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성 태도

Search Result 20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alyses on Attitudes to Smart Education-related Variables Based on Parents' Age,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학부모의 연령, 학력 및 소득수준에 따른 스마트교육 관련변인 태도분석)

  • Kim, Jae-Hoon;Park, Young-Ran;Lim, Keo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11
    • /
    • pp.255-264
    • /
    • 201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parents' attitudes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Smart Education Initiative Korea. The questions included the usefulness of major digital tools for educational purposes, knowledge on the Smart Education, necessity for better educational methods, and Bring Your Own Devices (BYOD) policy. A total of 432 response cases from the parents were analyzed considering the parents' age, academic level, and income. As a result, parents regarded desktop PCs as more effective tools for learning when compared to tablet PCs. Meanwhile, mobile devices and SNSs were hardly considered as instructional tools. Second, familarity and understanding of the Smart Education were proportional to household income and mothers' education levels. Third, parents needed for the change in educational methods and agreed with the importance of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collaboration, inquiry ability and creativity. Fourth, regarding BYOD, parents were willing to buy devices with a reasonable price.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study when implementing the Smart Education throughout the nation.

The Validity of Teacher Nominations for the Selec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의 타당성 분석)

  • Yoon, Chohe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4 no.4
    • /
    • pp.679-701
    • /
    • 2014
  • As the validity issue of teacher nominations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has been raised recently, this study purports to test the validity of teacher nominations for selecting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s the criterion variables, domain specific traits such as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science attitudes and domain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divergent thinking skills, creative attitudes, intrinsic motivation, and leadership were analyze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otentially gifted students who had never been enrolled in gifted programs but were nominated as the scientifically gifted by teachers, and general class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but originality factors of the TTCT and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 test between gifted/nominated students and general class students; gifted/nomina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superior in these variables to general class students. The discriminant functions analysis yielded a discriminant function that significantly discriminated between gifted/nominated and general class students. Variables loaded on the discriminant function were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except for the originality subfactor, and science efficacy. These results imply that while teachers are likely to consider adaptation-oriented academic excellency related to logical thinking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and science performance when nominating students, they may ignore the innovation-oriented property which is indicated as the fluency and originality factors of TTCT. Also, the criteria of teacher nominations are presumed to be congruent with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which pursued academic excellency as the educational goal. This suggests that with such criteria, high performing students in the science area can be sufficiently identified by teachers with no further identification procedures or/and tes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rategies using Fairy Tal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Instruction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동화를 활용하는 전략의 개발과 적용)

  • Kwon, Nan-Joo;Lee, Kyong-M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0 no.1
    • /
    • pp.1-1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rategies using fairy tal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For this study, many fairy tales were searched in terms of variou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 of the tales. Five fairy tales were selected and reconstructed to suit the 'mirrors and lenses' unit of 5th graders' school science, and teaching strategies using the fairy tales were developed to be used in six lesso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fairy tales, pre/post tests for scientific attitude were administered. To analyz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classes, a simple survey was administered through questionnaires. We found from this study that the students related the fairy tales with their own experiences and took an active part in the class that used them. Also, instruction using fairy tal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cientific attitude. Many students said that the science classes were interesting, and the method using fairy tales encouraged students to study hard as well as helped them to understand the context. It was concluded that instruction using fairy tales was an effective method in terms of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encouraging more inquiries, more opportunities to apply the scientific concept, and more positive scientific attitude. We discussed the strategies using fairy tales for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as wel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 STEAM Education Materials for Gifted Student (영재를 위한 융합교육(STEAM) 자료 개발 및 적용)

  • Tae, Jin-Mi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4 no.4
    • /
    • pp.703-728
    • /
    • 2014
  • This study academically examined about whether STEAM education is really needed, as part of the convergence-style gifted education for training a producer in creative knowledge, through the documentary and Delphi survey. Based on the results, it developed STEAM education materials available for being applied to the domestically gifted education field, and examined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As a result of surveying validity and class satisfaction, the STEAM education materials of having bee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ere indicated to be useful in the aspects of the appropriateness for teaching-material compositio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promotion in the convergence-based thinking ability. The currently domestic situation is in being short of fundamental discussion about necessity or direction of STEAM education for gifted student, compared to an effort for emphasizing and activating policy of convergence-based education focusing on STEAM. Hence, the outcome of this study, which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basic research on STEAM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 has significance in the aspect as saying of expanding applicability of STEAM education as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Observation Assessment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정보과학 영재교육에서 관찰 평가)

  • Won, Seo Seong;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595-598
    • /
    • 2009
  • 최근 영재 및 영재교육에 관련된 연구가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초기에 수학 및 과학 분야 위주로 이루어졌던 영재교육은 정보, 발명, 인문, 예술 등의 기타 분야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고도화된 정보화 사회로의 진행과 더불어 정보과학에서도 영재교육데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과학의 학문적 역사가 짧고 그 범위의 설정이 어려운 만큼 정보과학 분야의 영재교육에 있어서도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특히 영재교육 대상자의 선정과 교육에 필수적인 평가 방식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여 교육 방식의 보완과 창의적인 대상자 선발에 있어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형태의 평가 방식 중 관찰평가가 평가도구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다면 평가의 측면에서 지필평가와 보완적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년간의 학습자들의 지필평가 성적과 관찰평가 중 리커트 척도 방식의 체크리스트와 서술형 관찰 기록지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 하였다. 또한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체크리스트와 서술형 관찰기록지의 하위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체크리스트의 하위항목 분석을 통해서는 태도와 문제해결 능력 간의 상관관계, 수학적인지영역과 문제해결 능력 간의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알 수 있었으며, 서술형 관찰 기록지 분석을 통해서는 투입 프로그램 적응 능력이라 할 수 있는 과정적 영역은 정의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의 상관 관계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 방식간의 상관 관계는 지필 평가와 관찰 평가의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정보과학 분야 영재교육 학습자의 잠재 능력이나 사회성,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필평가와 더불어 관찰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며 다면평가의 측면에서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Flow in MMORPG Games (MMORPG 기반 게임의 몰입에 대한 정량적 분석 방법)

  • Nam, Byeong-Cheol;Bae, Ki-Tae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3
    • /
    • pp.73-84
    • /
    • 2011
  • Online game market accounts for 56.4% of entire game industry in Korea. MMORPG games account for a great part of online game market which have 45.27%. However, most of them are wholly reliant on their subjective criteria - not general rule or standard in the planning and developing process. For this reason, they can be easily misunderstood imitation game which has no difference or creativeness from masterpiece. In this paper to solve this problem especially deals with the quantification of flow through analysis of MMORPG to propose common information or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which deals with the quantification of flow through analysis of successful MMORPG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e Effect of STS Instruction through Science to Enhance Hypothetical Deductive Thinking Skills for Creativity - Water Section of Chemistry I (창의성의 기저가 되는 가설 연역적 사고력 신장을 고려한 과학 교수인 STS 수업 전략의 효과 - 과학 I의 물 단원)

  • Kang, Soon-Hee;Kim, Eun-S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5 no.3
    • /
    • pp.327-335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s student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n STS hypothetical deductive instruction strategy in the water section of high school chemistry. Two 11th grade co-ed high school clas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one control group and one treatment group. After being taught for 10 class periods during the second semester. ANCOVA analysis reveal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two groups' achievement tests. However, analysis by ANCOVA did show that the scores for science-related attitude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5). In particular, the scores of science learning contents and science value about science-related attitud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ison on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using Robots based on Narrative-Paper Art Activities (내러티브-종이아트 활동 기반 로봇활용 SW교육 효과성 비교)

  • Sohn, Kyungjin;Han, JeongHy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2 no.4
    • /
    • pp.419-425
    • /
    • 2018
  • The national curriculum includes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lgorithms, and programming of SW education. The education using robots is one of attractive alternatives for students who have no interest of SW or are poor at programming. We have developed a courseware using robots for SW education based on paper art activities with narrative storytelling to enhanc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within limitation of class time in schools. We apply the courseware and obtained the result of pre and post-test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ird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four factor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have shown significantly increase. In addition, it had an significant effects for understanding robot technology and for learning attitude using robots of SW or programming.

진취성,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지향성이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Gil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45-147
    • /
    • 2018
  • 본 연구는 이상길 하규수(2017)의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진취성, 지각된 유용성, 학습지향성이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업무몰입은 조직행동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업무몰입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과 생산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었고, 일에 대한 몰입적 태도는 개인의 경쟁력 향상은 물론, 조직성과 향상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학문적 관점에서 볼 때 현재 담당하고 있는 업무 성과의 선행요인인 업무몰입을 개인의 본원적 경쟁력인 진취성, 지각된 유용성, 학습지향성을 토대로 분석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차별성을 강조할 수 있다. 업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현재와 미래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학적 창의성과 개방형 문제(open ended problem)

  • Gwon, O-Nam;Jo, Yeong-Mi;Park, Jeong-Suk;Park, Ji-Hyeon;Kim, Yeong-Si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217-218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인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별 교육과정이나 재량활동 운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수학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수학적 창의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과 실제적인 측면에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Haylock(1987)등에 의해 창의력과 수학적 창의력의 구분되었으며, 특히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제안되었다.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수학적 창의력을 측정하려는 평가 도구들이 그 동안 여러 가지로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적 창의력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는 종국적으로 교실 수학수업에 반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교실에서 수학수업을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들이 수학적 창의력을 위한 수업을 하고자 하더라도 당장 가까이에서 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그 동안 교실 수학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들 대부분은 게임이나 퍼즐을 이용한 것으로 그 수준이 단순 흥미유발에 그치고 있거나 소수의 영재아를 위한 소재를 중심으로, 특히 수학적 사고 과정을 따르기보다는, 시행착오를 거쳐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많으며, 수학과의 연계성이 불분명한 채로 단순놀이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수업과 연관되어 창의력의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적용하기 어려운 사례가 많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현재 교과교육공동연구 지원사업의 하나로 한국 학술 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방형 문제(open-ended problems)'를 중심 소재로 한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개방형 문제라 함은 명백한 정의가 어렵지만 Pehkeon(1995)는 개방형문제의 정의를 명백히 하기위한 시도로서 그 반대로 닫힌 문제에 대한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어떤 문제가 닫혀있다고 하는 것은 그 문제의 출발 상황과 목표 상황이 닫혀 있는 것, 즉 명백히 설명되어있을 때라면 개방형 문제는 이와 반대의 개념임을 시사하였다. Silver(1995)는 개방형 문제를 문제 자체가 다른 해석이 가능하거나 서로 다를 인정할만한 답을 가질 수 있는 문제 또는 풀이과정이 다양한 문제, 자연스럽게 다른 문제들을 제안하거나 일반화를 제시할 수 있는 문제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개방형 문제란 출발상황이나 목표 상황의 일부가 닫혀있지 않을 때를 말하고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해답이 여러 가지로 존재하는 문제를 뜻한다. 수학적 창의력을 개발하는 데, 다른 문제 유형보다도, 개방형 문제가 유리하다는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왔다. 미국 국립영재교육센터(NRCG/T)는 기존의 사지선다형이나 단답형 문제와 질문들은 학생들의 사고 능력에 관한 정보를 거의 알려주지 못하기 때문에 한 가지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open-ended' 또는 ’open-response' 문제와 질문을 가지고 수학 분야에서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표현능력을 측정해야 한다고 하였고, 개방형 문제가 일반적으로 정답이 하나인 문제보다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게 하는 문제 형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학교에 실험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창의력 신장에 비중을 두는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는 수학교실에서 사용 가능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학생들에게는 주어진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생각하면서 다양한 사고를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수학을 보는 학생들의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