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 Building Syndrome in 130 Underground Workers

지하상가 근무자의 건강 장애에 관한 실태조사

  • Joo, Re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aKong, 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ong-Ha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Sang-Whan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Dong-He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Dong-Min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i, Eun-Kyong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 Hyun-Geon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 주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사공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종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상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
  • 김동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
  • 김동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
  • 최은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
  • 조현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 Published : 1998.12.30

Abstract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ick building syndrome(SB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BS on 130 underground workers and 60 controls. The study consisted of 1) a review of environmental condition 2) measurement of temperature, $O_2$, $CO_2$, CO, and formaldehyde and 3) a questionnaire survey of symptom prevalenc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using indoor Air Quality questionnaire recommended by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Bronchitis and dust allergy were more prevalent in underground workers significantly(p < 0.05). Among the 18 symptoms related to the indoor air pollution, the experience rate of dry, itching or irritated eyes, sore or dry throat, chest tightness, tired or strained eyes and dry or itchy skin sympto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underground workers and controls. The diagnostic criteria of SBS was defined as at least 1 symptom is experienced 1-3 times a week during the last 1 month among 18 indoor air pollution related symptoms which can be relieved by moving out of the underground. Applying the criteria, the mean symptom score was significant higher in underground workers than controls significantly (p < 0.05). These resalts indicated that underground workers are under inappropriate ergonomic and physical condition and inadequate ventilation. Their experience rate of symptoms related to indoor air pollution and prevalence of SB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s. To reduce the prevalence of SBS of underground workers, the surveillance system of indoor air quality, restriction of using fuel in underground and legislative regulations for the environment are needed to establish a better indoor air quality. Early detec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BS through medical attention is also needed.

대구의 경우 최근 지하철의 개통과 더불어 대규모 지하상가가 건설 중에 있어 지하공간 근무자의 급속한 증가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보건학적인 문제에 관한 관심과 준비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지하상가를 중심으로 지하공간 근무자들의 건강 양상을 파악하고 지하공간 실내공기의 오염원을 추정함으로써 지하공간 생활자의 보건학적인 문제점을 규명하고 대책을 세우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1998년 8월에 대구 중앙지하상가 근무자 130명과 대명동 지역 지상상가 근무자 60명을 대상으로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원에서 개발한 실내공기오염 설문지를 이용하여 건강 및 증상(예; 천식, 알레르기질환 이환여부, 눈, 코, 목, 호흡기, 피부 동의 비특이적 증상 등), 근무환경에 관한 사항(예; 환기, 온도, 습도, 냄새 등) 및 개인적인 사항(예; 연령, 성별, 흡연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실내공기질의 측정은 지하상가를 6개 구역으로 나누고 구역별 온도, 산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와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고 기존자료를 활용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지하상가에서 근무하는 고위험군은 기관지염과 먼지알레르기를 경험한 율이 유의하게 높였다. SBS의 진단기준은 NIOSH의 기준과 동일한 지난 한 달 동안 일주일에 하루 이상 눈, 코, 목, 호흡기 동의 증상과 두통, 피로감을 한가지 이상 경험하였고 지하공간을 벗어나면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로 하였다. 지난 한달 동안 경험한 증상에 관한 조사에서 눈이 건조하다, 가렵다, 따갑다, 목이 따갑거나 건조함을 느낀다, 가슴이 답답하다, 눈이 피곤하고 충혈된다 및 피부가 가렵다, 건조하다 항목에서 두 군의 유병률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8개의 SBS 증상 중 1주일에 1-3회 이상 경험하는 증상의 개수는 고위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이상의 조사 및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일부 지하상가 근무자들은 지하의 제한된 공간에 장기간 근무함으로써 부적절한 인간공학적 환경, 물리적 환경, 부족한 환기량 등에 의해 실내공기 오염으로 인한 증상 경험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68.5%의 지하상가 근무자가 SBS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지하공간 근무자의 SBS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기질의 정확한 평가를 통한 예방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또 의료인의 관심을 통해 SBS의 진단, 치료 및 예방 등과 같은 적절한 의학적 조치 및 연구가 이루어져야겠으며 근무자들의 환경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