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사회 참여

검색결과 1,537건 처리시간 0.03초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지역사회 애착도에 미치는 융합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ife sport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community attachment)

  • 김동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305-313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에 대한 참여정도가 지체장애인들의 지역사회 애착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대상은 D시의 지체장애인 227명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독립t검증, 일원변량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남성(성별), 40대와 50대(연령별), 1급과 2급(장애등급별)의 지역사회 애착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정도에 있어서는 정체성에서는 운동기간과 운동시간, 의존성에서는 운동기간, 친분성에서는 운동기간과 운동강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역공동체 의식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와 연계한 심리적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질 필요가 있다.

관광산업 관련정도와 관광개발 인식수준, 관광영향 지각, 그리고, 관광정책참여도의도의 영향관계 (Relationship among Level of Performance of Residents to Tourism, Perception of Tourism Effects, and Intension of Citizen Participation)

  • 이계희;지봉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16-42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관광산업 관련성과 관광개발 인식이 관광영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른 관광영향 지각이 지역주민의 관광정책 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였다. 지역주민의 관광산업 관련정도는 지역축제 영향지각 중에서 경제적 영향과 사회문화적 영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환경적 영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의 관광개발수준에 대한 지각정도는 지역축제 영향지각 각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의 크기는 환경적 영향이 가장 크고, 관광정책 참여의도, 사회문화적 영향, 경제적 영향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지각 요인과 관광정책 참여의도 간의 관계는 사회문화적 요인만이 관광정책 참여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개발의 관광영향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관광개발의 영향 지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지역사회연계 미세먼지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이슈에 대한 이해와 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mmunity-Based SSI Programs on Promoting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Issues and Character and Values as Citizens: Focused on Fine Dust Issues)

  • 김가형;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11-920
    • /
    • 2017
  • 본 연구는 미세먼지 이슈를 중심으로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SSI-COMM)을 개발하고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지역사회 속 미세먼지 이슈에 대한 이해도와 인성적 태도 및 가치관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였다. 서울시 자유학기제에 참여하는 4개 학교에서 총 151명의 학생들이 8회(16차시)에 걸쳐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미세먼지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학생들의 참여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과학이슈에 대한 이해도 및 인성과 가치관을 측정하는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참여 학생 일부와의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미세먼지와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는 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에 있어서는 생태학적 세계관 영역을 제외하고 사회 도덕적 공감,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책무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면담결과, 학생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미세먼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에 어떠한 문제를 야기하는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고, 미세먼지의 발생에 개인의 책임감을 느끼고 미세먼지로 인해 피해를 입은 지역의 취약계층을 위한 지역사회활동의 참여와 실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의 우울, 생의 의미가 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지역사회 건강 프로그램 참여한 노인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Meaning of Lif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Health Programs)

  • 박윤진;김금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11-417
    • /
    • 2017
  • 본 연구는 대상자의 우울과 생의 의미가 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 지역사회 건강 프로그램의 참여가 대상자의 우울, 생의 의미, 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한 설문 조사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ANOVA, paired t-test로 검증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우울, 건강 증진 행위, 생의 의미는 실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사회 건강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의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t=2.379, p=.010), 생의 의미(t=2.421, p=.009)와 건강 증진 행위(t=2.316, p=.012)도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대상자의 건강한 노후를 위한 지역사회 역할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의 건강을 위하여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대상자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거주 지역에 따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통합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ole of Family Cohesion and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Sense of Community by Regions: The Mediating Role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 정순둘;이아영
    • 한국노년학
    • /
    • 제41권4호
    • /
    • pp.469-490
    • /
    • 2021
  • 본 연구는 거주 지역에 따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인식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연령통합 인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만 20세 이상 85세 미만의 성인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 인식 중 지역사회 참여환경 인식은 모든 지역에서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역시와 중소도시에서 가족결속력이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연령통합인식이 부분적으로 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지역사회 참여환경인식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연령통합인식이 부분적으로 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 사회의 공동체 의식 증진을 위하여, 가족의 결속력을 높이는 방안과, 고령친화환경인식, 특히, 지역사회의 참여환경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실천적 과제 - "책 읽는 청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Action Plans for "One Book, One City" Reading Promotion Campaign: A Case Study of "Reading Cheongju")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3-81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2006년 가을 청주에서 시작된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인 "책 읽는 청주"의 사례를 통해 개별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른 대중독서운동의 실천 및 운영방식에 따른 성과와 특성을 분석 평가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한 책"의 선정과배포, 독서와 토론, 프로그램의 진행 홍보, 지역사회의 참여와 협력, 예산과 사업 추진 등의 실천과정 전반을 분석한 결과는 지속적 독서진흥활동에 따른 지역사회 내 청주시립정보도서관의 인지도와 위상 개선, 독서와 토론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 등 성과와 더불어 재정적 문제, 홍보 및 지역사회 참여의 부족, 역할 분담의 어려움 등 문제점을 보여주었다.

월성원자력 현안에 대한 이해관계자 참여 사례

  • 이병일;정진욱;문주현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요약집
    • /
    • pp.45-46
    • /
    • 2011
  • 2009년 4월에 신월성원전 건설현장의 차수벽이 파손되면서 해수가 유입되는 사고가 발생한적이 있다. 이때 주민의 요구에 따라 사업자와 주민이 참여하는 공동조사위원회가 구성되어 침수구조물에 대한 안전성을 공동으로 평가하였다. 최근에는 주민이 참여하는 지역공동협의회를 구성하여 방폐장 안전성을 확인하였고, 삼중수소 방사능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주 지역에 원자력현안 발생 시 지역주민이 해결과정에 참여하여 성공적으로 해결했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사회적 해결 과제로 떠오른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공적 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변영수;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25
    • /
    • 2024
  • 연구목적은 고령화의 사회에서 노인들이 지속적인 일을 통해 사회구성원으로 참여하도록하는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일자리 사업에 의 참여가 생활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KJ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중인 노인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려고 한다. 이 논문의 주요연구내용은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가 생활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2023년 11월부터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결과를 spss 27.0을 활용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연구결과는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가 생활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일본 건강증진사업의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대 구축 사례: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지역사회 파트너 쉽 형성 사례 (Japanese case of community partnership for Healthy City Projects)

  • Hoshi, Tanji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5년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 10주년 국제학술대회
    • /
    • pp.197-230
    • /
    • 2005
  • 일본의 Soyo town에서 진행된 건강도시사업은 건강증진 프로그램 모형을 통하여 건강한 도시를 건설하겠다는 슬로건을 가지고 주민들이 참여하여 자신의 건강관리능력을 함양하고 서로의 장점을 공유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또한 삶의 질 향상, 주관적 건강상태 향상, 삶의 만족도 향상, 정서적 유대감 향상, 수입증가 그리고 조기사망의 감소를 구체적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게 위한 매우 실제적이며 수량화된 목표들이 설정되어 있다. 1992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1996년과 2002년에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내용과 과정에는 보건의료전문가와 시설에 대한 정비, 평가에 대한 계획, 학교를 포함한 포괄적인 보건의료시스템이 포함된다. 모든 부문은 자신들이 설정한 보건정책 결과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적절한 정책을 다시 설정하고 수량화된 목표를 설정하며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수행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사업의 기획, 수행, 평가 과정에 주민이 최우선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이다. Soyo town은 사업을 위하여 학교 및 지역 내 사조직과 협력하고 모든 사업의 기획과정에 다양한 구성원들을 참여시켰는데 이는 건강자원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실천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특히 모든 Soyo town의 주민들이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주민들은 건강관련 자원의 배치상태와 과학적 근거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사업을 선정하는 것을 포함한 모든 사업의 과정에 참여하였다. 바람직한 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품회사, 자원단체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 그리고 지역의 단체급식시설, 식당 등이 파악되었으며, 요양원, 가사도우미, 공중보건간호사, 방문간호사, 사회사업가로 구성된 보건의료 시설과 인력들이 협력하였다. 사업이 주민의 건강을 향상시켰는가와 건강향상에 사업이 효과적이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평가가 진행되었는데, 서비스 제공자 뿐 아니라 소비자와 주민들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Soyo town의 건강도시사업의 평가 결과, 조기사망률이 1988년 22.1%이 1992년 18.2%로, 1998년 15.6%로 감소하였다. 또한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1988년 48%에서 1992년 67.1%로, 1998년 71.5%로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관계망,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증가하였으며, 조기사망, 의료비용은 감소하였다. 한편 보건의료부문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왔으며, Soyo town은 건강한 도시의 명성을 얻게 되었다. 사업의 효과성을 향상시킨 요인은 주민 개개인들에게 사업의 기획과정에 처음부터 참여할 기회가 주어졌다는 점과 자원개발에 있어 기존자원의 재개발에 우선순위를 두었다는 점이었다. 효과적인 사업의 수행을 위하여 행정부, 주민, 건강관련 단체들은 수단과 방법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업의 기획단계에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여 각자의 역할분담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며, 건강증진은 개인의 노력 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의 개선과 자원의 개발을 통해서 달성되는 것이므로 주민들은 건강증진을 위한 환경개선을 위해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