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n Housing Types of Korean Native Cattle and Beef Cattle by Farm Scale and Region

한우농가의 사육규모별, 지역별 축사시설 현황 분석

  • Choi, H.C.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ham, Dong-Hwan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Song, J.I.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Jeon, B.S.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Jeon, J.H.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Yoo, Y.H.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Na, J.C.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Yu, D.J.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Bang, H.T.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Suh, O.S.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Lee, S.C.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J.S. (Livestock Resources Recycling Team,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
  • Lee, D.H. (Livestock Resources Recycling Team,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 최희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감동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송준익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전병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전중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유용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나재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유동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방한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이상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정수 (농림수산식품부) ;
  • 이동흥 (농림수산식품부)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using types of Korean native cattle and beef cattle farms in Korea. The farm sized over 50 heads of cattle, 7,433 farms were surveyed. Regarding housing types for Korean native cattle and beef cattle, litter barn, freestall, mooring+litter ground and others accounted for 87.1, 9.8, 3.0, and 2.9 %, respectively. Most of Korean native cattle and beef cattle farms (94.7%) used litter floor rather than scraper. As for roof types, slate, panel, iron plate, galvanized plate, colored iron plate and sunlight represented 32.2, 13.7, 12.2, 10.2, 9.7, and 8.9 %, respectively. Open side wall type and winch curtain were 55.6, and 47.6 %, respectively. Bigger farms seemed to used more winch curtain than open style. Utilization period of automatic feeder, waterer, electric facility, and cooling facility was 6.7, 8.0, 8.5, and 6.0 years, respectively.

본 조사는 우리나라 한우농가의 지역별,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의 한육우 50두 이상 사육농가 7,433호를 대상으로 축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육규모별 한육우 농가의 사육 마리수는 50두 이상 7,443호의 전업농가에서 736,164 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99마리 이었다. 2. 한육우의 축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8년이었으며 농가당 축사면적은 $1,396.9m^2$이었다. 3. 우사의 건축형태는 톱밥우사 8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계류식과 톱밥 운동장을 활용하는 농가가 9.8%, 후리스톨 3.0%, 기타 2.9%이었다. 4. 규모별 우사의 건축형태는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톱밥우사는 $50{\sim}99$두 농가의 경우 86.5%, 200두 이상 89.1%이었으며 계류식+톱밥운동장을 활용하는 농가는 $50{\sim}99$두 농가가 10.1%, 200두 이상은 7.8%로서 규모가 클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5. 지역별 우사 바닥의 형태는 깔짚이 94.7%로 모든 지역에서 스크레이퍼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6. 우사 바닥의 형태는 규모에 관계없이 깔짚을 선호하는 경향이었으며 스크레이퍼는 $5.1{\sim}6.6%$로 낮은 반면 깔짚은 $93.6{\sim}94.8%$로 높았다. 7. 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 32.2%, 판넬 13.7%,강판 12.2%, 갈바륨 10.2%, 칼라강판 9.7%, 썬라이트 8.9%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8. 규모별 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의 경우 평균 32.2%이었으나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에서 슬레이트 비율은 22.5%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9. 우사 외벽 재질의 종류는 윈치커튼(55.6%)을 활용하거나 개방식 (47.6%)이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으나 윈치커텐이 약간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10. 소규모 농가는 개방형이 48.9%로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 42.4%에 비하여 높았으나 윈치커튼은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에서 59.8%로 원치커텐 54.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11. 우사 시설의 사용년수에 있어서 사료 자동급여기와 방서시설은 6년 정도 사용하였으며, 급수기와 전기시설은 8년 정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