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 of STS Instruction through Science to Enhance Hypothetical Deductive Thinking Skills for Creativity - Water Section of Chemistry I  

Kang, Soon-Hee (Ewha Womans University)
Kim, Eun-Sook (Ewha Woma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25, no.3, 2005 , pp. 327-3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student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n STS hypothetical deductive instruction strategy in the water section of high school chemistry. Two 11th grade co-ed high school clas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one control group and one treatment group. After being taught for 10 class periods during the second semester. ANCOVA analysis reveal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two groups' achievement tests. However, analysis by ANCOVA did show that the scores for science-related attitude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5). In particular, the scores of science learning contents and science value about science-related attitud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Keywords
science-technology-society; STS; STS hypothetical deductive instruction; hypothetical deductive thinking skills; creativity; students' achievements; Science-related attitud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순희, 김지영, 박은미 (2004). 에너지 때문에 상태가 변했어요. 중학교 1학년 상태 변화와 에너지 탐구 수업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서울: (주)서울멀티넷
2 류주현, 유계화 (1997). 고등학교 과학 I (하) 천문영역에 대한 STS프로그램 적용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학회지, 18(6), 473-479
3 박승재 (1985). 과학교육. 서울: 교육 과학사
4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최병순, 허명 (1997). 과학과 수업 모형. 서울: 교육 과학사
5 조희형, 최경희 (2001). 과학 교육 총론, 서울: 교육 과학사
6 Siolmon, J. (1993), Teaching science, technology, society. Buckingham: OpenUniversity Press
7 Yager, R. E. (2001). Science-Technology-Society and education: A focus on learning and how persons know, In S. H. Cutcliffe & C. Mitcham (Eds).,Vision of STS. Albany: State of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 한안진 (1987). 현대 탐구 과학 교육. 서울: 교육 과학사
9 Yager, R. E. and Tamir, P. (1993), STS Approach: Reasons, Intensions, Accomplishments and Outcomes, Science Education, 77(6), 637-658   DOI   ScienceOn
10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1999). 과학 교육학 개론. 서울 (주)북스힐
11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90). Science-Technology-Society: A New effort for Providing appropriate science for all, A NSTAPosition Statement. Washing D. C. NSTA 1-4
12 조현순, 정영란 (1995). STS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환경 문제에 대한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310-315   과학기술학회마을
13 조희형 (2003). 일반 과학 교육학. 서울: 교육 과학사
14 최경희 (1996). STS 교육의 이해와 적용. 서울: 교학사
15 Bybee, R.w. (ed) (1985). NSTA Yearbook : Science, Technology, Society. Washington, D. 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6 Yager, R. E. and Tamir, P. (1992), STS Approach: Reasons, Intensions, Accomplishments and Outcome, Science Education Center, The University of Iowa
17 조희형, 박승재 (1995). 과학 학습 지도. 서울: 교육 과학사
18 권재술, 김범기, 우종욱,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 (1998). 과학 교육론. 서울: 교육 과학사
19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Belmont, California
20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 과정. 제 7차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1997-15 호(〔별책9〕). 서울: (주)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1 최경희, 김추령 (1995). STS 수업 방법과 전통적 수업방법에 의한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및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 관한 연구. 물리 교육, 13(1). 17-22
22 Layton, D.(Eds.). (1986).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Vol. I, II, III, IV, V, Unesco 1986: Belgium
23 강순희 (2003). 탐구적 일반화학 실험-우수한 과학교사 양성을 위한 개정판. 서울: 자유아카데미
24 조희형, 최경희 (1997). STS란 무엇인가. 서울: 사이언스북스
25 Kauchak, D. & Eggen, P. (1986). 과학과 학습 모형의 이론과 실제(최돈형 역). (pp. 366-367). 서울: 교육과학사(원저 1980 출판)
26 권용주, 정완호, 김영신 (1995). STS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303-309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