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붕의 형태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초

테슬라, 새로운 도전: 태양광 지붕 '솔라루프'

  • 이명원;손민희;이흥구;김경남
    • 한국태양광발전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3-60
    • /
    • 2017
  • 테슬라가 2016년 11월 17일 솔라시티를 인수한 이후 태양광 산업 관련 첫 제품으로 솔라루프를 출시하였다. 솔라루프는 태양광 충전이 가능한 지붕 타일의 형태를 띠고 있다. 테슬라의 솔라루프는 테슬라가 에너지에 관한 모든 시스템과 서비스를 생산 및 판매하는 회사로 거듭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테슬라는 부채가 높은 솔라시티를 인수했으며, 파나소닉과 태양전지 및 모듈 분야에 기술협약을 체결하였다. 테슬라는 기존의 업체와는 다른 경로와 마케팅으로 시장을 장악해나갔다. 본고는 전기자동차가 자동차 시장에 미친 파장처럼 테슬라의 솔라루프도 태양전지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시사점을 전달하고자 주요 문헌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다.

  • PDF

한반도 신석기시대 주거의 변천과 구조적 양상 (The Dwelling Transitions and Structural Features in the Neolithic Age of the Korean Peninsula)

  • 이상균
    • 고문화
    • /
    • 61호
    • /
    • pp.3-44
    • /
    • 2003
  • 한반도에서의 주거 평면구조는 일반적으로 원형$\rightarrow$방형$\rightarrow$장방형의 순으로 변천하고 있다. 주거의 출입구조는 계단식과 돌출되어 있는 경우, 주거 벽면에서 경사진 구조 등이 있고, 주거바닥은 주로 생토층과 모래바닥을 이용하며, 진흙이나 조개껍질을 깐 경우도 있다. 저장시설은 화덕자리의 주변이나 주거의 벽가에 두고 있으며, 화덕자리는 중앙의 1개소가 일반적이다. 기둥구멍은 벽가를 따라 배치되거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경우, 혹은 주거지의 내부와 외부에 동시에 존재하기도 한다. 지붕구조는 낮은 원추형에서 기둥을 걸쳐서 만드는 양면경사의 방형이나 장방형으로 변하며, 주거의 내부공간은 수면이나 취사 이외에도 작업장, 의례 등 여러 기능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거는 기본적으로 1기에 1칸의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내부에서 남녀의 공간적 사용범위가 정해져 있다. 신석기시대의 취락은 환상이나 호상형태로 중앙에 광장이 있으며, 주거 밀집지역에 공공장소가 존재한다.

  • PDF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의 지붕부 연구 (A Study on the Roof Components of the Traditional Single-Room Square Type Pavilion)

  • 정다인;김충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6-64
    • /
    • 2021
  • 정자는 전통 조경에서 중요한 경관적 장치이자 공간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시설이다. 전통 조경공간에 대한 해석과 계승을 위해서는 전통 정자의 형상과 구조에 대한 연구도 동반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통 정자의 양식과 구조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정자의 형상을 결정짓는데 가장 비중이 큰 지붕부를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의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15개의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한 칸 정자의 지붕부의 유형을 구분짓는 주요 부재는 보, 종도리, 동자임을 확인하였다. 지붕 부재의 유무에 따라 정자는 보, 보+종도리보+동자, 종도리, 동자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지붕부의 형상 분류를 토대로 보에 작용하는 하중과 결구를 분석한 결과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에서 보가 수장과 하중의 균형을 이루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자 지붕부의 형태와 부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크기, 비율, 하중 등으로 면밀하게 해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심신경망을 이용한 3차원 선소의 군집화에 의한 위성영상의 3차원 건물모델 재구성 (Reconstruction of 3D Building Model from Satellite Imagery Based on the Grouping of 3D Line Segments Using Centroid Neural Network)

  • 우동민;박동철;호하이느웬;김태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1-13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중심신경망을 이용하여 위성영상으로부터 직사각형 형태의 3차원 건물의 지붕모델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제안된 3차원 지붕모델 재구성 기법의 핵심은 3차원 선소의 군집화에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구해진 DEM (Digital Elevation Map) 데이터와 2차원 선소에 의해서 3자원 선소를 발생하였다. 제안된 군집화 과정은 중심신경망을 이용한 방법에 의해 수행되며, 2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선소 추출과정에서 끊어지거나, 중복된 3차원 선소를 건물을 이루는 주된 선소로 군집화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건물을 구성하는 주된 선소를 구하기 위해 서로 평행인 선소들의 군으로 군집화를 수행한다. 이 군집화 결과를 최종 클러스터링 과정을 통해 직사각형 형태의 지붕모델로 재구성하게 된다. 제안된 방법이 대전지역의 고해상도 IKONOS 위성영상에 의해 실험되었다. 재구성된 건물모델이 원래 건물의 위치와 형태를 대체로 정확히 반영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을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도시지역의 건물모델을 구축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라이다 자료로부터 라스터 형태에 기반한 형상 추출기법 연구 (Feature Extraction from Rasterized Forms of Lidar Data)

  • 서수영;김해명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144-145
    • /
    • 2008
  • 본 연구는 라이다 자료를 이용하여 건물영역을 추출하고 건물모델을 구성하는 선형과 면요소들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라이다 자료는 지형지물의 표고값을 정확하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항공사진에 비하여 매칭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라이다 점들은 해당 수평위치에 대한 표고값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지표 위의 지형지물들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점들간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그들을 구성하는 선이나 면요소들을 추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라이다 자료를 라스터 형태로 변환한 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낫은 영역과 높은 영역으로 분리하여 각각 지형과 건물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건물영역 경계로부터 건물 외곽선을 추출하고 건물영역 내에 면요소들을 통계분석을 통하여 추출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시한 기법들은 비교적 복잡한 형태의 건물 지붕면과 외곽선을 성공적으로 분할하고 추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수치항공사진으로부터 소형건물의 지붕 경계 추출 (Extracting Roof Edges of Small Buildings from Digital Aerial Photographs)

  • 이진덕;방건준;김성훈;이규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25-435
    • /
    • 2014
  • 항공사진이나 위성영상으로부터 건물, 도로 등과 같은 인공지물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 왔으며, 최근 수치항공사진의 해상도가 크게 개선됨에 따라 인공지물 추출 시 종종 원치 않는 잡영들이 검출되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잡영 문제를 보완하고 필요로 하는 대상물을 추출해 내기 위한 목적으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RGB영상의 채널을 분리하고 채널간의 차연산을 수행한 후 각 결과를 이진화하고 잡영제거 및 형태복원을 통하여 경계를 추출하도록 구성되었다. 경계 검출을 수행하기에 앞서 실험에 사용될 수치항공칼라사진에 대하여 광속조정, 수치지형모형 추출, 수치정사사진 생성 및 모자이크 작업 등의 사전처리 과정을 거쳤으며, 이렇게 하여 얻어진 수치정사사진 상에서 소형건물의 지붕경계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또한 지붕경계 추출 결과를 종래의 방법으로 얻어진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알고리즘의 타당성이 입증될 수 있었다.

한국형 중목구조 주택 표준화 개발을 위한 목조주택의 디자인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Wooden Houses in order to Develop Korean Modern Wooden Houses)

  • Lee, Jusu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37-549
    • /
    • 2017
  • 목조주택은 전통한옥, 현대한옥, 경골목구조, 중목구조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 국내에서 가장많이 건축되고 있는 경골목구조는 외국의 문화이며 전통한옥인 우리문화와 서로 잘 조화롭지 못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한옥과 현대 목조주택의 디자인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한 디자인 특성은 우리나라 한국적 목조 양식과 생활양식에 맞는 미래의 목조 건축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는 공간분석, 평면분석, 구조 시스템 분석, 지붕의 형태 분석, 미학적 분석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통한옥과 현대에 대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한국형 중목구조 주택의 내외부의 모습과 모듈화요소를 제안하고 평면설계 및 지붕 벽체상세의 개발방향을 제안하였다.

전통지역의 형태 마감재별 경관 색채 특성 - 스웨덴 스톡홀름시의 실례를 대상으로 - (Townscape Color Character by Form Finishes of the Traditional Area - Focusing on Stockholm, Sweden -)

  • 최승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58
    • /
    • 2011
  • 연구의 방법에 있어서, 주변경관에 영향을 주는 경관구성 중 건축의 색채 설계 자료로서 건축 각 부위의 벽, 지붕, 창문, 출입문 상태를 수집하였다. 또한 3배색 이미지 맵을 활용해서 색채의 경향을 분류하였다. 도시경관의 구성요소인 지역별 주요거리의 각 대상지역에 사용되어진 색채의 성질을 색상, 명도, 채도로 나타낸다. 각 대상지역 사용 색채 경향의 특성을 찾아내고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 관리 측면에서 비교적 색채의 배경이 잘 되어 있는 스웨덴 스톡홀름시의 실례를 대상으로 경관 색채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경관 색채의 배경을 만들어 가는 마감재의 색채 사용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관찰조사를 한 대상 지역은 각각의 8개 지역과 주 거리 이름의 색채 사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색채를 성분별로 분류하였다. 마감재에 있어서 지붕의 강판 종류와 적벽돌 종류, 아스팔트 슁글 종류, 도료 종류, 타일기와 종류 등의 색채 사용의 경향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고층아파트 지붕형태의 변천과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의 고층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and Preferences of Roof Styles of High-storied Apartments - Centering of High-storied Apartments in GwangJu -)

  • 오금열;김인호;김윤학;이봉수;조용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05-115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a variety of apartment roof style for 147 apartment complexes built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style that is most prefer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apartment houses built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are 11 to 15 stories followed by apartments that have less than 5 stories, with fewer apartments that have 16 to 20 stories. According to roof styles, the eyebrow roof A type i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he plane roof A type, the sloped roof B type and the sloped roof C type, while 2/3 of all roof types have either an eyebrow roof A type or a plane roof A type. Using images of these roof types to determine those that are preferred, the decorative roof C type is most preferred, followed by the sloped roof B and C types. According to recognition of adjective pairs, decorative roof C type showed a higher recognition for the categories of unique, decorative, three dimensional and novel, the sloped roof B type showed a higher recognition for the categories of three dimensional, decorative and structured while the sloped roof C type showed a higher recognition in the decorative, novel, varied and three dimensional categories. In the correlations between image preference and recognition scale of roof styles of apartment houses, decorative roof C typ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jective pairs with the calm image, the sloped roof B type with the intimate image, while the sloped roof C type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static and ordered with the easy image. Therefore, for the design of future apartment roofs, decorative roof C type requires more consideration of visual aspects that are related to a sense of unity, while further morphological factors needs to be adopted with sloped roof B and C types.

한우농가의 사육규모별, 지역별 축사시설 현황 분석 (Survey on Housing Types of Korean Native Cattle and Beef Cattle by Farm Scale and Region)

  • 최희철;감동환;송준익;전병수;전중환;유용희;나재천;유동조;방한태;서옥석;이상철;김정수;이동흥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7-174
    • /
    • 2008
  • 본 조사는 우리나라 한우농가의 지역별,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의 한육우 50두 이상 사육농가 7,433호를 대상으로 축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육규모별 한육우 농가의 사육 마리수는 50두 이상 7,443호의 전업농가에서 736,164 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99마리 이었다. 2. 한육우의 축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8년이었으며 농가당 축사면적은 $1,396.9m^2$이었다. 3. 우사의 건축형태는 톱밥우사 8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계류식과 톱밥 운동장을 활용하는 농가가 9.8%, 후리스톨 3.0%, 기타 2.9%이었다. 4. 규모별 우사의 건축형태는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톱밥우사는 $50{\sim}99$두 농가의 경우 86.5%, 200두 이상 89.1%이었으며 계류식+톱밥운동장을 활용하는 농가는 $50{\sim}99$두 농가가 10.1%, 200두 이상은 7.8%로서 규모가 클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5. 지역별 우사 바닥의 형태는 깔짚이 94.7%로 모든 지역에서 스크레이퍼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6. 우사 바닥의 형태는 규모에 관계없이 깔짚을 선호하는 경향이었으며 스크레이퍼는 $5.1{\sim}6.6%$로 낮은 반면 깔짚은 $93.6{\sim}94.8%$로 높았다. 7. 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 32.2%, 판넬 13.7%,강판 12.2%, 갈바륨 10.2%, 칼라강판 9.7%, 썬라이트 8.9%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8. 규모별 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의 경우 평균 32.2%이었으나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에서 슬레이트 비율은 22.5%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9. 우사 외벽 재질의 종류는 윈치커튼(55.6%)을 활용하거나 개방식 (47.6%)이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으나 윈치커텐이 약간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10. 소규모 농가는 개방형이 48.9%로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 42.4%에 비하여 높았으나 윈치커튼은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에서 59.8%로 원치커텐 54.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11. 우사 시설의 사용년수에 있어서 사료 자동급여기와 방서시설은 6년 정도 사용하였으며, 급수기와 전기시설은 8년 정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