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업실행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1초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특성이 창업 행동 및 창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이선희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34
    • /
    • 2018
  • 다중지능은 하워드 가드너가 제시한 개념으로, 지능이 단일한 지적 능력을 나타내는 구조(construct)이라기 보다는 다차원적인 복수의 하위 능력들로 구성된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Gardner는 다중지능의 구성을 음악지능이나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 그리고 자연친화지능 등과 같은 상호독립적 능력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각 개인은 각 능력 영역에서 다른 발달 수준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창업자의 다중지능의 영역별 발달 특성이 창업 실행 행동, 창업 분야, 창업 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통해 예비 창업자들이 본인의 적성과 재능에 적합한 분야에서의 창업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돕는 지도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창업가 육성 프로그램의 구성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8년 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창업사관학교에 입교한 만 39세 이하의 청년창업자 200인을 대상으로 다중지능검사와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창업 특성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Pearson 상관계수 및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할 예정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의 3가지이다. 가설 1.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과 창업 실행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2.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에 따라 창업자가 선택한 창업 분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에 따라 창업자의 창업 성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PDF

선도 기술벤처기업의 비즈니스모델 실행이 창업기업에 주는 시사점 : 코스닥상장기업의 사례분석 중심으로 (Implications to High-tech Starts-up Driven from Implementing Business Model of Leading High Tech Ventures : A Case Study of KOSDAQ Listed High-tech Ventures)

  • 김종선;양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23-33
    • /
    • 2014
  • 본 연구는 코스닥상장 선도 기술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모델의 실행방법을 조사 분석하여 기술벤처 창업기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핵심 성과요인 중에 하나가 창업자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실행능력의 확보이고, 코스닥에 상장한 선도 기술벤처기업들의 지속성장 성과 핵심도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에 두어지는 만큼 양자의 공통요소를 상호 연결하여 창업기업들이 선도 기업들로부터 효과적인 비즈니스 모델 실행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는 점과 더 나아가, 창업기업 입장에서 비즈니스 모델 실행에 있어 자신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롤(Role) 모델을 구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선도 기술벤처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실행 연구결과,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비즈니스 모델은 단순히 가치창출 구조나 논리 차원을 넘어 CEO 중심으로 한 기업의 사업실행방법론이었다. 둘째, 비즈니스 모델은 CEO주도로 기업의 내부외적인 사업역량과 자산들을 효과적으로 통합하게 하는 입체적인 과정(Process) 이었다. 셋째,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전제로 한 전략적 접근의 툴(Tool) 이라기보다는 목표고객의 식별과 가치의 창출 및 전달과정의 실행과정으로부터 재무적 결과는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산물이다. 넷째, 선도 기술벤처기업 CEO들은 비즈니스모델을 활용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관련한 현장정보의 수집이었다.

  • PDF

'질 좋은' 창업의 개념정립과 창업교육 중심의 '질 좋은' 창업육성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A Conceptual Study for Creating "A Good Quality Startup" by Algorithm-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 양영석;최종인;황보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2호
    • /
    • pp.141-150
    • /
    • 2012
  •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패러다임이 '질 좋은 창업' 으로 이행되고 있는 추세 속에, 질 좋은 창업의 개념 정립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질 좋은 창업이 창출 될 수 있는 서식지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 '질 좋은 창업' 에 대한 직설적 논의는 정책적으로는 태동하였지만 이론적으로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성공창업에 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진행 된 바 이러한 선행연구를 참조하고 미국의 대학창업교육 현황 분석을 통해 질 좋은 창업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이의 달성조건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질 좋은 창업' 달성 모형 핵심은 질 좋은 창업성립요소 확보, 이의 혼합을 통한 준비과정, 그리고 이의 실행을 주도하고 지원하는 실행생태계였다. 이러한 모형은 이미 미국 대학교육에서 방대하게 실행되고 있다. 특히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의 TEC 프로그램 사례분석을 통해 이를 검증한 '질 좋은 창업육성 시스템' 을 제안하였다.

  • PDF

대학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학습자 교육 요구를 중심으로 (An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Learner's)

  • 김다혜;성창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127-142
    • /
    • 2022
  • 사회 변화에 따라 시대가 요구하는 융합형 창의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학 창업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창업교육의 수는 매년 증가하여 양적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의 질적 고도화는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 활성화와 질적 고도화를 위해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먼저,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창업교육에 포함되어야할 교육콘텐츠와 교수법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창업교육콘텐츠에 대한 니즈를 IPA 분석을 통해 도출하여 이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A대학 창업강좌에 프로그램을 적용,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자 의견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개발된 창업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강의 초반부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충분히 제시하고, 전반부에 아이디어 발굴과 비즈니스모델 설계를 포함하여 창업에 필요한 지식을 교수자 중심의 이론 강의를 통해 전달한다. 강의 후반부에서는 전반부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관심사 기반의 팀을 구성하여 학습자 중심의 실습활동을 운영한다. 실습 내용은 아이디어 선정, 비즈니스모델 분석, 사업계획서 작성 및 피칭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팀별 실습 활동은 수업시간 동안 이루어지고 교수자는 각 팀별로 애로사항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단기 창업교육이 예비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변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a psychological traits changes by entrepreneurship short-term education)

  • 이승재;황보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5권1호
    • /
    • pp.19-4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이 예비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다시 말하면,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이 창업교육을 받은 전과 수료 후 어떤 변화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으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로 통제의 위치, 위험감수성향, 성취욕구, 모호성의 수용을 다루어 왔는데, 여기에 새로운 심리적인 특성인 창의성을 추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을 위하여 서울과 대구의 성공창업패키지 교육 실행기관 중 임의의 기관을 선정하여 예비창업자 200명을 대상으로 대응표본 T-검증과 ANCOVA를 실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창업교육전과 창업교육 후를 비교하여 볼 때 성취욕구와 모호성의 수용, 창의성은 향상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통제 위치와 위험 감수 성향은 창업교육 전 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학력 그리고 창업교육 횟수에 따라 창업교육 전후의 심리적 특성의 차이가 있는 가에 대한 검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혁신플랫폼의 활용전략 (A Study on the Strategy for Innovation Platform Management to Promote Venture Ecosystem)

  • 권보람;김주성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9권4호
    • /
    • pp.137-146
    • /
    • 2014
  • 최근 들어 창조경제의 추진동력으로서 창업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플랫폼의 관점에서 창업생태계를 활성화하는 시도는 아직 본격화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보육, 자금, 혁신과 같이 창업생태계가 지향해야 할 주요 기능별 플랫폼을 살펴보고 그 중 혁신플랫폼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창업기업에게 혁신의 기회를 제공하고 빠른 제품개발과 실행을 지원하는 혁신플랫폼을 유형화하였으며, 나아가 국내 외 운영사례 분석을 통해 창업생태계의 활성화를 지원하고자 하였다.

  • PDF

대학생들의 경력개발과 관련된 계획된 행동들이 창업실행에 미치는 영향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s)

  • 한정희;조건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1-118
    • /
    • 2015
  • 대학생들은 미래를 위해 계획적인 경력개발활동을 다양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취업과 창업은 서로 다른 길이라 여기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경력개발과 관련된 일련의 계획된 행동들이 창업의지와 실행에 관련이 있는지를 '계획된 행동이론을 토대로 실증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분한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연구가설 4를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주관적 규범 (가설2, 창업을 강조하는 무언의 압력환경)을 제외하고는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 또는 기타 기관에서 제공되는 창업관련 정보와 교육에서 다분히 의도된 창업교육은 지양해야 한다. 아르바이트, 자격증 취득과 같은 취업을 위한 경력개발활동도 창업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였다. 효과적인 창업교육이 되기 위하여 대학생들이 창업관련 제반 교육 등이 본인의 경력개발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부각시켜, 창업에 대한 자신감인 자기효능감을 제공해 주는 것이 요구된다.

  • PDF

한국 교사들의 기업가정신 교육 역량 중요도: 실행도 분석

  • 윤성혜;이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67
    • /
    • 2021
  • 최근 중등교육에서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현장에서 이를 실천할 교사의 역량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실천할 교사들의 역량을 탐색하고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교육 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테크놀로지내용교수지식) 모델에 기반하여 기업가정신 교육 역량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기업가정신 교육에 관심이 있는 중등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TPACK의 모든 하위 요인에 대하여 중요도의 평균이 실행도의 평균보다 높아 교육적 처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실행도 매트릭스에서 가장 개선의 우선순위가 높은 요인은 CK(내용지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기업가정신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창업기업의 품질경영시스템 프로세스 실행이 차별화 경쟁우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 규모의 조절효과 (Impact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process implementation on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any size)

  • 정헌배;이현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225-23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기업의 품질경영시스템 실행이 차별화 경쟁우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품질경영시스템 실행과 차별화 경쟁우위의 관계에서 기업 규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259부를 SmartPLS 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리더십, 기획, 지원, 운영, 성과평가, 개선은 차별화 경쟁우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상황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별화 경쟁우위는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 규모는 리더십, 지원, 운영, 개선과 차별화 경쟁우위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품질경영시스템이 창업기업의 품질을 개선하여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품질경영시스템을 실행할 때 조직의 상황과 기업 규모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은행원의 Big5 성격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을 매개 변수로

  • 김경선;박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1-14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기관 종사자의 Big5 성격요인에 따른 창업의도를 밝히는데 있다. 또한 디지털미디어 활용 역량이라는 매개 변수가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금융기관 중 제1 금융권에 재직중인 은행원으로 대상을 세분화하여 살펴볼 예정이다. 은행원의 창업의도에 관한 선행 연구가 적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도 직장 내에서의 직무 만족이나 고용불안정에 따른 이직과 창업의도, 그리고 은퇴 후의 삶에 대한 논문이 다수이다. IT와 핀테크의 발달로 인해 은행의 구조조정은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실행되어질 것이다. 대상자의 확대로 정년과 상관없이 30대 이후의 모든 연령층에서 희망퇴직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30~40대의 희망퇴직자는 상당수 이직이나 창업에 뜻을 두고 있다. 은행원의 성격 특성을 분리하고 창업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을 분석하여 창업의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은행원의 특성에 맞는 창업교육프로그램이 이루어진다면 창업의 성공적인 결과를 이루어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