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oof Components of the Traditional Single-Room Square Type Pavilion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의 지붕부 연구

  • Jeong, Da-In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Choong-Sik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정다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21.08.09
  • Accepted : 2021.08.28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Pavilion is an important landscape installation in the traditional landscaping and a representative facility that organizes space. To interpret and succeed the traditional landscape space, researches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pavilion are also needed. However, researches on the style and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pavilion are difficult to be found.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oof part that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in determining the shape of pavilion. Ou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15 traditional Single-room square pavilions whose structure could be identified, it was found that the main building elements that distinguished the type of roof part in the Single-room square were crossbeam, ridge pole, and baluster.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roofing members, pavilion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crossbeam, crossbeam+ridge pole, crossbeam+baluster, ridge pole, and balust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oad and joint that worked on crossbeam based on the shape classification of roof part, it was found that in the traditional Single-room square pavilion, crossbeam was designed to play a balancing role between pillar and loa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make a close interpretation of the shape of roof part in the pavilion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building elements in terms of size, ratio, and load.

정자는 전통 조경에서 중요한 경관적 장치이자 공간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시설이다. 전통 조경공간에 대한 해석과 계승을 위해서는 전통 정자의 형상과 구조에 대한 연구도 동반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통 정자의 양식과 구조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정자의 형상을 결정짓는데 가장 비중이 큰 지붕부를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의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15개의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한 칸 정자의 지붕부의 유형을 구분짓는 주요 부재는 보, 종도리, 동자임을 확인하였다. 지붕 부재의 유무에 따라 정자는 보, 보+종도리보+동자, 종도리, 동자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지붕부의 형상 분류를 토대로 보에 작용하는 하중과 결구를 분석한 결과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에서 보가 수장과 하중의 균형을 이루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자 지붕부의 형태와 부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크기, 비율, 하중 등으로 면밀하게 해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1년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원 학술연구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이선정(2004). 생활의 복원을 통한 정자건축에 관한 연구-거창군에 현존하는 정자를 중심으로-. 중앙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정동오(1986). 전통적인 정자원림의 입지특성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5(1): 25-38.
  3. 안계복(1990). 누각 및 정자양식을 통한 한국 전통정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문화재연구소(1993). 정자실측조사보고서.
  5.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2012). 서울의 누정.
  6. 지역문화연구소(2003). 시.군별 누정(樓亭) 현황.
  7. 강원연구원(2017). 강원도 누정의 가치제고 방향.
  8. 안세현(2012). 조선시대 지리지 소재 강원지역 누정 일람, 강원문화연구.
  9. 허경진(1999). 남지역에 세워졌던 정자들. 열상고전연구.
  10. 이상민(2019). 충청북도 누정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세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호남기록문화유산. 호남권 누정 총 목록.
  12. 이승한(2005). 구조역학 이야기. 성안당.
  13. 문화재청(1997). 창덕궁 정자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