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상가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원주상권 활성화를 위한 유통 정책;지하상가 주변을 중심으로

  • Park, Hy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8a
    • /
    • pp.27-38
    • /
    • 2007
  • 본 연구는 갈수록 설 자리를 잃어 가는 지역 상권에 있어서 최근 10년 여 기간 동안 원주시에서 지속적으로 정치${\cdot}$경제적,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어 왔던 문제는 지하상가 상권의 침체와 활성화 문제라 할 수 있다. 원주 지하상가는 정부의 요구에 의하여 민방공 대피시설로 생겼으며, 각종 연구보고서나 학술세미나의 정책주제로 지하상가 도심 활성화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특히 매번 지방선거에서는 지하상가 상권 활성화를 선거공약으로 제시하지 않은 후보가 없었을 정도였다는 것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그만큼 지하상가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의미이며, 지하상가의 활성화를 통한 도시개발은 원주시민 공동의 과제라는 점을 이해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역사회의 요청에 따라 그동안 수많은 개선안들이 원주시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지하상가 주변에 특화거리를 지정${\cdot}$조성하는 '특화거리 조성사업'에서부터, 주차문제 해결을 위한 '공영주차장 건설사업', '재래시장 현대화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 '하상도로 건설사업', '지하상가 리모델링사업' 등 단기 및 중장기 사업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앞으로 계속 우리가 깊은 관심을 갖고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원일프라자 준공을 전후하여 지하상가는 조금씩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도심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성급한 판단을 내리기도 한다. 원주시는 미약하나마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반적으로 도심이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고 있는 인상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과연 도심이 활성화되고 있는 징후로 볼 것인가? 특히 이러한 변화의 조짐이 원일프라자의 준공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고 있는가? 몇가지 변화의 사례를 가지고 간단하게 판단할 수는 없다. 그러나 원일프라자의 준공은 도심지역의 개발${\cdot}$정비를 예정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도심 활성화의 중요한 동인이 될 수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제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적 변화를 전제로 하여 지하상가 리모델링을 통한 도심활성화와 선진사례를 받아들임으로 지역상권 활성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지하상가시설에서의 정전 대책

  • Kim, Se-Dong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74 no.2
    • /
    • pp.28-31
    • /
    • 1997
  • 1967년 지하상가 개통이래 지하철 건설과 연계하여 지하보도, 상가의 개발이 본격화되었으며 이용 목적도 지하보도, 상가의 단순 기능뿐만 아니라 생활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발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종합적 계획과 검토가 요구된다.

  • PDF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Underground Shopping Center -From the cases in Busan Metropolitan Region- (지하도 상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 Han, Seung-Uk;Jang, Jin-Hyeok;Choi, Yeo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1
    • /
    • pp.297-307
    • /
    • 2017
  • There are many underground spaces available in an urban environment and they represent an important factor for efficient land use. Especially, underground shopping centers perform both physical and commercial functions at the same time and are frequently used as a means of achieving the revitalization of the city center. However, the underground shopping centers that were developed in the past sometimes led to recession due to their deterior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oposing alternative methods for the (revitalization) of underground shopping cent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seven underground shopping centers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user satisfaction and future improvement.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an ordered logit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rvice satisfaction, underground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public facility satisfaction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these factors into consideration, appropriately, when developing a new or renewing an existing underground shopping mall.

A Study on the Design Standard of Electrical Installations and Load Characteristics in Under ground Streets (지하상가시설의 부하특성을 고려한 전기설비 설계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김세동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1 no.1
    • /
    • pp.57-64
    • /
    • 1997
  • 대규모 지하상가시설과 같은 전력다소비 시설에 있어서 전력의 효율적 이용에 의한 에너지 절감은 물론 설계단계에서이 합리적인 전기설비가 요청되고 잇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나 지하상가시설의 부하특성엥 적합한 전기설비 설계기준을 도출하기 위하여 지하상가시설의 설비구성 및 가동 특성을 고려한 전기설비 현황 및 전력사용 부하특성을 실측 조사하여 전기설비용량의 합리적 설계를 위한 부하종별 변전시설밀도의 수용증가율, 수용률, 기준을 설정하여 제시한다.

  • PDF

It is development about search and shopping of underground center for O2O-based marketing (O2O 기반의 마케팅을 위한 지하상가 검색 및 쇼핑 앱 개발)

  • Lee, Hye-bin;Kim, Jun-hwan;Ku, Ye-sol;Lee, Gyeong-yong;Jung, Deo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304-307
    • /
    • 2015
  • It's a shame one of the famous places of Busan is the underground shopping area on the decline gradually. The reason why we developed this applica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of the desired product and store for other residents as well as Busan residents. As a result, we expect a revival of underground shopping area. The main features of the application are to provide the location of shops and the information of products. In addition, it provides information of shops around me to utilize of location-based-service. We studied the possibility of win-win situation between offline stores and online through this application.

  • PDF

Standardization of Underground Shopping Center Address System for the Three-Dimensional GIS-based Emergency Management (3차원 GIS기반의 소방방재를 위한 지하상가 주소체계 표준화)

  • Ha, Byeong Po;Kang, In Joon;Hong, Soon Heon;Park, Dong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4
    • /
    • pp.63-69
    • /
    • 2014
  •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urban development in construction technology has expanded living space, underground construction as public transport as has been extended to the ground and underground urban traffic congestion increases. This underpass Stations sphere of influence this development was the center of the living space, space-time became a cultural space. However underpass ground space and time and space are enormous difficulties in contrast visibility due to smoke when light levels are low fire occurs, momentary loss of judgment errors due to a sense of orientation, rapid diffusion and ambient oxygen deficiency due to acquisition limitations, such as the Open resulting in property damage and personal inj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ing system with respect to the address of the underground shopping center and system for presenting an address to the underground shopping mall in the basement of the straight and circular in connection with the street name address. Also can be known only to evacuate their citizens to address the position in the event of a fire inside the basement through the underground shopping mall address standardization system, the fire department only address exact location is being judged will be identified.

The Research on Scheme to Prevent Inundation at the Underground Space (지하공간의 침수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 Ahn, Sang Jin;Seo, Byung Ha;Choi, Gye Woon;Park, Keu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83-887
    • /
    • 2004
  • 현재 전국적으로 $\blacktriangle$ 전기, 가스, 상수도, 하수도, 열수송관 등을 공동 수용하는 '지하공동구'가 14개 도시 30개소에 160.4km $\blacktriangle$ 보행공간으로 병용되는 '지하도로'가 23개도시 118개소에 63만 $m^2$ $\blacktriangle$ 지하도로내 설치된 지하점포가 1만1천798개소 23만$m^2$이 있다. 이와 같이 현대 도시내에서 지상공간의 과밀도 개발로 인하여 지하공간의 수요가 증대되어 지하공간 구조물이 많이 설치되고 있는 반면, 지하상가, 지하천 등과 같은 지하공간 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수피해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지하공간의 침수피해 실태를 조사하고 그 사례에서 원인을 분석하여 기술적 해결책을 도출해 내며, 침수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숙이나 국외(미국, 일본)의 침수방지 기술 및 대책, 침수시 가이드라인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지하공간이 침수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하여 이론적인, 기술적인 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하공간의 유형 즉, 지하주택, 지하상가, 지하공공시설(지하차도, 지하철, 전철, 지하변전소)에 대한 구체적인 침수방지 기숙에 대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 관련기관, 연구기관에서 지하공간 침수방지대책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ick Building Syndrome in 130 Underground Workers (지하상가 근무자의 건강 장애에 관한 실태조사)

  • Joo, Ree;SaKong, Joon;Chung, Jong-Hak;Park, Sang-Whan;Kim, Dong-Hee;Kim, Dong-Min;Choi, Eun-Kyong;Cho, Hyun-Ge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5 no.2
    • /
    • pp.325-340
    • /
    • 1998
  •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ick building syndrome(SB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BS on 130 underground workers and 60 controls. The study consisted of 1) a review of environmental condition 2) measurement of temperature, $O_2$, $CO_2$, CO, and formaldehyde and 3) a questionnaire survey of symptom prevalenc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using indoor Air Quality questionnaire recommended by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Bronchitis and dust allergy were more prevalent in underground workers significantly(p < 0.05). Among the 18 symptoms related to the indoor air pollution, the experience rate of dry, itching or irritated eyes, sore or dry throat, chest tightness, tired or strained eyes and dry or itchy skin sympto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underground workers and controls. The diagnostic criteria of SBS was defined as at least 1 symptom is experienced 1-3 times a week during the last 1 month among 18 indoor air pollution related symptoms which can be relieved by moving out of the underground. Applying the criteria, the mean symptom score was significant higher in underground workers than controls significantly (p < 0.05). These resalts indicated that underground workers are under inappropriate ergonomic and physical condition and inadequate ventilation. Their experience rate of symptoms related to indoor air pollution and prevalence of SB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s. To reduce the prevalence of SBS of underground workers, the surveillance system of indoor air quality, restriction of using fuel in underground and legislative regulations for the environment are needed to establish a better indoor air quality. Early detec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BS through medical attention is also needed.

  • PDF

Assessment of diurnal air quality in subway station (지하철 역사내의 시간대별 공기질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송지한;김신도;이희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71-72
    • /
    • 2003
  • 급속한 고도성장에 의한 도시화는 인구의 고밀도화, 교통문제, 도시문제 등의 각종 환경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교통문제는 늘어나는 교통량에 비해 교통기반시설이 너무도 부족하여 시간대 구분없이 교통체증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지상교통 수단의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 많은 승객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송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지하철을 건설하게 되었다. 지하공간의 활용이 증가되면서 도심지 지하상가와 지하철 역사를 연결하여 경제성 높은 상권을 형성하는 지하상가가 발달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esign Standard of Demand Factor and Load Characteristics in Underground Streets (지하상가시설의 부하특성과 수용률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 김세동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0 no.4
    • /
    • pp.62-67
    • /
    • 1996
  • 본 연구는 국내 지하상가시설의 설비구성 및 가동특성을 고려한 전기설비현황 및 전력사용부하 특성을 실측, 조사하여 변전시설용량의 합리적 설계를 위한 부하종별 수용률 기준을 설정하여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