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원사업

Search Result 3,71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강원도 청년창업 지원사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Yun, Ji-W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87-9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에서 실시하는 청년창업 지원사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강원도 지역의 경우 전국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10인 미만의 사업체와 주로 도소매 숙박업이 주를 이루는 영세한 산업구조로 인한 고용불안과 일자리 질 저하로 상대적 학력수준이 높은 일자리가 부족함에 따라 청년층의 높은 전출률을 초래하고 있다. 강원도 내 청년 일자리 문제는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고령화문제로 이어지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원도에서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고용안정을 위하여 도내 청년 창업자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지원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의 청년창업 지원사업을 통한 창업성과를 분석하고 청년창업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 청년 일자리 창출에 상관관계를 끼쳤는지에 대하여 연구하려고 한다. 선행논문에서의 창업지원정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라 정부 창업지원사업과 창업성과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고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확장하여 후속지원에 대한 영향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협회 탐방/본회 - 기술정책 제도개선 및 산학연관 협력, 기술지원에 최선을 다하는 대한설비건설협회 기술지원실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5
    • /
    • pp.30-33
    • /
    • 2010
  • 대한설비건설협회 본회는 건설진흥사업 외에 기술 가스진흥사업, 회원봉사 및 조사사업, 정보화 사업, 기획 관리사업, 홍보사업 등 다양한 사업활동을 함으로써 설비건설업계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지는 지난해 12월호부터 전국 13개 시 도회를 대표하여 설비건설업계의 발전 및 위상강화, 회원사의 권익보호 등을 추진하고 있는 본회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설비건설업계의 기술정책 및 기술지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기술지원실을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upporting Policy Efficien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emand for Direct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i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대학·연구기관 보유기술 직접사업화 지원사업의 수요분석을 통한 지원정책 효율성 개선 방안)

  • Cho, Sung-Nam;Jeong, Yoon-Su;Oh, Chung-Shic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5
    • /
    • pp.229-236
    • /
    • 2018
  • In the pas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as implemented in a narrow sense, such as technology transfer or start-up suppor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lack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failure in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secure markets lead to failur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project supporting direct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ies owned by academic and research institutes conjoins public funds and operating power of large enterprises to introduce a new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that combines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with capital, market, and government policies. And pain points for direct commercializing technology was derived.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a gap was found between the demand factors and the capability of the actors performing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i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aint points. In consequence, measures were drawn to improve support polici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ies held by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2008년도 항공우주부품 기술개발 신규사업 소개(4)

  • Korea 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
    • Aerospace Industry
    • /
    • s.98
    • /
    • pp.16-21
    • /
    • 2008
  • 한국항공우주기술연구조합은 지식경제부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07년 12월부터 2개월간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총 31건에 대한 사업 제안을 받았으며, 기술전문위원회의 평가결과 우선지원 대상사업으로 10건, 예비지원 대상사업으로 3건을 선정하여 지식경제부 공고 제2008-21호로 3월 24일에 공고하였다. 공고된 지원 대상사업에 대해서는 4월 15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하여 각 사업별로 주관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주관기관과 5월 말까지 협약을 체결하고 1차년도 정부출연금(약 43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의 신청방법과 2008년도 우선지원 대상사업인 10개 과제에 대해 소개 하고자한다.

  • PDF

인터뷰 - 유창준 전무이사/교육학박사 위키트리와 콘텐츠산업기술지원사업관련 인터뷰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v.12 no.10
    • /
    • pp.86-89
    • /
    • 2013
  • 대한인쇄문화협회(회장 김남수)는 8억원의 국고를 지원받아 품질표준화 친환경 인쇄를 위한 PUR접착제, 인쇄세척액, 한자서체, 인쇄품질 공정진단 프로그램 개발 등 4개 부문에서 문화체육관광부 2013년도 콘텐츠산업기술지원사업을 주관하고 있다. 2013년도 콘텐츠산업기술지원사업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홍상표)이 주관하는 프로젝트 사업으로 글로벌 진출이 가능한 차세대 전략 R&D 과제 개발로 콘텐츠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추진된다. 2013년도 콘텐츠산업기술지원사업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유창준 전무이사가 소셜네트워크 뉴스 서비스 업체인 (주)소셜뉴스가 운영하는 인터넷뉴스 위키트리와 진행한 인터뷰 내용을 전재한다.

  • PDF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use and performance of SMEs' overseas marketing support projects (중소기업 해외마케팅지원사업의 활용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Jeong, Bok-Ho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5
    • /
    • pp.219-227
    • /
    • 2020
  • Rapid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ovide crises and opportunities for SMEs. The government is trying to improve and expand the SME support project, but has not been able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This study studied the effective performance factors of overseas marketing support project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role of SM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a survey of coporations applying for export support projec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orporate competence, the support quality from the support institution, and the consultant competenc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tilization of the support projec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utilization of support projec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erformance of support projects under a changing export environment, support organizations, consultants, and coporation should strengthen their competences. This study suggests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actual factor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 export support project, and studies on how to strengthen the competences of each factor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National IT R&D Program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의 성과 제고방안)

  • Song, Hag-Hyun;Choi, Se-Ha;Kim, Yoon-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Engineering
    • /
    • v.2 no.2
    • /
    • pp.85-94
    • /
    • 2003
  • 정부에서는 정보통신기술개발을 위해 1993년부터 정보화 촉진기금을 설치하고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이를 집중 지원하여 왔는데 정보통신 산업발전 및 정보화촉진을 위해 $1993{\sim}2001$년간 총 5조 8,252억원을 투입하였고 출연사업으로는 3조 1,012억원을 투입하였다.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 중 출연사업은 정보통신분야의 기술진흥과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선도하기 위한 선도기술개발사업과 IT 신시장 창출 및 IT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산업체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산업기술개발사업, 정보통신분야기 우수한 신기술을 보유하고도 자금부족 등으로 사업화를 못하는 개인 또는 중소기업에게 시제품개발 또는 산업화에 소요되는 사업비를 지원하는 우수신기술지정지원사업, 그리고 표준화사업과 연구기반조성사업 등이 대표적인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으로 사업별 지원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인력양성을 제외한 정보통신연구개발 출연사업에 $1993{\sim}2001$년간 총 2조 1,755억원을 투자하여 매출이 28조원 이상 발생하는 등의 각종 성과가 있었는데 사업별 성과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사회적일자리 사업 신청과 지원내용은 무엇인가?

  • 벤처기업협회
    • Venture DIGEST
    • /
    • s.131
    • /
    • pp.48-48
    • /
    • 2009
  • 지난 호에서는 사회적일자리 사업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호에서는 사회적일자리 사업에 신청하기위한 지원요건과 지원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ltants' competency and service quality on performance in Untact online export support business (온라인수출지원 사업에서 컨설턴트의 역량과 서비스품질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Jun;Jung, Jin-Tea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0
    • /
    • pp.119-128
    • /
    • 2020
  • The rapid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are providing crises and opportunit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export enterprises. This study focused on overseas marketing support projects, especially effective consulting support for online marketing,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role of SMEs. Through a survey on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xport support project, it was analyzed that both the consultant's competence and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that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Also, satisfaction showed som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order to achieve business results, the competence of the consultant and the quality of service must be achieved together. This study present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substantive factor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export support projects, and further studies on capacity-building measures for each factor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Parents for the Project of Supporting-Home-Childcare and Improvement (Focused on the Cheongju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가정양육지원사업에 대한 부모 만족도 및 개선점 연구(청주시육아종합지원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Kyoung-Mi Yun;Jun-Su Kim;Woo-Hong Cho;Young-Eun Jang;Kil-Hee Byon;Dea-Hun Choi;Mee-Ky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199-201
    • /
    • 2023
  •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가정양육지원 사업의 운영 사례를 통해 부모의 만족도 및 개선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가정양육지원사업에 참여한 부모를 대상으로 276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 및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양적연구에 이어 심층 면담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혼합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고,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양육지원사업의 만족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양육지원사업의 개선점은 부모가 가정양육지원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소그룹형태의 가족체험프로그램 확대에 대한 인식이 높으며, 사업에 대한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가정양육사업에 참여한 부모의 만족도 및 개선점을 확인하여 가정양육사업의 향후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