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 교육과정

Search Result 209,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대학 창업교육과정 만족도가 기업가적 기민성, 기회인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과정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an, Won-Hui;HwangBo, 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75-84
    • /
    • 2020
  • 2010년 이후 정부는 일자리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창업활성화를 국정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새로운 기회와 가치창출을 통한 창업활성화를 위해 창업의지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법론 적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들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활성화의 첫걸음으로 창업의지를 꼽았으며 창업의지를 가지기위한 선행조건으로 기업가적 기민성·기회인식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중점 추진되고 있는 정부주도의 대학 창업교육과정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창업교육과정별(교과과정 VS 비교과과정) 비교를 통해 향후 나아가야 할 창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실증연구 결과는 대학 창업교육과정이 창업에 필수적인 창업의지를 키우기 위한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 역량을 증대 및 영향을 끼치는 것을 시사하며 교육 만족도에 따라 그 효과는 변화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창업교과과정(학점) 보단 창업비교과과정이(비학점) 창업의지에 더욱 영향을 끼치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창업교육과정이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의 역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창업교육으로 커리큘럼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이론과정 보단 실습 위주의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방향성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for Curriculum Desig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y (창업교육의 대학교과과정 설계 방향에 관한 연구)

  • Mok, Young-Du;Choi, Myeong-Gil;Chun, Min-J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8-18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교육을 하나의 사회 시스템으로 인식하고 고등학교 창업교육부터 대학 및 대학원의 창업교육, 예비 창업자들에 대한 일반 창업교육까지를 연계한 체계적인 창업교육의 설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도 창업의 저변확대를 위해 가장 핵심적 영역인 대학 학부의 창업교과과정의 바람직한 설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창업교육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 국내대학 창업교육의 현황, 국내외 대학원의 창업교육 현황 등의 검토내용을 기반으로 대학 학부의 창업교과과정을 공통기초과정과 전공선택과정으로 나누어 설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아울러 전공선택과정은 전공영역(major area)과 집중영역(concentration area)으로 나누어 설계할 것을 제언한다.

  • PDF

커피 바리스타 교육 프로그램의 트렌드 연계과정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예비 창업자를 중심으로

  • Kim, Min-Ja;O, Sang-Do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67-70
    • /
    • 2018
  • 본 연구는 커피 바리스타 교육 프로그램에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연계 과정을 추가하여 예비 창업자들의 커피 전문점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커피 전문점을 창업하려는 예비창업자를 중심으로 커피 바리스타 교육 과정을 이수하였거나, 현재 교육 과정을 수강 중인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다. 실증연구에서 확인된 커피 바리스타 교육 프로그램과 커피 트렌드 연계과정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의 변수를 중심으로 상관분석을 통해 상관도를 확인하고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경로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스폐셜티 커피, 커피 산업의 제3의 물결과 같은 지속적인 커피 트렌드 분석을 통해 바리스타 교육 프로그램에 추가한다면 커피 바리스타의 전문성을 향상 시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커피 예비 창업자들의 창업의지를 향상시킬 것으로 보인다.

  • PDF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창업대학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Jeong, Jong-Seo;Min, Gyeong-S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01-22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여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시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먼저 국내학자들이 창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외학자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으며, 미국의 창업교육대학원과 일본의 창업교육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였다.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은 창업교육의 이론적 범위, 교육체계 및 실천적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기관의 교육목적 및 교육대상에 따라 세부교과목은 변경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특정 목적에 합당하게 체계화된 교육의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적용시킬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한국대학 창업교육 현황 연구: 학부·대학원 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 중심

  • Hong, Jong-Deuk;Gang, Hyeon-G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63-165
    • /
    • 2016
  • 본 연구는 2016년 현재 대한민국의 창업교육과정, 특히 대학 학부와 대학원 학위과정(2년이상 준학사, 학사, 석사, 박사 과정) 및 비학위과정(1개 학기용 개별 과목)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현재보다 나은 모델 개발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6년 4월 12일 교육부는 '대학원생 창업'을 독려하는 등 산학협력으로 2020년까지 5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겠다는 '산학협력 5개년(2016~2020)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로써 대학내 모든 전공의 학부생과 대학원생, 심지어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창업교육의 수요는 급증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앞서 2013년 9월 교육부, 미래과학창조부, 중소기업청은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을 발표했고 그에 따른 '창업선도대학사업'이 진행중이다(2015년 28개, 2016년 34개 대학). 한편, 민간기업인 SK그룹(SK텔레콤)이 중소기업청 창업진흥원과 협력하여 전국 대학 25곳을 선정하여 'SK청년비상 창업교육 및 지원프로그램'을 2016년 3월 시작하여 현재 가동되고 있다. 이로써 그동안 정부와 대학간 협력체제에서 진화하여 민-관-학 3주체 협력모델이 새롭게 전개되는 양상이다. 현재 전국 대학에 개설된 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들이 과연 양과 질면에서 적정한지, 그리고 구조가 잘 설계 되어있고 단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있는지에 대해서 다양한 평가와 논란이 있으므로 그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새로운 커리큘럼 개발에 공헌하기를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 조사 대상을 확대하여 분석을 통해 현재보다 나은 창업교육과정(커리큘럼) 개발에 발전적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n Education Course for Entrepreneurship;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Case of Babson College) (대학의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Babson College 사례)

  • Cho, Kwon-Rae;Hong, Hyo-Seog;Yoon, Byung-Seop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 no.2
    • /
    • pp.67-100
    • /
    • 2006
  •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promoting the entrepreneurship is(has been) rapidly proceeded in recent year. In spite of increasing importance of entrepreneurs for successful new venture creation, structured educational programs for entrepreneur development are very limited in Korea.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new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For this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e survey is designed to Babson College which is vote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s Best College" by US News & World report thirteen years in a row.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dicates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a subject model and a curriculum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a syllabus,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a fieldwork. Based on these literature review was organized research papers, documentary records,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data. And program designing and implementing stage was composed of analyzing each subject of plan and education training, interviewing with Babson College's students. And observing the field. In addition, the tool of analyzing was collected a cours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lated matters, a learned society, a research institute at Babson College and some books on pedagogics.

  • PDF

Development on Education Course for Entrepreneurship;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Case of Babson College) (대학의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Babson College 사례)

  • Cho, Kwon-Rae;Hong, Hyo-Seog;Yoon, Byung-Seop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4a
    • /
    • pp.279-311
    • /
    • 2007
  •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promoting the entrepreneurship is(has been) rapidly proceeded in recent year. In spite of increasing importance of entrepreneurs for successful new venture creation, structured educational programs for entrepreneur development are very limited in Korea.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new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For this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e survey is designed to Babson College which is vote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s Best College" by US News & World report thirteen years in a row.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dicates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a subject model and a curriculum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a syllabus,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a fieldwork. Based on these literature review was organized research papers, documentary records,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data. And program designing and implementing stage was composed of analyzing each subject of plan and education training, interviewing with Babson College's students. And observing the field. In addition, the tool of analyzing was collected a cours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lated matters, a learned society, a research institute at Babson College and some books on pedagogics.

  • PDF

The Pres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Educational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창업대학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 Jung, Jong-Seo;Min, Kyung-S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3 no.2
    • /
    • pp.1-29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and to enhance the program by applying new program. First, this paper examined domestic studies for preceding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did foreign studies as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e examination. And this paper drew new model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education program from American and Japanese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The mode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was drawn by theoretical range, educational system and practical model, and presented reform measures by applying that on the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The rang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is defined from the moment when an entrepreneur decided to his entrepreneurship to initial growth stage, and should educate specific knowledge required to the development of companies and measures against potential problems on the way to growth it. An entrepreneurship training program should be organized curriculum by the growth stages of company.

  • PDF

대학의 창업교육체계 구축이 창업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Kim, Byeong-Guk;Kim, Chang-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39-39
    • /
    • 2017
  • 정부는 대학발 창업에 대한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그동안 산재되어 있는 창업지원기능을 대학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을 확산하고 창업성과와 연계하기 위한 대학의 창업교육과정 및 창업지원체계 구축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K대학은 1998년 지역 내에서 가장 먼저 창업보육센터로 지정을 받았고 이후 2011년 창업선도대학, 2012년 LINC사업, 2013년 사관학교식 창업선도대학 및 2014년 글로벌창업대학원 지원사업 선정 등 각종 정부지원사업을 통해 창업인프라를 구축하여 왔다, K대학은 학부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창업수준 4단계, 기술분야별 교과과정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아이디어 도출부터 기업설립까지 창업 과정을 실질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는 창업동아리와 이를 지원하는 비교과 프로그램과 창업친화형학사제도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창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대학 내에 산재한 창업지원기관을 통합하고 본부 조직화하였다. K대학은 이를 통해 창업교과 수강학생 수 및 창업동아리 수에서 2배 수준의 증가와 창업자 수는 2013년에 비해 7배의 성장을 이루었다. K대학의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체계 및 창업성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대학에서의 창업시스템이 단계별로 구축될 필요성과 대학 내 구성원의 창업에 대한 인식전환과 성과도출까지 적응기간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ing Training Program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창업교육 전문가 양성과정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Ha, Kyu Soo;Yeo, Kyounge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3
    • /
    • pp.221-231
    • /
    • 2016
  • As the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increas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that are preparing to start a business increased rapidly. Entrepreneurial supporting policy from the government has been diversified and because of increasing suppor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deman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rising. As of today, most educator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are management major, expert or people who has the experience of starting a business. Lately, target of education has been diversified and as the demand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creases,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training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have been raised. In the present study, we are going to take a look a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raining course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in Korea and then do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s overseas. And then we derived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 When our training courses for the entrepreneurship educators are compared to the courses overseas, we do not have a systematic and ongoing courses. Training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done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training of educators has to be done prior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In accordance to the existing school system, we should strive to achieve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at cultivates specialized educa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