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Vehicle Integrated Dynamics Control System with Brake System Control (제동 장치를 이용한 차량통합운동제어시스템 개발)

  • Song, Jeongho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7
    • /
    • pp.591-597
    • /
    • 2017
  • This study is to develop a vehicle Integrated Dynamics Control System(IDCB) that can stabilize the lateral dynamics and maintain steerability. To accomplish this task, an eight degree of freedom vehicle model and a nonlinear observer are designed. The IDCB independently controls the brake systems of four wheels with a fuzzy logic control and a sliding model control. The result shows that the nonlinear observer produced satisfactory results. IDCB tracked the reference yaw rate and reduced the body slip angle under all tested conditions. It indicates that the IDCB enhanced lateral stability and preserved steerability.

A Study on Tools for Agent System Development (긴급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모델링을 통한 안전성 검사)

  • Park, Chul-Woo;Yun, Sang-Jun;Kim, Kee-Che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280-283
    • /
    • 2013
  • 최근 원자력 발전소, 의료 시스템, 항공 시스템 등과 같이 사람의 생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로 제어하는 시스템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차량에서 또한 차량 제어 소프트웨어의 오작동으로 인한 잦은 사고로 인하여 운전자와 탑승자의 생명을 위협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차량시스템 제어 소프트웨어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로 차량에 통신 기술을 접목한 차량 통신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차량 운전자 뿐 아니라 탑승자의 안전과 밀접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많은 연구 중 긴급메시지전송 시스템은 차량 간 통신(V2V)을 통한 운전자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연구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 긴급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모듈을 구조적으로 나누고 이를 통하여 긴급메시지 전송시스템 구조의 안전성을 평가한다. 긴급메시지 전송시스템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오토마타 모델링을 통한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고 검증을 위해 CTL 논리식 정의, SMV(Symbolic Model Verifier)검증도구를 통한 시스템 안전성 모델 검사를 하였다.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ASMS Hydraulic Modulator (Automotive Stability Management System) (차량 안정성 제어용 유압 모듈레이터의 특성 해석)

  • Song, Chang-Seop;Kim, Hyoung-Tae;Shin, Sang-Won;Jeong, Tae-C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8 no.10
    • /
    • pp.127-133
    • /
    • 2001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factors of a hydraulic modulator of ASMS was analysed. The modeling of ASMS was presented and the equation of ASMS was derived from the modeling. With this background, GUI analysis tool was developed. After the verification of the reasonability of simulation, the response of a hydraulic modulator is investigated through simulation of modeling. With this simulation, each behavior was predicted with changing the various parameters and determined the influenced factors to apply the designing process.

  • PDF

A Study on Braking and Driving Force Distribute Control for Active Traction Control System (능동 휠 토크 제어시스템 설계를 위한 제동력${\cdot}$구동력 배분제어에 관한연구)

  • Park Jung-hyen;Kim Soon-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9 no.6
    • /
    • pp.1402-1406
    • /
    • 2005
  • A study on the vehicle stability is discussed. In the field of the studies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s help overcoming the limit of improvement in vehicle performance with the methods above. Driving stability is mainly incorporated with the later motion of a vehicle generated by the driver's steering input. Recently VDC system has been studieed in order to improve the active stability. This VDC system uses the active braking force. This paper propose the ATC that uses driving force. This paper compared VDC with ATC through an experiment.

ITS 통신 표준화 활동 현황 및 전략

  • 장병수
    • TTA Journal
    • /
    • s.68
    • /
    • pp.14-18
    • /
    • 2000
  • 우리 주변에는 휴대폰, PDA단말기, 무선호출기,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 전달의 수단이 많이 있다.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 지능형 교통시스템)는 기존의 도로교통 기반시설에 차량제어와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되어 교통의 효율성과 차량 운행의 안정성, 에너지 절약 등 많은 사회 편익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국가적으로는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기술이다. ITS는 기존의 교통 기반시설에 정보통신과 차량제어 등의 기반시설과 기술을 연계시켜 교통의 효율성과 차량운행의 안전성, 에너지 절약 등을 목표로 한다. 매우 다양한 기술과 기반시설이 활용되므로 ITS가 교통문화와 산업체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 본 고에서는 ITS의 여러 가지 분야 중에서 정보통신 분야의 국내외 동향 및 TTA TC06의 향후 방향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mproving Driving Stability System by Yaw Moment Control (요우모멘트를 통한 주행안정성 향상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Park Jung-hyen;Kim Soon-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2
    • /
    • pp.392-397
    • /
    • 2006
  • This paper proposed yaw moment control scheme using braking and active rear wheel steering for improving driving stability especially in high speed driving. Its characteristics the unified chassis control system of two equipment that 4WS(4 Wheel Steering) and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was compared each equipment. And conventional ABS and TCS can only possible to control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braking equipment and drive which can only available to control of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after new braking system ESP was developed, which controls both of longitudinal and lateral, with adding of the function of controlling Active Yaw Moment. On this paper, we show about not only designing of improved braking and steering system through establishing of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design of 4WS and ESP but also designing of the system contribute to precautious for advanced vehicle stability problem.

CAN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N Protocol (CAN Protocol을 이용한 CAN 통신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Seo-Kyung;Lee Jae-Yong;Kim Dong-Hyun;Choi Kwang-Joo;Jung J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23-1426
    • /
    • 2006
  • 자동차 산업은 관련 기술의 진전과 함께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신뢰성 및 안정성의 확보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편리성과 같은 새로운 기능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각종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해 차량 내 기능의 신뢰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 조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각종 기능에 대한 전자통신 시스템을 사용한 제어 및 네트워크의 통합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CAN(Controller Area Network)과 같은 네트워크 개념의 도입으로 차내 전선사용의 감소뿐만 아니라 제어 및 고장의 진단을 용이하게 하고 차량 내 안전성의 개선 및 자동차 품질과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AN Protocol을 분석하고 차량 내 제어 데이터 전송을 위해 CAN을 통한 통신 시스템을 구현 및 검증하였다.

  • PDF

An Investigation of Con01 Threshold of Vehicle Stability Control System (제어시점에 따른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의 제어 경향)

  • Chung, Tae-Young;Yi, Kyong-S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3 no.5
    • /
    • pp.195-201
    • /
    • 2005
  • In conventional Vehicle Stability Control (VSC) System, a control threshold is designed by average driver characteristics. Despite the stabilizing effort, VSC causes redundancy to an expert driver. An advanced VSC which has flexibility on its control property is proposed in this study. By using lateral velocity estimator, a control threshold is determined on side slip angle and angular velocity phase plane. Vehicle planar motion model based sliding controller is modified with respect to various control threshold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VSC algorithm has been investigated by human-in-the-loop simulation using a vehicle simulato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ontrol threshold has to be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driver steering characteristics. A VSC with variable control thresholds would provide an improvement compared to a VSC with a constant threshold.

Construc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Systems for a Scaled Steering Bogie (축소 조향대차의 장애물 검지시스템 구축)

  • Kim, Minl-Soo;Hur, Hyun-M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757_175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철도차량의 능동조향시스템 연구를 위한 축소 조향대차의 장애물 검지시스템 구축에 대여 연구하였다. 철도차량에서 능동조향이란 곡선부 주행 시 차륜/레일 접촉에 의한 승차감 저하 및 차륜/레일의 마모와 소음을 줄이고, 고속주행을 위한 조향성능 및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휠셋의 제어기술이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조향제어전략 및 제어기법을 연구하기 위한 축소 차량모델(견인대차와 조향대차로 구성)의 개발과정으로서 자동운전을 위한 장애물 검지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주행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