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업능력개발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초

시사포커스-국가서 인쇄분야 직업능력표준 만든다

  • 조갑준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33호
    • /
    • pp.58-61
    • /
    • 2005
  • 출판.인쇄분야가 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동훈)이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한 국가직업능력표준에 포함됐다. 국가직업능력 표준 개발은 노동부가 지난 2002년 5월 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에 국가직업능력표준개발기획단을 구성해 국가직업능력표준 개발현황, 모형설계, 활용방안 연구와 일부 영역의 개발을 위탁함으로써 이뤄졌다. 이를 통해 노동부와 산업인력공단은 2004년에 출판.인쇄, 환경서비스, 마케팅, 기계장치설치 및 유지보수, 건설시공 등 5개 영역(34직종)의 직업능력표준 개발을 완료했고 향후 매년 20~30개 영역을 개발하여 2008년까지 총 100개 영역에 대해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 PDF

오산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 (Improvement Program of Osan College Students' Vocational Basic Ability)

  • 박종찬;김동호;이연희;김영길;김지범;이영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전문대학교육위원
    • /
    • pp.59-69
    • /
    • 2007
  • 본 연구는 산업체 임직원 및 오산대학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우선 요구하는 직업기초역량이 무엇이고, 우리나라 대학들에서는 이러한 직업기초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오산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역량 향상 방안을 모색, 이를 대학의 정책에 반영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승환(2005)이 개발한 직업기초능력 진단지를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각 학과에 협조문과 함께 배포하여 이를 회수하였다. 그리하여 설문에 응한 총 292명의 산업체 임직원 및 51명의 교수들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한편, 우리나라 대학들에서 재학생의 직업기초역량 향상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를 문헌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각 직업기초역량별 하위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 대비 현재수준을 통해 개발이 요구되는 직업기초역량을 산업체 임직원들의 담당업무별로 알아본 결과, 사무 관리직은 '자기개발 관리능력',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영업서비스직은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 관리능력'을, 기술 생산직도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 관리능력'을 기타 업무의 경우도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 관리능력'을 부족한 역량으로 꼽았다. 둘째, 교수들이 속한 학과의 계열별로 볼 때, 공학계열은 '기획능력', '자기개발 관리능력', '문제해결능력', '비즈니스 예절'을 그리고 인문사회계열은 '자기개발 관리능력', '기획능력', '문제해결능력', '비즈니스예절', '직업윤리'를, 기타 계열은 '문제해결능력', '기획능력', '직업윤리', 자기개발 관리능력', '정보능력'의 순으로 부족한 역량으로 꼽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오산대학 각 계열 재학생들에게 우선 요구되는 직업기초역량 둥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노인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Exploring Development Directions of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Vocational Competence of Older Adult)

  • 김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28-739
    • /
    • 2017
  • 이 연구는 노인계층의 재정적 자립과 지속적 사회생활을 통해 그들이 주체적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직업능력개발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지향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과 일자리 간 연계가, 노인들이 안정적인 일자확보와 더불어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하게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탐색을 통해 향후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일자리 기회가 비숙련직 중심으로 열려있으므로 표준화된 정규 편성된 프로그램과 연계되지 못하였고, 이는 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지속성의 부족으로 인한 고용불안으로 이어졌다. 또한 노년층의 직업능력개발이 경제활동 목적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족하여, 직업능력개발 관련 프로그램들이 취업과 직접 연계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문제를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연계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노인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 및 표준화하여 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지속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노인의 고용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관리 지원하여 교육기관과 일자리 간 연계가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gramming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Process)

  • 이성옥;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94-30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훈련분야에서 프로그래밍을 가르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함에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래밍 교육훈련에 20여년 이상 종사하고 있는 A 교사를 내러티브 연구방식으로 인터뷰하였다. 연구문제인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입직전, 입직, 성장, 성숙의 시간적 흐름을 거치면서 총 12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고, A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교사교육경험이 직업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을 알아보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나이, 근무한 기간, 소속된 기관 등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을 대상으로 폭넓은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현장에서 경험하게 되는 정책과 이슈에 대하여 연구되어야 하겠다.

순차분석을 활용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입직경로 분석 (A Study on Employment Path of Vocational Instructors Using Sequential Analysis)

  • 김민정;이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78-89
    • /
    • 2021
  • 본 연구는 순차분석을 적용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입직경로를 파악하고자 한다. 입직경로를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입직 준비를 위한 지원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입직경로 단계별 빈도 분석, 변환 확률 분석, 유의도 검사 및 변환 상태 도식을 통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입직 경로의 단계별 관계를 제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을 취득하고 민간직업훈련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훈련교사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입직을 위한 과거 경험 빈도수를 살펴보면 일 경험, 교직 훈련, 강사 경험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입직 경로 단계에서 일 경험, 교직 훈련, 강사 경험이 후행 단계로의 이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입직경로는 일 경험-강의 경험-교직 훈련 경로가 높게 나타났다. 결과를 통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체계적 입직 준비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준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 및 욕구특성에 관한 연구 - 직업군인 전역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long the Stages of Growth in Korean Ventures)

  • 박중호;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1호
    • /
    • pp.87-97
    • /
    • 2012
  • 본 연구는 준고령자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준고령자들의 기존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와 효과를 분석하고, 직업능력개발욕구를 조사하여 사회복지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시사점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준고령자의 56.5%가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은 경험이 있고, 훈련을 받는 이유로는 여가선용이 주된 이유였다. 훈련을 제공받는 곳은 인정훈련기관이 많았고, 훈련내용으로는 실무 기능습득교육이 주를 이루었으며, 직업능력개발훈련과 관련하여 대부분이 전혀 비용을 부담하지 않았다. 85.2%가 훈련에 관한 정보를 주변 사람 등 제한된 경로를 통해 얻고 있으며, 훈련 후 취업지도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은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매우 필요로 하고 있으며, 직업능력개발훈련이 필요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로는 직업능력 향상이 가장 많았다. 이에 정책 대안으로는 준고령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고, 준고령자 직업훈련원의 설립하는 등 연구기관의 설립, 훈련실시기관의 담당자와 정책담당자 등의 전문 인력 양성, 훈련 대상자별 특성에 맞는 적절한 프로그램개발 및 운영, 홍보강화 및 참여촉진,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한 후에는 훈련수료자들이 전원 취업할 수 있도록 철저한 사후관리 및 재교육이 필요하다.

  • PDF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 중점 협력국 유형화 분류 및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군집분석 (Investigating the Classification and Ordering of Global Partnership Countries for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Using Cluster Analysis)

  • 이영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17-12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의 주된 대상이 되는 중점 협력국들을 유형화하여 분류하고, 직업능력개발 지원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것이다.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상국 및 지역을 선정하고, 대상국과 지역의 개발 목표에 맞게 집중적인 지원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수원국의 요구를 적절히 반영하고, 정부의 한정된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 중점 협력국을 선정하고 유형화 분류를 통해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지원해야 한다. 연구방법으로, 국제개발협력위원회가 제시한 24개 중점 협력국을 대상으로, 경제발전 변인, 노동시장 변인, 교육 변인 3가지 주요 변인을 바탕으로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점 협력국의 유형을 4가지 유형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안하였고, 각 유형별로 해당하는 국가들을 재배치하였다. 향후에는, 고용노동분야를 고려하고, 미지정 협력국을 더 발굴하여, 유형화하며, 이를 바탕으로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을 활성화해야 한다.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한국폴리텍대학의 직업교육훈련 사례 (An Example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in Korea Polytechnic Colleges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 김남성;장세인;이사원;제창웅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85-9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해서 직업능력개발 제도의 국내 외 변천사 및 동향과 한국폴리텍대학에 운영하고 있는 직업교육훈련 제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해 한국폴리텍대학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는 사례별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사례들을 바탕으로 부족한 제도는 보완하고 국제적으로 선진화된 직업능력개발제도를 도입함으로써 한국에 적합한 제도로 안착하고 사회적인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평생직업능력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방면의 검토 및 보완을 통해서 능력중심사회의 구축을 기대해 본다.

  • PDF

4년제 대학생의 NCS 직업기초능력 진단문항 개발 - 자기개발능력, 조직이해능력, 자원관리능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NCS Core Competency Tests for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the Self-development Skill, Organizational Skill and Resources-management Skill)

  • 임세영;박윤희;김지영;우혜정;임민섭;김우철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18
    • /
    • 2018
  •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로 인하여 노동시장에서는 전공실무능력과 더불어 빠른 기술의 변화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직업기초능력을 갖춘 인재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4년제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과 배양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NCS 직업기초능력을 포함한 여러 직업기초능력으로 4년제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을 정의하고 진단하기에는 일부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생을 위한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재정의 및 K대학교의 재학생 49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진단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개발능력은 학업관리와 실행, 자기개발개념이해와 설명, 긍정적 자기인식, 책임감과 소명의식, 체력관리, 자기관리개념이해와 설명으로 하위영역을 구분하고, 진단문항을 도출하였다. 둘째, 조직이해능력은 조직환경이해, 조직내부이해, 조직구조이해, 업무이해, 국제감각으로 하위영역을 구분하고, 진단문항을 도출하였다. 셋째, 자원관리능력은 시간관리이해, 시간관리실행, 물적자원관리, 인적자원관리로 하위영역을 구분하고, 진단문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민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차세대 스마트직업훈련플랫폼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xt-generation Smart Training Education Platform(STEP)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Lifelong Vocational Skills)

  • 임경화;정일찬;이두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43-15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이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으로 개정되면서 직업능력개발의 지원대상과 직업능력개발훈련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직업훈련플랫폼(STEP)이 맞춤형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해 지향해야 하는 공공 온라인 플랫폼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공공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사례연구, 전문가 FGI 등을 바탕으로 STEP의 공공서비스 역할과 기능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전문가 검증회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TEP의 공공 온라인 플랫폼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