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의 수준

Search Result 2,12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thical knowledge perception and related factors i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students (보건계열 학생들의 윤리 지식수준에 관한 연구)

  • Kim, Yun-Jeong;Jang, Yun-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8 no.1
    • /
    • pp.37-43
    • /
    • 2008
  • 이 연구는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중언 학생들의 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언을 살펴보고자 4개 전문대학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6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법이었고, 설문은 윤리 지식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과 윤리교육에 대한 경험과 필요성을 묻는 문항, 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묻는 문항, 윤리의식을 배우는 역할모델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거된 설문은 596부이었고, 회수율은 91.7% 이였다. 연구결과, 의료관계법규 지식수준과 팀웍 지식수준이 다른 윤리 지식 수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의료관계법규 지식수준은 전문 윤리교육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윤리 지식수준은 전문 윤리교육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에서, 3학년에서, 직업 윤리교육경험이 있는 학생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판단 지식수준은 전문 윤리교육 필요성 인지, 임상실습경험, 윤리의식 영향요인, 전문 윤리교육청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임상실습경험이었다. 팀웍 지식수준은 역할모델이 종교단체라고 응답한 학생에서, 윤리의식 영향요인이 가정이라고 응답한 학생에서, 전문 윤리교육을 경험한 학생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윤리 지식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고, 본 연구를 통하여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윤리에 대한 사고 기회를 부여했다는 점과 윤리 의식수준을 점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leveling model for Knowledge Management in Construction Firms (건설기업의 지식경영 수준 평가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Jae-Hyun;Baik Jong-Keon;Kim Jae-Jo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3 no.4 s.12
    • /
    • pp.104-113
    • /
    • 2002
  • Knowledge Management(KM), represented as a way to sustain or gain competitive edge in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since late 1990s economic fluctuation, whose priority is to transform individual tacit knowledge into explicit organizational one. Also, accompanied by academic researches, they come to turn their interests on KM leveling and its results. However, they went too far to KM results without commenting what their KM capabilities are and where they should lead. Thus, this research work suggests a leveling model for KM, especially construction company, whose role is to diagnose which parts they should be encouraged or how to strengthen their present capabilities.

Ethical perception from practice of ethics education (윤리 교육경험에 따른 윤리 지식수준에 관한 연구)

  • Kim, Yun-Jeong;Kwag, Jung-S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7 no.2
    • /
    • pp.115-122
    • /
    • 2007
  • 이 연구는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윤리교육 경험과 윤리교육 필요성인지에 따른 윤리지식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 중인 59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법으로 2005년 4월 한달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로 독립변수는 의료 윤리 교육경험, 전문윤리 교육경험, 직업윤리 교육경험, 임상실습 경험, 전문윤리 교육 필요성 인지, 의료윤리 교육 필요성 인지이었고, 종속변수는 면허관련법규 지식수준, 전문윤리 지식수준, 의사결정판단 지식수준, 팀웍 지식수준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를 실시한 결과, 임상실습경험 직업윤리 교육경험 의료윤리 교육경험, 전문윤리 교육경험, 전문윤리 교육 필요성 인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 중 직업윤리 교육경험에 따라서는 4가지 윤리지식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학교에서의 윤리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일반 윤리교육에 비해서 직업 윤리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Computer Proficiency of the College Freshmen (대학 신입생의 컴퓨터 기초소양 비교 분석)

  • Kim, Jong-S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261-266
    • /
    • 2007
  • 제7차 컴퓨터 교육과정에 대한 많은 논란과 개선방안이 제기되어 왔지만 경험한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성취수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도에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행했던 컴퓨터 소양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5년도와 2006년도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연차별로 컴퓨터 소양과 활용수준 그리고 양 집단간의 수준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5년도에 개발된 설문지 사용하여 각 학기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두 집단 모두 다섯가지의 영역에서 영역간의 수준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통신, 기초기능 그리고 정보윤리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으며, 반면에 기초지식과 소프트웨어 활용 영역에서 보통 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의 연차별 수준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였다. 컴퓨터통신과 정보윤리 영역에서 미미하나마 2005년도에 비하여 평균이 약간 증가하였으며, 나머지 세 개의 소프트웨어 활용과 기초지식 및 기초기능 영역에서는 각각의 평균이 0.05 이하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학 신입생의 컴퓨터 소양교육을 위한 두 집단간의 연차별 선수 지식의 수준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 of the Types of Local Emotion-Appealed Messages on the Consumer Persuasion (지역정서소구메시지 유형별 소비자 설득효과에 관한 연구)

  • 황윤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v.5 no.1
    • /
    • pp.23-50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 기업들이 광고촉진의 한 수단으로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특정 감정소구의 한 형태로서 지역정서를 이용한 광고의 설득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지역정서소구메시지 유형을 촉진형 메시지와 예방형 메시지로 구분하고, 이 메시지유형들의 설득효과에 대하여 소비자의 지식수준과 자기지역중심성향 (CLOCAL)이 어떻게 조절작용을 하는가를 탐색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소비자에 대한 지역정서소구광고의 메시지유형별 설득효과는 소비자 개인특성의 조절변인으로서 지식수준과 자기지역중심성향 수준을 고려했을 경우, 촉진형 메시지와 예방형 메시지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소비자의 정보처리능력과 관련하여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촉진형 메시지가 더 설득적이었고,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예방형 메시지가 더 설득적임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소비자의 자기지역중심성향수준에 따라서는, 높은 수준의 집단에서는 예방형 메시지가, 낮은 수준의 집단에서는 촉진형 메시지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정서소구광고의 메시지 특성과 소비자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지역정서소구광고의 설계전략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curity Vaccine User's Construal Level and Message Type on th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정보보안 백신 사용자의 해석수준과 메시지유형이 정보보안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Kyong Eun;Kim, Jung Yoon;Hyun, Jung Suk;Park, Chan J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8 no.6
    • /
    • pp.33-42
    • /
    • 2015
  •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information security vaccine users' selection intentions differ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lection time of information security vaccine, advertisement message types, and information security knowledge level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by applying an experimental design of 2(knowledge level: high/low) ${\times}2$(temporal distances: short distance/long distance) ${\times}2$(advertisement message types: how(concrete)/why(abstract)) on computer security vaccine softwares.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election intentions about information security vaccines differ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temporal distance and advertisement message type, and also vari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curity knowledge level.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n implication that the consideration of well-timed persuasive message is especially important for the users at the high level of knowledge. Also, this research implies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abstract thinking ability based on temporal distance for the users at the low level of knowledge.

Effect of Mathematics Instruction Based on Constructivism on Learners' Knowledge Generation Level and Reasoning Ability - Focusing on 4th Grade Fraction (구성주의를 반영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지식 생성 수준 및 추론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4학년 분수를 중심으로 -)

  • Lee, Eungsuk;Kim, Jinho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9 no.1
    • /
    • pp.79-11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effect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based on constructivism (LCIC) on their knowledge generation level and reasoning ability. To look for them, after fraction units are re-planed for implementing LCIC, instructions using it provide students in a class. From the data, some conclusions can be drawn as follows: LCIC has more positive influence of students on recall ability, generation ability, and reasoning ability than tractional instruction method. With the data it can be said that the interaction exists between learners' reasoning ability and generation level.

중소벤처기업이 알아야할 지식재산권 보호

  • Lee, Min-Jae
    • Venture DIGEST
    • /
    • s.131
    • /
    • pp.10-12
    • /
    • 2009
  • 대한민국은 지식재산권 보유규모만을 한정하면 세계 어디에도 손색이 없는 수준의 지식재산 강국이 되었다. 그러나 세계 4위의 지식재산 보유 강국이면서도, 지식재산권의 활용이나 보호 측면에서는 여전히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최근의 지식재산권 통계자료에 의하면, 특허출원 증가율에 있어 대기업은 연평균 18.2%, 중소기업은 2.7%로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정체되어 있고, 더욱이 우리나라의 특허활용도는 세계 21위 수준(IMD 경쟁력보고서)이고 보면 지식재산의 보유 양에 비하여 질적 수준이 낮아 가치 창출에 미흡한 편이다. 더욱이 경기침체로 국내 대기업을 비롯한 세계 굴지의 기업들이 생존경쟁과 특허 선점을 위한 글로벌 특허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국내 중소벤처기업은 부족한 자금과 인력풀 속에 온갖 특허분쟁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순히 물건을 잘 만들어 잘 판매하는 것만으로는 험난한 글로벌 특허 전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지금껏 개발하여 잘 판매하고 있는데 느닷없이 관련된 권리를 가지고 판매 및 생산을 중지시키고, 수출을 위해 선적해둔 물건을 압류해 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신의 지식재산권을 지키고 다른 이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조심하고, 문제가 생겼을 경우 적절히 대응하는 것은 물건을 잘 만들고, 잘 판매하는 것만큼 대단히 중요하며 어쩌면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이기도 하므로, 최근 빈번한 지식재산권 분쟁 대처사항을 점검해 보자.

  • PDF

HACCP 적용 급식학교 조리종사자의 지식 및 실천수준 평가 - 안산ㆍ시흥 지역을 중심으로 -

  • 정경희;이경희;이영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2003.05a
    • /
    • pp.94-94
    • /
    • 2003
  • 본 연구는 HACCP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급식학교 조리종사자의 HACCP에 관한 지식과 실천 수준을 비교 평가하여 기초자료로 삼고자 2002년 10월 12∼15일까지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사, 조리종사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각각 20부(80.0%), 184부(80.3%)를 회수하였고, 영양사의 인적 특성에 따른 HACCP 교육 내용 차이, HACCP적용 기기 및 기구의 보유에 따른 실천수준차이, 조리종사자의 지식수준에 따른 실천수준에 대하여 x-test, T-test, 상관분석을 SPSS10.0로 이용하였다. (중략)

  • PDF

Knowledge, Compliance, and affecting factors of the Cough Etiquette to Prevent th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on Convergence Study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한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 및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 연구)

  • Kim, Og Son;Yoon, Sung 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0
    • /
    • pp.389-398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compliance and affecting factors of the cough etiquette to prevent th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Data were collected 250 self reporting questionnaires above 19 years old adult from Aug. 13th to Sep. 19th 2018. 21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In the results, the score was converted in terms of 100 points, knowledge of the cough etiquette was average $70.99{\pm}19.92$ points, compliance was $70.63{\pm}10.25$ points. Knowledge and compliance were statistically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ffecting factors were gender, usually carry a handkerchief, usually carry a portable tissue paper, average number of handwashes per day, know about cough etiquette, knowledge of cough etiquet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al program that reflects the affecting factors of cough etiquette in this study result. The higher level of cough etiquette performance will help prevent respiratory infection trans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