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일자리 사업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공적 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변영수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 변상해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발행 : 2024.04.20

초록

연구목적은 고령화의 사회에서 노인들이 지속적인 일을 통해 사회구성원으로 참여하도록하는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일자리 사업에 의 참여가 생활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KJ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중인 노인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려고 한다. 이 논문의 주요연구내용은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가 생활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2023년 11월부터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결과를 spss 27.0을 활용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연구결과는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가 생활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수향.김지선(2021). 노인의 일자리사업참여 경험을 통한 일의 의미. 인문사회21, 12(2), 705-720.
  2. 권지선(2019). 노인일자리사업 직무환경이 성공적 노를 중심으로. 한국복지실천학회지, 11(1), 41-72.
  3. 김동배(2008).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0(1), 211-231.
  4. 김봉화.이주용(2019). 노인의 참여인식, 복지의식, 사회적 자본간의 관계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33(1), 249-264.
  5. 김수완(2017). 노후생활보장과 사회적일자리의 측면에서 본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7(2), 248-287.
  6. 김인옥(2021). 주거환경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자본의 차이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 중부대학교
  7. 김왕기.한정란(2016). 노인일자리사업참여유형별 만족도 및 효과: 노촌지역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1), 33-51.
  8. 김원부(2020). 노인일자리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17(1), 1-22.
  9. 김주희.이홍직(2023).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이 지원사업의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생명연구, 67, 199-222.
  10. 김창환(2018). 전기-후기노인의 질환과 정신건강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2(1), 11-24.
  11. 손미숙(2010). 중년들이 인식하는 성공적 노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호남대학교대학원 논문집, 7, 173-206.
  12. 박기훈(2016). 노인노동력활용에서 나타나는 복지와 노동의 통합 문제 연구: 일본 실버인재센터의 복지와 노동통합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0(1), 351-376.
  13. 박은희.최혜경(2010). 성공적 노화지각에 따른 실버타운에 대한 소비자기대비교: 중년후기 교원을 대상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6(2), 17-40.
  14. 박화순(2022). 고령사회의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가직무만족,생활만족도,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15. 보건복지부(2020). 2020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운영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6. 유주희.조옥선.박종일(2018). 예비은퇴자의 생산적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책개발연구, 18(2), 213-218.
  17. 이재풍.이지모(2020). 중고령자의 노후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전국상담복지연구, 4, 169-201.
  18. 이진수.이혜경(2018). 노인일자리 사업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참여특성이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여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5(2), 5-33.
  19. 지은정(2020). 근로빈곤노인의 빈곤지속기간과 빈곤탈출에 대한 연구: 노인일자리사업에 주는 함의. 한국사회정책, 27(2), 125-162.
  20. 통계청(2018). 노인 인구집단별 삶의 만족도 분석, 대전: 통계청.
  21. 통계청(2021). 2021년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대전: 통계청.
  22. 통계청(2023). 주요인구지표, 대전: 통계청.
  23. 하춘광.김효순(2009).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복지정책, 36(4), 393-414.
  24. 황길주.정명희(2021). 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과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 문화산업연구, 21(3): 171-179
  25.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l. W.H. Freeman and Company.
  26.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2), 134-43.
  27. Fujita, F., & Diener, E.(2005). life satisfaction set point: Stabilitu and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1), 158-164.
  28. Wagnild, G., & Young, H. M.(1997).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s of Nursing Mcasurement, 1(2), 165-178.
  29. Rowe, J. W., & Kahn, R. L.(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30. Ryff, C. D.(1989).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2(1), 3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