연구, 서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10. 산업통상자원부 (2012), 산업기술분류표, 세종: 산업통상자원부.
  11. 오인하 (2011), "부품소재산업 정부지원의 고용효과에 관한 분석", 생산성논집, 25(3): 199-229.
  12. 하준경 (2012), 기업 R&D의 일자리 창출 효과 분석, 서울: 전국경제인연합회.
  13. 한국은행 (2013), 산업연관표(2011 연장표), 서울: 한국은행.
  14. 현대경제연구원 (2013), 현안과 과제: 주요 선진국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고용 현황과 시사점, 13-38, 서울: 현대경제연구원
  15. (주)LG경영개발원 (2013), 일자리 창출을 위한 미래 산업 비전.전략 2020, 서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16. Francesco, B., Mariacristina, P. and Macro, V.i (2012), "R&D and Employment: An Application of the LSDVC Estimator Using European Microdata", Economics Letters, 116(1): 56-59. https://doi.org/10.1016/j.econlet.2012.01.010
  17. Ghosh, A. (1958),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ica, 25: 58-64. https://doi.org/10.2307/2550694
  18. Heo, J. Y., Yoo, S. H. and Kwak, S. J. (2010), "The Role of the Oil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Sources, Part B: Economics, Planning, and Policy, 5: 327-336. https://doi.org/10.1080/15567240802533880
  19. Miller, R. E. and Blair, P. D. (1985),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New Jersey: Prentice-Hall.
  20. Miller, R. E., Polenske, K. R. and Rose, A. Z. (1989), Frontiers of Input-output Analysi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1. Oosterhaven, J. (1996), "Leontief versus Ghoshian Price and Quantity Model", Southern Economic Journal, 62: 750-759. https://doi.org/10.2307/1060892
  22. Timothy, C. S. (2000), "Structural Unemployment and Technological Change in Canada, 1990-1999", Canadian Public Policy - Analyse de Politiques, 36: 109-123.
  23. Sven, W. (2011), "Production and Employment Impacts of Biotechnology-Input-output Analysis for Germany",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8(7): 1200-1209.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1.03.002
  24. Lei, Y., Cui, N. and Donyan, P. (2013), "Economic and Social Effects Analysis of Mineral Development in China and Policy Implications", Resources Policy, 38: 448-457. https://doi.org/10.1016/j.resourpol.2013.06.005
  25. Yoo, S. -H. and Yoo, T. -H. (2009), "The Role of the Nuclear Power Generation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Progress in Nuclear Energy, 51: 86-92. https://doi.org/10.1016/j.pnucene.2007.1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