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성 영재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1초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의 양육태도간의 관계 연구

  • 박선혜;박혜원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9-14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녀양육에 있어서 창의적인 유아로 키울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9곳의 만 5세 96명(창의적인 유아 40명, 일반 유아 56명)과 아버지 96명이었다. 유아의 창의성검사는 Torrance 창의력 도형검사를 사용하였고, 아버지양육태도검사는 이종승, 오성심(1982)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0.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에 전반적 창의성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분석시 유창성과 독창성, 개방성요인에서는 창의적인 유아가 일반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두 집단간 창의성에 있어서 성차는 없었다. 둘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의 자녀창의성 인식에서는 전반적 독창성 점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유창성, 추상성, 정교성의 차원에서 인식의 차이를 보여 창의성수준을 부모들이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인 유아에 대한 아버지와 교사의 인식에서는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보다 현장에서 유아를 가르치는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의 창의성수준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와 교사간 평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아버지의 평가수준이 매우 객관적인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셋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 아버지 양육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애정-적대요인과 자율-통제요인에서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 양육태도간의 상관관계분석결과 애정적 양육태도와 유창성, 독창성간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집단별 분석시 창의적인 유아를 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의 상관에서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성취-비성취 요인에서와 창의성제목의 추상성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일반 유아의 아버지와 보다 더 애정적이며 자율성이 높지만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집단내에서 창의성에 특별한 영향을 더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일반 유아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성이 낮을 때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양육차원은 애정성이나 비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서적인 측면의 지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STEAM 문제 상황에서 중등 영재반 학생들이 나타낸 문제의 발견과 해결 특성 (Features of Problem-Finding and Problem-Solving of the Secondary Gifted Students in the Context of STEAM Convergent Problems)

  • 이은선;심재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1호
    • /
    • pp.23-4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융합적 문제 상황에 대하여 중등영재반별로 나타내는 문제발견과 문제해결 능력의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STEAM 융합적 문제해결력 검사지를 사용하여 중등영재반별로 문제의 발견과 문제해결 과정에 작성한 활동지, 산출물 등을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시한 문제해결력 검사지가 지닌 전공 특수성이 문항에 대한 선호도와 문제를 발견하는 양상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재반별로 특정 과제에 대해 영재반에 따른 문제의 발견과 문제의 해결 능력의 차이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모둠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TEAM 융합적 문제 상황에서 문제의 발견과 문제해결에 전공 영역보다 개별 창의성과 모둠의 협력적 창의성이 더 크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문제의 발견과 문제해결력 평가에서 영재 학생들의 정의적 요인과 협력의 개념을 포함할 필요가 있고, 집단 창의성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협력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어머니의 특성이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Characteristics on the Creativity of Gifted and Non-gifted Preschool Children)

  • 이순복;전귀연
    • 아동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77-96
    • /
    • 2005
  • Maternal persona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parenting self-efficacy were included in mothers'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were 89 gifted and 147 non-gifted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struments were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Torrance, 1984; 김영채, 2002), Revised NEO-Personality Inventory(Costa & MaCrae, 1992), What Kind of Person Are You Scale of the Khatena-Torrance Creative Perception Inventory(Khatena & Torrance, 1976; 김영채, 2004), and Parenting Self-Efficacy Scale(최형성 & 정옥분, 2001). Results showed Disciplined Imagination of gifted preschoolers' mothers influenced children's Abstractness of Creativity, General Parenting Ability influenced Originality of Creativity, and Learning Guidance Ability influenced Abstractness of Titles of Creativity. Regarding non-gifted children, the Neuroticism, Acceptance of Authority and General Parenting Ability of mothers selectively influenced children's Abstractness and Elaborativeness of Creativity.

  • PDF

과학영재의 창의성, 환경,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Students Gifted in Science : Creativ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 김명숙;정대련;이종희
    • 아동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1-108
    • /
    • 2002
  • The present study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gifted in science and general students in creativ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Subjects were eighth graders, 66 students gifted in science and 105 genera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gifted in science were higher in creative thinking, creative persona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home environment than the general students. Self-regulatory efficacy was the most critical predictor of creativity.

  • PDF

영재 소프트웨어프로그램과 유아 창의성 증진의 상관관계성 (The Relationship of Genius Softwear Program with of Children Creation Increase)

  • 김준모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27-134
    • /
    • 2009
  • 기존의 객체지향 멀티미디어 베이스에 경험적 분류 모델에 기반을 둔 새로운 클래스를 도입한 영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모델을 설계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기존의 객체 멀티미디어 베이스에 경험적 분류 클래스를 도입하였으며, 이 클래스들을 연산하기 위한 설계된 객체 지향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설계된 객체 지향 영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집단과 실험처치된 실험집단과 비교하여 창의성향상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한다.

  • PDF

러시아의 과학영재교육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cientific Gifted Education in Russia)

  • 오희진;이효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2권1호
    • /
    • pp.85-100
    • /
    • 2008
  •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제도적 장치 하에 영재교육을 실시하였고, 영재교육은 양적으로 성장하여 왔다. 그러나 양적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이 미비하여 영재교육 내실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러시아의 최근 교육동향을 알아보고, 과학영재교육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현재 러시아 영재교육 현장에서 활동하는 3명의 과학영재학교장, 1명의 교육심리학자, 1명의 교육행정가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체계적 접근에 따라 분석하였다. 러시아의 과학영재교육은 교육을 통해 영재성이 성장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학교에서 학생들의 영재성이 최대한 발현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한다. 때문에 학교의 형태 또한 더욱 세분화된 과학영재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영재교육 초기는 학업성취가 높은 일부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으로서의 영재교육이 실시되고 있었지만, 이제 영재의 창의성을 발현하고 잠재적 영재성을 깨울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TRIZ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TRIZ Program for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 임혜진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467-48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TRIZ의 40가지 원리를 현행 교육과정 내에서 재구성하여 학교 안에서 모든 초등학생들이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4단계의 수업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TRIZ 활용 예시 자료집을 만들고 저학년용 수업지도안 및 학습지 13차시와 고학년용 수업지도안 및 학습지 12차시를 개발하였다. Y초등학교 2학년 학생과 J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창의성을 DESK이론에 따라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이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학생용으로 재구성된 TRIZ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 김혜원;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3호
    • /
    • pp.283-29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최근 5년간의 과학영재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국내 학술 데이터 RISS, KISS, DBpia를 선정하여 국내 학술논문 292편을 수집해 2,404개의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과학영재교육 연구물 수는 2019년에 이르기까지 그 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과학 영재교육 관련 연구에서 상위 10개의 주제어는 '학생', '프로그램', '초등', '수업', '창의성', '영재교육', '인식', '교사', '교육', '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로는 총 10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최근 5년간 과학 영재교육에서 주로 이루어진 연구주제는 '과학 영재학생의 정의적 특성', '중등 과학 영재학생의 특성',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과학고와 과학영재고의 교육활동', '과학 영재학생의 인지적 특성', '과학영재교육 정책', '과학영재학생과 창의성', '과학영재학생들의 연구수행교육', '과학영재학생의 학업과 진로선택', '과학 영재학생의 과학 개념'으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특정 토픽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2019년으로 올수록 토픽 간 비중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최근으로 올수록 연구가 한 주제에 치우치지 않고 고루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 창의성 검사지 개발 (A development of the test of creativity level for science field)

  • 김희수;김종헌;육근철;이희권;김정민;이봉재
    • 영재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26-4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창의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와 답지를 함께 개발하였다. 이 검사지에는 창의성을 이루고 있는 7 가지 창의성 요소를 반영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타당도와 문항의 명료성 등에 대한 검증을 받았다. 개발된 검사지는 332명의 중학생들에게 투입되어 타당도, 신뢰도 등 검사분석과 난이도, 변별도 등의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사분석 결과 타당도: 92%, 신뢰도: 0.84으로 문항분석 결과 난이도:$42%{\sim}73%$, 변별도: $0.22{\sim}0.70$ 를 보여 과학 창의성 수준 검사 과정에서 활용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 자기효능감에 대한 차이에 관한 연구

  • 서종진;황동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3호통권20호
    • /
    • pp.209-226
    • /
    • 2004
  • 본 연구는 이강섭 ${\cdot}$ 황동주 ${\cdot}$ 서종진(2003)의 개방형적인 접근의 수학 창의성 반응에 따라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조사한 것이다.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하더라도 독창성이나 창의성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있으며,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일지라도 유창성에서는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수학 창의성은 수학적 자기 효능감과는 다른 특별한 능력이고 수학 창의성 중에서 유창성은 아마 동기 능력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창의성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어 인지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동기적인 요인도 포함하여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