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단유전학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짱뚱어(Boleophthalmus pectinirostris)와 남방짱뚱어(Scartelaos gigas) (Gobiidae)의 분자유전학적 계통연관과 DNA 다형화 (Phylogenetic Relationship and DNA Polymorphism of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and Scartelaos gigas (Teleostei: Gobiidae) of Korea)

  • 최기호;정의영;박갑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9-156
    • /
    • 2013
  • 우리나라 망둑어과 어류 중 말뚝망둥어아과에 속하며 형태학적으로 흡사한 짱뚱어 (B. pectinirostris)와 남방짱뚱어(S. gigas)를 대상으로 12S rRNA, 16S rRNA 및 mitochondria cytochrome b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종내 및 종간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짱뚱어 종내 개체간 유전적 차이를 밝히기 위해 mitochondria내에 3가지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순천지역과 군산지역간의 염기서열은 12S rRNA는 총 434 bp (base pair)의 염기서열을 얻었으며 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순천지역과 군산지역의 집단 간에는 100% 동일한 염기서열을 보였고, 16S rRNA 유전자는 총 484 bp의 염기서열 중 99.6%의 차이로 단지 2 bp가 치환된 것으로 나타났고, mitochondria cytochrome b 유전자의 경우, 444 bp의 염기서열을 얻었으며 두 지역 간 염기서열은 100%의 일치도를 보였다. 한국산 짱뚱어를 대상으로 한 동일한 종내에서 서식지 (서해, 남해)에 따른 유전적 차이나 지리적 거리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이상의 3가지 유전자를 비교해 본 결과를 종합해 보면, 종내 개체 변이와 지역별 변이는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짱뚱어와 남방짱뚱어 2종간 비교 (inter-species)에서는 순천지역 짱뚱어와 해남지역 남방짱뚱어를 12S rRNA 유전자와 16S rRNA 유전자 및 mitochondria cytochrome b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각각 96.1% (17 bp), 94.0 (29 bp), 그리고 82.9% (76 bp)로 나타나 두 종의 유전학적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짱뚱어와 남방짱뚱어 두 종간에 3.9~17.1%를 보여 서로 다른 종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옥수수 유망자식계통들의 잡종집단에서 주요 농업형질들의 유전분석 (Genetic Studies of Major Agronomic Traits in Hybrid Populations of Maize Inbred Lines.)

  • 김남수;이주경;박종열;박기진;류시환;신지현;이명숙;민황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04-313
    • /
    • 2004
  • 본 연구는 교잡종 옥수수의 품종개발 및 옥수수의 생산능력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미국에서 도입된 유망자식계통들을 이용한 5개의 교배조합들 그리고 이들의 F$_1$ 및 F$_2$ 세대에서 6개의 농업형 질들에 대한 유전양상을 구명하였다. 공시된 5개의 교배조합들과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에서의 잡종강세효과는 교배조합 및 농업형질들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교배조합들 중에서는 Mo17/B14A, Va85/B73조합들이 조사된 대부분의 형질들에서 가장 뚜렷한 잡종강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 그리고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중에서는 종자생산량이 교배조합들 사이에서 가장 큰 잡종강세 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중에서 종자생산량은 5개의 교배 조합들 중에서 C103/ND203과 FR35/Oh43 조합을 제외한 나머지 조합들에서 자식약세 현상이 다른 형질들보다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리고 이들 수량관련 형질들은 일부 교배조합들에서의 예외적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정의 방향으로 자식 약세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공시된 5개의 교배조합들 중에서 Mo17/B14A, C103/ND203 조합들은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모두에서 50%이상의 비교적 높은 유전성을 나타내었고, 반면에 Va85/B73 조합은 100립 중을 제외한 모든 형질들에서, 그리고 FR35/Oh43 조합은 간장과 착수고를 제외한 모든 형질들에서 50% 이하의 낮은 유전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중에서 이삭길이를 제외한 모든 형질들은 5개의 교배조합들 모두에서 평균 유전력이 50% 이상을 나타내었으므로 이러한 형질들은 옥수수의 교잡육종을 위한 중요한 선발형질들임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 이용된 5개의 교배 조합들 중에서 대비 조합으로 쓰인 Mo17/B14A(수원19호)조합은 조사된 대부분의 형질들에서 비교적 높은 생육 및 수량특성을 나타내었으므로 옥수수의 계통선발에 의한 품종육성에 유용한 품종 및 자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NIRS 분석 Data에 의한 국내외 육성품종 벼 유전자원의 아밀로스 및 단백질 성분에 대한 통계분석 (Statistical Treatment on Amylose and Protein Contents in Rice Variety Germplasm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Analysis of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 오세종;채병수;이명철;최유미;이수경;고호철;;현도윤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98-514
    • /
    • 2018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근적외선 분광분석(NIRS) 예측모델을 활용하여 측정된 국내외 육성품종 벼 유전자원의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 자료를 통계처리 하여 자원의 지리적 특성과 함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정규분포분석 결과 육성품종 벼 자원의 단백질 평균은 8.0%였고, 찰벼 아밀로스 평균은 8.8%였고, 메벼 아밀로스 평균은 22.7%였다. 전체자원의 95%를 차지하는 자원들의 함량범위는 단백질의 경우 5.4-10.6%, 찰벼 아밀로스는 5.9-11.5%, 메벼 아밀로스는 16.9-28.5%였다. 자원의 다양성지수는 단백질의 경우 0.59, 찰벼 아밀로스는 0.81, 메벼 아밀로스는 0.64였다. ANOVA, DMRT 처리 자원 수는 중국 자원의 경우 1,542, 일본은 1,409, 한국은 413, 인도는 287자원이었다. 국가별 아밀로스 평균함량은 일본 자원의 경우 18.85%, 한국 자원은 19.99%, 중국 자원은 20.27%, 인도 자원은 25.46%였다. 단백질 평균함량은 한국 자원의 경우 7.23%, 일본 자원은 7.73%, 중국 자원은 8.01%, 인도 자원은 8.17%였다. ANOVA 분석결과 벼 유전자원의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은 국가별 차이가 있었고 1%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인정되었다. DMRT 분석결과 국가별 아밀로스 함량은 일본, 중국과 한국, 인도의 세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각 집단 간 아밀로스 함량차이는 1%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인정되었다. 단백질 함량의 경우 한국, 일본, 인도와 중국의 세 집단으로 나눌수 있었으며, 각 집단 간 단백질 함량차이는 1%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인정되었다. 일본 자원은 가장 낮은 아밀로스 평균함량을 나타냈고, 한국 자원은 가장 낮은 단백질 평균함량을 나타냈다. 이에 비해 인도 자원은 가장 높은 아밀로스와 단백질 평균함량을 나타냈다. 이러한 지리적 분포에 따른 육성품종 벼 자원 간 함량 차이는 각 지역별 자원 선호도와 육종 방향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국 토종닭 집단의 혈통구조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 (Inbreeding Levels and Pedigree Structure of Korean Indigenous Chicken Population)

  • 차재범;박병호;박미나;강하연;김용민;김종대;허강녕;추효준;강보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3-9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가금연구소에서 집단의 혈통 구조 및 근친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근교계수와 유효집단크기를 추정하였으며, 추정한 근교계수의 신뢰 정도를 제시하기 위하여 혈통의 품질로써 1) 아비 어미를 모두 아는 개체의 비율과 2) 근교계수가 0이 아닌 개체의 비율을 태어난 부화 년도와 계통에 따라 제시하였다. 아비 어미를 모두 아는 개체의 비율에서 대부분 계통이 1~2년 사이에 거의 100%에 도달하였으며, 근교계수가 0이 아닌 개체의 비율에서 기초집단인 0세대부터 5~6년 사이에 비율이 100%에 가깝게 도달하는 것을 보면 가금연구소 혈통기록 시스템이 잘 이루어졌으며, 이 논문에서 추정한 근교계수가 신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각 계통의 평균 근교계수에서는 20세대 동안 7.6~10.9%의 근교계수 상승도를 보였다. 세대당 가장 높은 근교계수 상승도를 보인 계통은 S계통으로 10세대 동안 8.2%의 근교계수 상승도를 보였으며, 평균 번식에 참여한 아비 어미의 수가 다른 계통에 비해 낮은 것이 원인인 것으로 사료된다. 평균 근교계수 변화량(${\Delta}F$)으로 추정한 유효집단크기를 보면 모든 계통에서 평균 근교계수 변화량이 0.39~0.85%로 1% 이하로 관리되는 것을 보이며, 따라서 유효집단크기도 모든 계통에서 50 이상의 값을 보였으며, 현 교배 관리에서 토종 닭 집단이 단시간에 근친퇴화나 집단의 멸종으로부터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유효집단크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즉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정 수의 아비 어미가 번식에 참여해야 된다고 사료된다.

느티나무 종자특성의 지리적 변이와 1년생 유묘의 생장 (Geographic Variation of Seed Characteristics and 1-year-old Seedling Growth of Zelkova serrata)

  • 김인식;이주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34-244
    • /
    • 2013
  • 본 연구는 느티나무 집단의 종자특성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종자특성이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느티나무16개 집단에서 종자를 채취하여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포지에서 1년간 양묘한 후 묘목의 생장을 조사했다. 종자특성과 유묘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조사형질과 종자채취 집단의 지리적기후적 인자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종자특성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모든 측정형질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리적 요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종자길이와 종자폭은 위도, 경도, 해발고, 해안으로부터 거리와 정의 상관을 보여준 반면, 종자형상비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기후인자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종자길이와 종자폭은 종자채취 집단의 연평균 기온 및 생육기(3~8월)의 평균기온과 부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종자형상비는 이들과 정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천립중은 지리적요인과 상관이 없었고, 기후인자 중 건조지수와 유의하지만 낮은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용적중은 위도, 경도와 낮은 부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생육기 (3~8월)의 평균 습도와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종자충실율은 위도, 경도와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건조지수와는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유묘의 생장은 묘고와 근원경 모두 집단 간, 집단 내 가계 간 그리고 가계 내 개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묘고와 근원경은 모두 경도 및 생육기(3~8월) 평균 습도와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종자특성과 유묘생장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묘고생장은 종자특성과 상관이 없었으며, 근원경은 천립중 및 용적중과 유의하지만 낮은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점을 볼 때, 느티나무 1년생 유묘의 생장은 종자특성의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반적으로 볼때, 종자특성과 유묘생장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지리적 또는 기후적 요인과의 상관성이 낮아 그 경향성이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년생 유묘에 대한 분석만으로는 느티나무 집단의 유전적 특성 및 지리적 변이를 정확히 추정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며, 추후 산지시험을 통한 조림지 적응성 및 생장특성 검정 결과를 토대로 느티나무 집단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AFLP를 이용한 Rhizoctonia solani 균주들의 분자계통학적 특성규명 (Molecular Systematics of Rhizoctonia solani Isolates from Various Crops with AFLP)

  • 최혜선;김경수;김희종;이윤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0-45
    • /
    • 2000
  • Rhizoctonia solani 분류를 위해 균사의 anastomosis group과 phylogenetic group간의 유전적 차이의 분석을 위해 AFLP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의 유사도는 크게 5집단으로 나뉘어졌다. 균주 9와 균주 20은 0.777을 나타내며 AG-5 group에 속하였고 균주 6은 균주 24와 0.670으로 AG-3 group에 속하였다. 균주 3은 균주 13과 0.844, 균주 10과 0.833의 높은 상동성을 보이며 AG-2-2 group에 속하였다. 균주 2는 균주 11과 0.744, 균주 3은 균주 13과 0.844, 균주 4는 균주 5와 0.870, 균주 5는 균주 16과 0.833을 나타내며 AG-1 group에 속하였다. 균주 7은 균주 8과 0.837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고, 균주 8은 AG-1( I B)와 0.751를 나타냈고, 균주 1과 균주 7,8은 AG-1( I B)에 속하였다.

  • PDF

보리의 교배조합 검정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Barley Hybrids in their Early Generation)

  • 김흥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86-391
    • /
    • 1988
  • 보리의 교배육종에서 교배조합의 양부를 초기세대에 검정할 수 있는가를 Sakai의 이론에 따라 구명하기 위하여 보리의 수량형질인 추수, 입수, 수중, 개체별 입중에 대해서 5개 교배조합을 가지고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수의 경우 3개 조합에서 그리고 수중의 경우는 1개 조합에서 상가적유전분산이 부의 방향으로 계산되었고 교배조합의 우량도를 계산할 수 없었으나 나머지 조합과 형질에서는 무난히 계산이 가능하였다. 2. 수수에 대한, 교배조합의 우량도 Y는 SB 76588$\times$SB72648 조합이 제1위였다. 또 이 조합은 F$_4$ 집단의 상위 5 % 및 10%내 식물의 평균순위에서도 2위를 하여 수수에 대해서는 이 조합이 5개 조합중 가장 좋은 조합으로 인정되었다. 3. 수당입수에 있어서는 3개 조합에서 Y값의 추정이 불가능하였으나 나머지 2조합을 가지고 보았을 때 F$_4$ 집단의 순위가 높고 Y값도 높은 밀양 006$\times$수원20003 조합이 우량조합인 것으로 보이었다. 4. 수종에서는 Y계산이 불가했던 1개 조합을 제외한 나머지 조합에서 Y에 의한 순위와 F$_4$에의 한 순위와 대체로 일치하였고 밀양006$\times$수원 20003 조합이 우수조합으로 나타났다. 5. 개체별 입중에서도 Y값에 의한 순위와 F$_4$에 의한 순위가 대체로 일치하였고 SB76588$\times$SB72648 조합이 가장 우수한 조합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arch gel 전기영동법에 의한 한국산 초파리의 alcohol dehydrogenase (ADH)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lcohol Dehydrogenase of Drosophila melanogaster in Korea by Starch Gel Electrophoresis)

  • Chung, Yong-Jai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7-77
    • /
    • 1973
  • 한국산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의 starch gel 영동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춘천, 진주, 신촌(서울), 대전의 초파리 4계통을 starch gel media를 사용하여 벤드의 분포, 염색강도 및 이동도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춘천, 진주, 신촌(서울)의 3계통은 벤드의 수와 분포, 염색강도, 이동도가 다 같이 심한 변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반하여 대전계통은 변이가 거의 없다. 2) 이러한 전기영동상의 차이는 대전 계통의 초파리 집단이 ADH구성에 관하여 동질적(homogeneous)이고 다른 3계통의 집단은 이질적(heterogeneous)이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3) 전기영동상이 4계통의 초파리에서 다 같이 암$\\cdot$수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설명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로서 장차 분석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4) Starch gel media가 cellulose acetate media보다 해상력이 월등하다는 것이 재확인 되고 있다. 5) Agar gel이나 acrylamide gel 같은 다른 영동 media를 써서 ADH의 전기영동 실험을 하여 starch gel media를 사용한 본 실험의 결과와 비교하는 것과 ADH에 관한 유전적 분석이 시급히 요구되는 앞으로의 과제이다.

  • PDF

수온 및 estradiol-$17{\beta}$ 처리가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성결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mperature and Estradiol-$17{\beta}$ Treatment on Phenotypic Sex Determination in Different Genotype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노충환;남윤권;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5-201
    • /
    • 1997
  • 수온 및 estradiol-17 ($E_2$) 처리가 나일틸라피아의 성결정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가지의 유전자형 집단(XX : XY=1 : 1, 1 : 0, 0 : 1)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군들간 수온 및 $E_2$ 처리에 따른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사육 수온에 따른 성비는 대조군($27^{\circ}C$)에서는 각 유전자형에 따라 예상되는 암수 비율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성분화 시기에 사육 수온을 33 및 $36^{\circ}C$로 증가시킨 실험군에서는 암컷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33^{\circ}C$에 비해 $36^{\circ}C$ 실험군의 암컷률이 높았다. 서로 다른 처리 수온 조건에서 $E_2$ 처리를 병행한 결과 모든 처리 수온에서 호르몬 처리를 하지 않은 실험군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암컷률을 보였다.

  • PDF

한국과 몽고 일부 재배마늘의 유전적 변이와 재배종 특이적 RAPD 마커의 탐색 (Genetic Variation and Identification of RAPD Markers from Some Garlic Cultivars in Korea and Mongolia)

  • 배성국;정은아;권순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58-464
    • /
    • 2010
  • 국내외에서 재배되는 12종의 마늘을 수집하여 총 143개의 임의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분석을 실시한 결과 55개의 primer로부터 종간에 다형성을 보이는 DNA밴드가 나타났다. RAPD에 의해 다형성을 보인 55개의 primer에서 확인된 총 DNA 밴드 수는 187개였으며, 그 중 128개(68.5%)가 12종의 마늘 지방종간에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PCR에서 다형성을 보인 DNA 밴드를 대상으로 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가 0.71이상에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졌는데, 제1그룹은 의성, 서산, 삼척, 예천-A, 예천-B종, 의성노랑, 정선, 남도, 단양 및 육백종 등으로 대서종을 제외한 한국의 재배종이 모두 포함되었으며, 제2그룹과 제3그룹은 각각 몽골종과 대서종 단독으로 나누어졌다. 종 특이적으로 DNA밴드를 나타내는 primer를 분석한 결과 21개 primer에서 30개의 DNA밴드가 어느 특정의 지방종에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어, 지방종 마늘 10종을 구분할 수 있는 30개의 RAPD 마커가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