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도 교수

검색결과 3,207건 처리시간 0.03초

전문대학 교수들의 학생진로지도 경험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f community college professors' experiences in career guidance: a grounded theory approach)

  • 우영지;이지희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3호
    • /
    • pp.1-26
    • /
    • 2023
  •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수들이 전공과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원인 및 현상, 맥락, 대처 등 관련한 주요한 구성요소를 발견하고,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여 그 경험을 구조적·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전공과 교수 총 2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 결과를 근거이론 방법론(Srauss & Corbin, 1998)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7개의 범주와 31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전문대학 교수의 학생진로지도에 있어서 중심현상은 크게 두 범주로 학생진로지도의 고충 경험과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태도 변화였다. 중심현상 발생의 원인에 해당하는 인과적 조건으로는 교수의 진로지도 전문성 부족, 학생의 진로지도 범위 및 요구수준, 진로지도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의 세 가지 범주가 있었다. 중심현상을 만들어내는 특수한 상황이나 조건에 해당하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학생진로지도의 필요성, 학생진로지도의 과도한 부담과 시간부족, 학교차원의 학생진로지도 관련 소통 부족, 학생진로지도의 시스템 네 가지가 있었다. 이 외에도 작용·상호작용, 중재적 조건, 결과 등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수들이 실제로 진로지도의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어떤 어려움을 겪으며, 어떤 대처를 통해 어떠한 결과에 이르는지의 과정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전문대학 교수의 학생진로지도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 하며 어떠한 도움이나 지원이 필요할 것인지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예비초등교사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 수업지도안 분석을 중심으로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Lesson Plan Analysis)

  • 권혁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421-428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 간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을 연구 참여자인 C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 중인 예비초등교사 84명에게 분석토록 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분석내용의 빈도 차이가 가장 많은 영역은 '학습안내 제시'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스퀘어 검증 결과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영역 별 빈도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안내 제시' 영역 내 교수요소 별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면과 비대면 간 분석의 빈도 차이가 두드러지게 큰 교수요소는 '매체 및 테크놀로지 활용'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학습안내 제시' 영역 내의 교수요소별 빈도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초등교사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주는 것으로 향후 예비교사의 교사전문성 제고를 위해 특히 비대면 수업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맞춘 교사양성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또래교수 담론에서의 집단 구성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Grouping in Peer Tutoring Discourse)

  • 김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81-309
    • /
    • 2015
  • 본 연구는 또래교수 학습법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과정에서 집단별로 수학 성적이 다른 또래학습자의 3개의 집단에서 각 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이 학습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수학 성적 최상(A) 상(B) 중(C) 하(D)위 집단에서 연구 참여자를 각각 한명씩 선정하여 수학 학업 성취도가 가장 높은 학생이 또래교수자가 되고, 나머지 3명의 학생들이 또래학습자가 되어 A-B, A-C, A-D의 3개의 집단을 구성하였다. A-B, A-C, A-D의 각 집단별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는 기회를 가지도록 하였으며, 이를 촬영한 비디오 자료와 사전 사후 활동지를 분석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담론 전사본과 활동지를 열 네개의 문제에 대하여 구조화된 자료를 비교 대조하여 세 집단에서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교수자에게 또래교수 학습법이 어떤 도움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장면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래학습자의 성적 차이가 집단 별로 다를 때 수학적 담론의 특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또래교수의 집단 구성을 할 때 성적의 차이를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여 또래교수의 집단 구성 방법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효과적 이러닝 실습전략을 위한 온라인 시뮬레이션 구현방법 및 학습활동 분류 (Classification of Online Simulation Content for Effective Engineering E-Learning Courses)

  • 황석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77-83
    • /
    • 2010
  • 공학교육에서의 이러닝 실습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온라인 시뮬레이션이 포함된 콘텐츠의 내용 구성방법과 완료된 콘텐츠의 활용방법이다. 공학분야에서 실습을 온라인으로 구현하려는 교수자는 실습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온라인 실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도록 다양한 학습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실습을 지도하는 교수자도 온라인 시뮬레이션의 효과를 담보하는 교수학습활동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즉, 공학교육의 모든 교수자는 이러닝 콘텐츠에서 온라인 실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어떠한 교수학습 활동 및 전략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실습의 개발 유형을 구분하며 이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활동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고 교수학습활동을 교육 이론과 비교, 검토하여 온라인 실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교수방법 및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Keller의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중학교 가정 '영양과 식사' 단원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applying Keller's motive induction strategy to 'Nutrition and Meal' unit of the revised 7th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 편은영;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9-173
    • /
    • 2009
  •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기술 가정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에 동기유발 전략을 활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해 먼저 켈러와 송상호가 밝힌 Dick과 Carey 모형과 ARCS 모형의 인터페이스를 기초하여 수업 설계 단계를 추출하였다. 수업설계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밝히고 있는 가정과교육의 성격과 특징을 분석하여 수업의 목적을 규명하고, 대단원과 중단원, 소단원의 학습목표를 연계하여 공통의 목표를 지향할 수 있는 5개의 학습 문제를 추출하였다. 구상한 교수 학습 활동의 학습 목표를 진술하고, 교수전략과 교재를 개발하였다. 교수전략은 교수 학습 과정안에 접목할 동기요소들을 교수전략과 연계하여 제시하였고, 교재 개발은 교수 학습 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활동지를 구성하는 단계로 사용하였다. 개발한 5개의 교수 학습 과정안의 도입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제를 제시하였다. 다음 단계에서 그러한 문제와 관련된 배경지식을 학습하고, 제기된 문제와 관련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모습과 비교하여 이루고 싶은 목표를 설정하게 하였다. 설정한 목표가 자신과 가족, 친구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 봄으로써 목표에 대한 결과를 고려하고, 자신의 행동으로 어떻게 옮길 지를 작성하여,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의 평가는 켈러와 송상호가 밝힌 동기전술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동기요소와 그에 따르는 하위요소의 문항에 적합한 요소를 추출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의 오른쪽에 아이콘화 하여 나타내었으며, 이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가정과교육 전공 교수 1인과 가정과교육전공 박사학위를 소지한 현장교사 1인, 중등 가정과교사 5인으로부터 검토 받고 검토 내용을 참조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을 다시 수정하고 보완하여 완성하였다.

  • PDF

교수자의 편의성 창출을 위한 학생 지도 스마트수첩 설계 및 구현 (Guidance for the convenience of instructors to creat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diary)

  • 장혜숙;박기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37-143
    • /
    • 2013
  • 교육현장에서 교수가 학생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기본 정보와 강의 정보가 필요하다. 현재 교수들이 학생을 지도하기 위한 교무수첩은 비 전자식과 전자식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전자식 교무수첩은 데스크 탑 PC에서 구동되기 때문에 휴대할 수 없어 활용도가 매우 적다. 그리고 모바일용은 플랫폼별로 구동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추가비용과 별도의 교육을 받아야 사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이동식과 모바일용 시스템으로 학생지도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 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수들이 개인 스마트 기기로 언제 어디서든 학생들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 하여 지도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수첩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서울지도" 펴낸 허영환교수

  • 이성수
    • 출판저널
    • /
    • 통권153호
    • /
    • pp.2-3
    • /
    • 1994
  • "조선시대 초기 이후 각 시기마다 제작된 서울의 지도는, 선인들이 서울을 어떻게 대하고 있었는지 그 세계관을 엿볼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서의 중요성도 함께 아우르고 있다"는 허영환 교수. 그의 말이 없더라도 "정부 600년 서울지도"는, 과거의 거리를 현대에 이끌고 와 서울의 과거 모습과 사람들의 발자취를 찾아주고 있어 더욱 주목을 끈다.

  • PDF

Piaget인지발달 단계에 따른 교수전략의 지도효과 (Effects of Teaching Strategies according to Piagetian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 김현재;서자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1-94
    • /
    • 1988
  • 본 연구의 목적은 Piaget의 인지발달단계(전조작 구체적 조작 단계)에 따른 자연과 개념획득에 효과적인 교수전략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서, 첫째는 문헌연구를 통해서, Piaget의 인지이론을 기초로한 교육론과 개념학습을 위한 교수전략을 연구함으로써 전조작 단계의 어린이, 구체적 조작단계의 어린이에게는 연역적 교수전략보다 귀납적 교수전략이 더 효과적이며, 구체적 조작단계의 어린이에게는 초보적인 논리능력이 발달하므로 연역적 교수전략도 가능하며, 이 2가지의 인지단계가 복합돼 있는 국민학교 2학년 집단에게는 귀납적 교수전략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는 데에 이르렀다. 둘째로는 현장 실험연구로서 실제로 자연과 2학년의 한 단원을 연억 귀납의 교수전략의 단계에 맞추어 적용하였다. Piaget의 인지 발달 단계예 따른 자연과 개념획득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전략을 탐색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조작 단계의 아동은 자연과 개념획득을 위해서는 연역적 교수전략보다 귀납적 교수전략이 더 효과적이다. 둘째, 구체적 조작단계의 아동에게는자연과 개념획득을 위한 교수전략은 귀납적 교수전략이 효과적이지만, 연역적 교수전략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로써 국민학교 2학년 즉, 전조작 단계와 구체척 조작단계가 복합돼있는 집단에게는 연역적 교수전략보다 귀납적 교수전략이 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 PDF

공대 여대생의 취업 활성화를 위한 교수 지도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Professor's Career Guidance for Promoting Employment of Engineering Female Students)

  • 김경아;김지심;문남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80-18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진로를 지도하는 학과 교수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진로지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현황을 파악하고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7명의 공과대학 교수로 구성된 전문가그룹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공과대학 여대생들에게는 효능감 향상, 전공역량 강화, 실무역량 증진, 기초역량 함양, 구체적인 취업정보 안내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결과는 가이드라인의 5대 설계요소로 활용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년별 지도 항목과 5대 요소를 체크하고 피드백하며, 실제 진로지도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활용양식을 제안하였다. 2회의 전문가회의를 거쳐 가이드라인과 활용양식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정 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이드라인이 잘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놀이 활동 중심과 애니메이션 기반의 정렬 알고리즘 교수-학습 방법 비교 (A Comparis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Sorting Algorithm based on the Playing Activity and Animation)

  • 이용배;이영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25-236
    • /
    • 2009
  • 개정된 정보통신기술 운영지침에 따르면 초등학교에서부터 알고리즘을 학습 내용으로 다루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초등학교 현장에서도 알고리즘을 쉽고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다각적인 교육 방법 연구가 필요해졌다. 이에 본 연구 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알고리즘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는 정렬 알고리즘을 학습 내용으로 선정한 후 활동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과 애니메이션 기반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해보고 학습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두 가지 방법으로 정렬 알고리즘 교수-학습을 적용한 후 별도로 제작한 학업 성취도 평가지와 설문지 분석 결과, 크게 두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학업 성취도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도 정렬 알고리즘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다는 점과 둘째, 활동을 통한 알고리즘 교육이 애니메이션 기반의 정렬 알고리즘 교육에 비해 학생의 이해도, 흥미도 및 만족도 측면에서는 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