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거주 지역에 따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통합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ole of Family Cohesion and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Sense of Community by Regions: The Mediating Role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 정순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아영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
  • 투고 : 2021.04.09
  • 심사 : 2021.05.30
  • 발행 : 2021.11.30

초록

본 연구는 거주 지역에 따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인식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연령통합 인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만 20세 이상 85세 미만의 성인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 인식 중 지역사회 참여환경 인식은 모든 지역에서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역시와 중소도시에서 가족결속력이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연령통합인식이 부분적으로 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지역사회 참여환경인식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연령통합인식이 부분적으로 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 사회의 공동체 의식 증진을 위하여, 가족의 결속력을 높이는 방안과, 고령친화환경인식, 특히, 지역사회의 참여환경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and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sense of community and the mediating role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in those relationships by regions. To that end, we us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urvey from adults who are aged 20 to 85 (N=1,200). ANOVA,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bootstrapping mediation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family cohesion and one sub-dimension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 social participation- increased sense of community in all three regions. Also,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hesion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small citi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sense of community in all three regions.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discussed ways to increase family cohe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to enhance sense of community.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년도 정부재원(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2020S1A5C2A03092919).

참고문헌

  1. 강소랑, 문상호. (2012). 가족관계 사회자본이 중. 고령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6(3), 271-298.
  2. 강혜연. (2010). 주거 환경에 따른 거주자의 공동체 의식에 대한 분석. 한국국정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0(1), 17-31.
  3. 고동우. (2020). 코로나 19의 제약을 견디는 사람들: 공동체의식, 사회적 책임의식 및 자기오락화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21(3), 399-424. doi.org/10.21074/kjlcap.2020.21.3.399
  4. 권용혁. (2013). 한국의 가족주의에 대한 사회철학적 성찰. 사회와 철학, 25, 203-232.
  5. 김경준, 김성수.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3(2), 211-232.
  6. 김미리, 정순둘. (2018). 위계적 선형모형 (HLM) 을 이용한 연령집단별 연령통합인식에 미치는 영향분석. 조사연구, 19(1), 163-194. doi.org/10.20997/SR.19.1.6
  7. 김수영, 장수지, 오찬옥, 최성희. (2014). 고령친화 공동체 구축을 위한 지표 개발. 한국노년학, 34(3), 555-579.
  8. 김수영, 문경주. (2015). 지역사회의 고령친화도가 노인의 지역 애착심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327-339.
  9. 김수영, 배용준, 오찬옥. (2016). 고령자가 인지하는 지역환경의 고령친화정도-일본 나가사키 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구. 인포디자인이슈), 15(5), 199-211.
  10. 김위정. (2012). 가정환경과 학교경험이 청소년의 시민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3(1), 201-222.
  11. 김학실. (2014). 지역공동체 위기에 대응한 공동체주도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5), 179-201.
  12. 김희진. (2016).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류승아. (2014). 대학 공동체의식이 개인의 안녕 및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과 촉진 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3), 43-60. doi.org/10.21193/kjspp.2014.28.3.003
  14. 문선미. (2018). 참여형 건강증진사업지원이 건강증진사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여의지와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부산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가나. (2009). 청소년 참여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16(10), 273-306.
  16. 박경숙. (2000).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한국사회학, 34(3), 621-647.
  17. 박민자. (2006). 행복가족의 요소와 의미. 가족과 문화, 18(4), 183-205.
  18. 박안숙. (2017). 대학생 자녀와 부모의 가족결속력과 가족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10), 539-550. doi.org/10.5762/KAIS.2017.18.10.539
  19. 배은석, 박해긍. (2016).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공동체의식이 지역사회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8, 173-199.
  20.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16). 2016 서울시 마을기업 이야기. https://sehub.net/wp-content/uploads/2017/06/20170614_061812.pdf 에서 2021.01.10. 인출
  21. 성희자, 전보경. (2006). 농촌 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7(1), 149-170.
  22. 손승영. (2006). 한국의 가족주의와 사회적 과시: 지속과 변화. 담론 201, 9(2), 245-274.
  23. 안정임, 최진호. (2020). 디지털 시민성 역량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57, 133-177.
  24. 양덕순, 강영순. (2008).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1), 71-89.
  25. 오미영. (2008). 지방자치단체-지역주민 관계가 지역민의 지역사회 유대, 지역사회 만족 그리고 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8(1), 327-350. doi.org/10.23036/kapae.2008.18.1.012
  26. 오찬옥, 김수영, 장수지. (2014). 노인의 접촉. 만남을 지원해 주는 근린환경 디자인 지표개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3(2), 30-39.
  27. 이기영, 배은석, 박해긍. (2008). 도농복합지역의 노인복지 비교 연구: 지역복지계획 보고서를 기반으로. 지방정부연구, 11(4), 247-263.
  28. 이동주, 이드보라. (2020).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지역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3(2), 383-393.
  29. 이라영, 신남수. (2009). 공동주택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5(3), 223-234.
  30. 이신숙. (2007). 대학생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 조모와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479-490. https://doi.org/10.5934/KJHE.2007.16.3.479
  31. 이연경. (2021). [공존 2021-세대가 함께] 나이는 달라도 '이웃사촌'...눈높이 맞추고 귀 열어요. https://www.nongmin.com/plan/PLN/SRS/332037/view 2021.01.15 인출
  32. 임정숙, 김고은. (2019).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집단 간 비교. 인문사회 21, 10(3), 1773-1788. doi.org/10.22143/HSS21.10.3.129
  33. 장수지, 김수영, Kobayashi, E. (2014). 연령집단 별 문화성향과 공동체의식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2), 1-27. doi.org/10.22143/HSS21.10.3.12910.21193/kjspp.2014.28.2.001
  34. 장수지, 김수영, 문경주. (2015). 노년기 사회통합의 가능성: 사회참여와 사회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2, 1-29.
  35. 정경희. (2004). 인구고령화와 연령통합 사회. 사회연구, 5, 11-26.
  36. 정순둘, 기지혜, 최혜지. (2015). 연령통합의 개념, 철학적 근거, 사회적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문가 인식과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8, 161-186. doi.org/10.22143/HSS21.10.3.12910.21194/kjgsw..68.201506.161
  37. 정순둘, 박애리. (2018).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사회결속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통합 인식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8(4), 999-1013. doi.org/10.22143/HSS21.10.3.12910.31888/JKGS.2018.38.4.999
  38. 정순둘, 윤희수. (2014). WHO 고령친화도시 실현가능성 분석: 서울특별시 조례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5, 109-130. doi.org/10.21194/kjgsw..65.201409.109
  39. 정순둘, 임정숙. (2020). 단축형 연령통합척도 타당화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연령통합인식 관계: 연령집단 간 비교. 한국노년학, 40(1), 73-89. doi.org/10.31888/JKGS.2020.40.1.73
  40. 정순둘, 전혜상, 송아영. (2015). 노인이 인식하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정도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주민참여환경, 주거환경, 복지 및 의료환경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3), 29-46. doi.org/10.16881/jss.2015.07.26.3.29
  41. 정순둘, 김민경, 김은주, 김주현. (2016a). 심리사회적 노화와 연령통합 인식: 가족주의 및 가족결속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68(4), 5-24. doi.org/10.16975/kjfsw.2016..54.006
  42. 정순둘, 정세미, 이미우, 임정숙. (2016b).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보건사회연구, 36(1), 261-285. doi.org/10.15709/hswr.2016.36.1.261
  43. 정순둘, 김미리. (2017). 고령친화환경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8(2), 121-141. doi.org/10.16999/kasws.2017.48.2.121
  44. 정순둘, 정세미, 이미우. (2017). 자녀교류, 사회적 교류, 고령친화적환경과 연령다양성의 관계: 연령집단별 분석. 보건사회연구, 37(3), 5-35. doi.org/10.15709/hswr.2017.37.3.5
  45. 정승록. (2017). 독거노인의 동네환경 무질서 인식과 우울,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기독교 상담적 의의. 신학과 실천, 56, 471-492.
  46. 정현숙. (2013), 가족의 세대 간 통합과 사회통합, 한국가정관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3-41.
  47. 조윤득, 윤은경. (2015). 독거노인의 우울. 불안감과 사회참여와의 관계에 미치는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0, 223-244. doi.org/10.21194/kjgsw..70.201512.223
  48. 주성수. (2006). 한국 시민사회의 '권익주창적' 특성: CIVICUS 시민사회지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0(5), 233-250.
  49. 진재문, 김수영, 문경주. (2017). 노인차별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2), 135-166. doi.org/10.22340/seps.2017.06.7.2.135
  50. 최순희, 윤현숙, 김영범, 임연옥. (2018). 노인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 지역 비교. 노인복지연구, 73(1), 111-132. doi.org/10.21194/kjgsw.73.1.201803.111
  51. 최희용, 전희정. (2017). 수도권 거주가구의 주거이동방향 간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분석. 도시행정학보, 30(1), 163-180. doi.org/10.36700/KRUMA.2017.03.30.1.163
  52. 한주리, 허경호. (2005). 가족 의사소통 패턴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노출, 내적통제성 및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한국언론학보, 49(5), 202-227.
  53. 허영주. (2019). 가족관계 친밀성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5(3), 429-452. doi.org/10.24159/joec.2019.25.3.429
  54. Beard, J. R., & Montawi, B. (2015). Age and the Environment: The Global Movement Towards Age-Friendly Cities and Communities.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29(1), 5-11. doi.org/10.1080/02650533.2014.993944
  55. Bengtson, V. L., & Schrader, S. S. (1982). Parent-child relations. Research Instruments in Social Gerontology, 2, 115-186.
  56.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57. Buffel, T., Backer, F. D., Peeters, J., Phillipson, C., Reina, V. R. Kindekens, A., Donder, L. D., & Lombaerts, K. (2014). Promoting sustainable communities through intergenerational practice. 5th World Congress on Educaitonal Sciences 2013.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6(2014), 1785-1791. doi.org/10.1016/j.sbspro.2014.01.472
  58. Brooks-Gunn, J., Duncan, G. J., Klebanov, P. K., & Sealand, N. (1993). Do neighborhoods influence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9(2), 353-395. https://doi.org/10.1086/230268
  59. Chavis, D. M., & Wandersman, A. (1990). Sense of community in the urban environment: A catalyst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1), 55-81. https://doi.org/10.1007/bf00922689
  60. Chiou, S. T., & Chen, L. K. (2009). Towards age-friendly hospitals and health service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9, S3-S6. doi.org/10.1016/S0167-4943(09)70004-4
  61. Cicognani, E., Pietrantoni, L., Palestini, L., & Prati, G. (2009). Emergency workers' quality of life: The protective role of sense of community, efficacy beliefs and coping strateg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94(3), 449. doi.org/10.1007/s11205-009-9441-x
  62. Foner, A. (2000). Age integration or age conflict as society ages?. The Gerontologist, 40(3), .272-276. doi.org/10.1093/geront/40.3.272
  63. Gilbert, N., & Specht, H. (1979). Title XX planning by area agencies on aging: Efforts, outcomes and policy implications. The Gerontologist, 19(3), 264-274. https://doi.org/10.1093/geront/19.3.264
  64. Glynn, T. J. (1981).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Measurement and application. Human Relations, 34(9), 789-818. doi.org/10.1177/001872678103400904
  65. Greenfield, E. A., & Marks, N. F. (2010). Sense of community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long-term psychological effects of childhood violence. Social Service Review, 84(1), 129-147. doi.org/10.1086/652786
  66. Hagestad, G. O., & Uhlenberg, P. (2006). Should we be concerned about age segregation? Some theoretical and empirical explorations. Research on Aging, 28(6), 638-653. doi.org/10.1177/0164027506291872
  67. Harwood, J., Hewstone, M., Paolini, S., & Voci, A. (2005). Grandparent-grandchild contact and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1(3), 393-406. doi.org/10.1177/0146167204271577
  68. Hayes, A. F. (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editio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69. Kline, R. B. (2011). Converg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level modeling (pp. 562-589). In M. Williams (Ed.), Handbook of Methodological Innovation. Thousand Oaks, CA: Sage.
  70. Li, S. D., Heide, D. P., & Doris, L. M. (2000). Drug Involvement, Lifestyles, and Criminal Activities among Probationers. Journal of Drug Issues, 30, 593-620. https://doi.org/10.1177/002204260003000306
  71. McMilli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2.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72. Nasar, J. L., & Julian, D. A. (1995).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in the neighborhood.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1(2), 178-184. https://doi.org/10.1080/01944369508975631
  73. Newman, S., Faux, R., & Larimer, B.(1997). Children's views on aging: Their attitudes and values. The Gerontologist, 37(3), 412-417. doi.org/10.1093/geront/37.3.412
  74. OECD (2020), How's Life? 2020: Measuring Well-being, OECD Publishing, Paris. doi.org/10.1787/9870c393-en
  75. Olson, D. H., Sprenkle, D. H., & Russell, C. S. (1979).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I.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typ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amily Process, 18(1), 3-28. https://doi.org/10.1111/j.1545-5300.1979.00003.x
  76. Pooley, J. A., Cohen, L., & Pike, L. T. (2005). Can sense of community inform social capital?. The Social Science Journal, 42(1), 71-79. doi.org/10.1016/j.soscij.2004.11.006
  77. Pretty, G. M., Andrewes, L., & Collett, C. (1994). Exploring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ationship to lonelines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2(4), 346-358. doi.org/10.1002/1520-6629(199410)22:4<346::AID-JCOP2290220407>3.0.CO;2-J
  78. Putnam, Robert D. (2000) Bowling Alone: Civic Disengagement in America. New York: Simon and Schuster.
  79. Ravanera, Z. R., & Fernando, R. (2003). Integration at Mid-Life: An Analysis of the General Social Surveys on Time Use. PSC Discussion Papers Series, 17(9), 2-19.
  80. Reitzes, D. C., & Mutran, E. J. (2004). Grandparenthood: Factors influencing frequency of grandparent-grandchildren contact and grandparent role satisfactio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9(1), S9-S16. doi.org/10.1093/geronb/59.1.S9
  81. Riley, M. W. (1998). The Hidden Age Revolution: Emergent Integration of All Ages. Center for Policy Research. 31.
  82. Riley, M. W., & Riley Jr, J. W. (1994). Age integration and the lives of older people. The Gerontologist, 34(1), 110-115. doi.org/10.1093/geront/34.1.110
  83. Riley, M. W., & Riley, J. W. (2000). Age integration conceptu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Gerontologist, 40(3), 266-270. doi.org/10.1093/geront/40.3.266
  84. Simon, H. (1957). Models of Man. New York: Wiley
  85. Stewart, K., & Townley, G. (2020a). Community and well-being: A qualitative study of how youth experiencing homelessness define community and its relations to their well-being.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8(3), 994-1009. doi.org/10.1002/jcop.22319
  86. Stewart, K., & Townley, G. (2020b). How Far Have we Come?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Sense of Community and Well-being.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66(1-2), 166-189. doi.org/10.1002/ajcp.12456
  87. Reitzes, D. C., & Mutran, E. J. (2004). Grandparenthood: Factors influencing frequency of grandparent-grandchildren contact and grandparent role satisfactio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9(1), S9-S16. doi.org/10.1093/geronb/59.1.S9
  88. WHO (2007).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 World Health Organization.
  89. Wilson, G. & M. Baldassare(1996). Overall sense of community in a suburban region: The effects of localism, privacy, and urbanization. Environment and Behavior, 28(1), 27-43. doi.org/10.1177/001391659628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