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실행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Track for Entrepreneurship Convergence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창업융합전공 트랙개설에 관한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Im, Jin-Hyuk;Kwon, Hyu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2
    • /
    • pp.177-186
    • /
    • 2020
  •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worldwide and the number of universities that open related subjects have been increasing.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as selected as one of the leading universities in entrepreneurship in 2014, and has continued to grow quantitatively by providing support and education related to entrepreneurship on and off campus. In addition, major issues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re derived by conducting written or face-to-face interviews and advisory meetings with instructors, field experts, and education demande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Based on this, three major tracks(venture start-up, entrepreneurship convergence, and social venture activation) were derived, and major competency and learning goals for each track were present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is study to be more effectively accepte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objectives of each track, the capabilities pursued, and the courses that help students' progress.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present the goals for each track, the curriculum road map, and the detailed curriculum of the convergence major, and at the same time, research to match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 for each newly opened subject will be required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Research on the Integration and Coexistence Path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rofessional Education in Universities (대학교 혁신 창업 교육과 직업 교육의 융합과 공존 경로 연구)

  • Xiaoyue Song;Jinling Wang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 Interdisciplinary Education
    • /
    • v.3 no.1
    • /
    • pp.29-50
    • /
    • 2023
  • This study selected college students in Anhui Province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used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o understand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integration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rofessional education.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college students have insufficient awareness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Poor integration of curriculum constru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reasons for the problems from four aspects: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universities, as well as the subjective will of students. Based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are proposed: firstly, strengthen top-level design; Secondly, promote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construction; Thirdly, expand the teaching staff; Fourthly, a practical platform for school enterprise co creation; Fifth, cultivate students' innovative awareness and guide innovative practice.

Analysis of Perceptions of Student Start-up Policies in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s: Focusing on the KAIST case (과기특성화대학 학생창업정책에 대한 인식분석: KAIST 사례를 중심으로)

  • Tae-Uk Ahn;Chun-Ryol Ryu;Minjung Bae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9 no.2
    • /
    • pp.197-214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s at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ized universities towards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and to derive policy improvement measures by applying a bottom-up approach to reflect the requirements of the policy beneficiaries, i.e., the students. Specifically, the research explored effective execution strategies for student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through a survey and analysis of KAIST stude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KAIST students recognize the urgent need for improvement in sharing policy objectives with the student entrepreneurship field,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campus entrepreneurship scene in policy formulation, and constructing an entrepreneurship-friendly academic system for nurturing student entrepreneurs. Additionally, there was a highlighted need for enhancement in the capacity of implementing agencies, as well as in marketing and market development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practical skills as entrepreneurs with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First, it calls for enhanced transparency and accessibility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ensuring students clearly understand policy objectives and can easily access information. Second, it advocates for student-centered policy development, where students' opinions are actively incorporated to devise customized policies that consider their needs and the actual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Third, there is a demand for improving entrepreneurship-friendly academic systems, encouraging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activities by adopting or refining academic policies that recogniz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as credits or expand entrepreneurship-related cour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valuable foundational data to actively support student entrepreneurship in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ized universities, foster an entrepreneurial spirit,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innovation-driven entrepreneurship ecosystem that contributes to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ocial value creation.

  • PDF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ng Program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Referring Will (기술창업교육프로그램 품질이 참여자 만족과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Yang, Young-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3
    • /
    • pp.1071-1078
    • /
    • 2010
  • This paper measures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the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ng program over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referring will. The paper focus on developing the best techno-entrepreneurship educating program alternative at the national level through evaluat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EC Program (developed in NC State University in U.S. and applied in Korea). This paper applies SERVQUAL model to evaluate the quality of TEC program in affecting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referring will, with collecting questionnaire sheets from participants of TEC program since 2007. The result of research show and confirm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and referring will existing among TEC program participants basing upon strong (+) correlation result between core components of SERVQUAL; tangibles, assurance, reliability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referring will.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활동을 위한 앱 인벤터를 활용한 안드로이드 앱제작 교육프로그램 개발

  • Bae, Ji-Hye;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235-238
    • /
    • 2016
  • 디지털 콘텐츠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는 앱은 개발자들의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현재도 무수히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많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분야에도 영향을 주어 앱을 활용한 교육환경과 교육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앱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구현되며 이는 콘텐츠 사용자의 유용성과 경제적 가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를 활용한 코딩 교육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관한 관련 연구들이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EPL을 바탕으로 비IT계열 전공의 대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고 창의적 사고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인 앱을 제작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 위한 안드로이드 앱제작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였다. EPL을 위한 도구는 MIT 미디어랩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의 안드로이드용 앱 인벤터2(App Inventor 2)를 사용하며, 제작한 앱을 스마트 기기에서 즉시 실행하고 확인할 수 있다는데 대해 학습만족도와 성취감이 높음을 수업관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작 과정에서도 활발한 사고력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of the Three Sector Trade Company for Export Buildup of Small and Midium Enterprises (지역중소기업의 수출진흥을 위한 제3섹터방식 무역회사 운영 합리화방안에 관한 연구)

  • Jang, Yeong-Cheon;No, Chang-G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221-249
    • /
    • 2006
  • 최근 세계는 경제블록화가 급속한 진행되는 한편 EU가입국의 확대, 중국의 WTO 가입을 비롯하여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무역 패러다임의 변화 등으로 급격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무역환경의 변화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폭넓은 무역지원정책을 추진하고 무역관리체계를 정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만큼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중소기업들은 국내외 경기의 지속적인 침체로 점차 해외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수출진흥을 위한 정책지원 전략은 무역환경의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무역중소기업의 무역마케팅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데 궁극적인 목표를 두고 현장실무지원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수출지원사업 실행방안을 마련하는 일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수출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부 수출지원사업 활용현황과 무역진흥정책 추진에 따른 향후과제를 검토 분석해보고, 나아가 기업들과 정부 유관기관과의 협력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 PDF

대학행정의 노력 및 신뢰가 산학협력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ong, Eun-Yeong;Choe, Jong-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143-14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의 관계를 통해 발생하는 장애를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을 대학행정의 노력과 신뢰에서 찾아본다. 기존 산학협력의 연구에서, 산학간의 관계는 경로의존성에 의해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지식의 흡수역량을 키움으로써, 양자간 협력에 대한 누적된 경험과 다양한 채널의 폭을 가진다. 하지만 상호간 인식의 차이와 제도적 장벽과 같은 산학협력의 장애는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장애를 극복해야만 좀 더 효과적인 성과를 유도하고, 지속적인 산학협력의 관계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대학행정의 노력수준과 산학간의 신뢰가 높을수록 산학협력 장애요인인 상호인식의 차이와 제도적 장벽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학협력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이 두 가지 요인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산학연관 주체의 관심과 실행 및 제도적 뒷받침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

중국 중소기업의 정보수집 및 활용 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 ;;Han, Sang-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173-176
    • /
    • 2021
  • 중국 중소기업들은 기업 경영에서 아웃소싱을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웃소싱을 위한 정보 수집 및 활용 역량은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역량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 이러한 정보 역량은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속가능한 성과 향상의 핵심 역량으로 작용할 수 있디.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중소기업의 이러한 아웃소싱 전략을 개방형 혁신 전략의 프레임워크에서 논의하고, 중국 중소기업의 정보수집 및 활용 능력이 기업들이 추진하는 제품 차별화나 원가우위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이러한 정보 역량들이 궁극적으로 기업의 최종적인 성과로서 수출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 중소기업 345개사의 응답을 확보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중소기업들의 정보수집 및 활용 역량은 각각 제품차별화 전략과 원가우위전략의 실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기업의 수출성과 역시 향상되는 것을 규명하였다.

  • PDF

농촌관광 관계마케팅의 고객만족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Ju-Heon;Hwang, Tae-Hu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04a
    • /
    • pp.181-18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관광의 관계마케팅 활동요인들과 고객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관계마케팅은 장기적 시각에서 고객요구 및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개념이다. 국가의 지원에 의존하던 과거 프레임을 벗어나 농촌관광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관계마케팅의 강화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 방문고객을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를 기초로 관계마케팅 활동요인들과 고객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관광의 실행요인들 중 고객화, 전문성, 커뮤니케이션, 유대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준화계수의 크기를 기초로 판단할 때 유대, 커뮤니케이션, 고객화, 전문성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재외국민 부적응 학생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형주연;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129-133
    • /
    • 2023
  • 이 연구는 재외국민 전형을 통해 입학한 학생들의 학교 부적응을 막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학교 적응도를 높이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학교 적응의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한편 학생 본연의 자아존중감 차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고 친구 관계에 따른 원인도 있을 것이라 전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적응 능력을 학습효과를 증진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시행하겠다. 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데 TCK가 원래 지닌 자아존중감의 높낮이가 프로그램의 결과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겠다. 또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기간에 학생들의 스트레스 지수 변화를 통한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도 연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바탕으로 자아 존중감(Self-esteem)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학생들이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부적응을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적응하는데, 있어 도움을 주는 데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