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능형 홈 서비스 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ntelligent Home Control Interface based on 3D (3D기반 지능형 흠 통합 제어 인터페이스 구현)

  • Kim, 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540-543
    • /
    • 2008
  • User interface of intelligent home must control and manage information applian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But there are properties that users are inconvenient and confused using user interface of intelligent home by reason of many appliances, different control way according to types of ones, and so on. This Paper proposes the new method taking the level of convenience up and the level of complexity down which is out of many obstacles to expand intelligent home system, and implements this. The proposed interface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at user could model cyber space on a living space of user, and arrange home appliances on cyber space as like doing real living space and control intelligent home system. It is possible for user to read the state and location of home appliance in home, and to select and control the information appliance as using the proposed interface.

  • PDF

Convergence System Between Home Gateway and Intelligent Home Appliance for Smart Home Service (스마트 홈서비스를 위한 UPnP기반 홈 게이트웨이와 지능형 가전기기 간 연동 시스템)

  • Han, Wang-Won;Kim, Young-Ma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5a
    • /
    • pp.488-493
    • /
    • 2007
  •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어느 장소에서든 컴퓨터 또는 무선장치를 사용하여 집안의 지능형 가전기기들을 점검하고 제어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요소기술 중에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발표한 UPnP(Universal Plug & Play)는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각 지능형 가전기기에 IP주소를 할당하여 어느 곳에서나 누구나 편리하게 지능형 가전기기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UPnP 미들웨어 기반의 홈 네트워크에서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능형 가전기기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홈 게이트웨이와 지능형 가전기기 간 연동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A Rule Based Intelligent System Architecture for Interoperability Among Home Network Devices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상호 연동을 지원하는 규칙 기반 지능형 시스템 구조)

  • Lee Seungryun;Kang Soonju;Choi J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04a
    • /
    • pp.370-373
    • /
    • 2005
  • 홈 네트워크는 다양한 특성과 기능을 지닌 기기들로 구성된 전형적인 유비쿼터스 시스템이다. 그러나, 현재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각 기기들은 대부분 독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기들의 상호연동을 지원하는 지능적인 서비스는 미비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손쉽게 홈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기기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지능형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크게 각 기기들의 고유 정보, 응용 분야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칙 기반 엔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기기들의 복잡한 제어를 규칙 기반엔진이 담당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순한 명령만으로 정의된 규칙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기기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 PDF

Home Network using UPnP and TCP/IP (UPnP와 TCP/IP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 전진형;장인훈;이홍기;심귀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532-535
    • /
    • 2004
  • 인터넷의 보급과 프로세서를 장착한 가전기기의 등장으로 홈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는 사람이 좀더 편안한 상태로 생활할 수 있도록 가정환경을 제어하는 서비스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러 가지 플랫폼의 가전기기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미들웨어라는 것이 필요하다. 미들웨어는 다양한 가전기기를 사용자가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UPnP 미들웨어를 사용한 홈 네트워크 구성을 제안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System between Home Gateway and Intelligent Home Appliance Using UPnP Middleware (UPnP 미들웨어기반의 홈 게이트웨이와 지능형 가전기기 간 연동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Han, Wang-Won;Kim, Hye-Young;Lee, Dong-Ju;Kim, Yo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435-440
    • /
    • 2006
  •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어느 장소에서든 컴퓨터 또는 무선장치를 사용하여 집안의 지능형 가전기기들을 점검하고 제어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요소기술 중에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발표한 UPnP(Universal plug & Play)는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하여 각 지능형 가전기기에 IP주소를 할당하여 어느 곳에서나 누구나 편리하게 지능형 가전기기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UPnP 미들웨어 기반의 홈 네트워크에서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능형 가전기기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Design of Intelligent Head Robot Using Rotating LED Array (회전 LED ARRAY를 이용한 지능형 헤드로봇 설계 및 구현)

  • Lee, Chang-Kyun;Choi, Won-Il;Lee, Min-Woo;Kim, Tae-Hyun;Ahn, Ho-Seok;Shin, Joong-Kil;Lee, Kwang-Hee;Kyung, Kyu-Chul;Choi, Hak-Soo;Kim, Min-Hyuc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07a
    • /
    • pp.449-451
    • /
    • 2007
  • 현재 몇 가지의 제품으로 시장에 출시되어 가정에 조금씩 보급되기 시작한 홈 서비스 로봇은 각각의 제품이 청소, 도난방지 감시, 애완용 등의 특정한 기능을 가지고 가정에서 쉽게 사용 할 수 있도록 날로 발전을 더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재의 로봇들은 대부분 탑재된 기능과 인공지능이 결합하여 스스로 동작하는 자동화 로봇의 특징만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홈 서비스 로봇의 정의에 충실한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은 거의 전무 하며, UI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환경에 의존할 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홈서비스의 로봇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저렴하며 활용성이 높은 새로운 홈서비스 로봇의 모델을 제시한다.

  • PDF

A Task Planning System of Steward Robot for Human-friendly Human-Robot Interaction (인간 친화적 로봇 상호작용을 위한 집사 로봇의 작업 관리 시스템)

  • Kim, Yong-Hwi;Lee, Hyong-Euk;Kim, Heon-Hui;Park, Kwang-Hyun;Bien, Zeung-Na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228-234
    • /
    • 2007
  • 한국과학기술원 인간친화복지로봇 연구센터에서 개발 중인 ISH(Intelligent Sweet Home)는 다양한 서비스 로봇 및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Human-Machine Interface)를 통해서 노약자 및 장애인의 일상 생활을 도와 줄 수 있는 지능형 주거 공간이다. ISH에서는 홈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가전 기기 및 환경 정보 취득이 가능한 센서 장비, 그리고 지능형 침대, 휠체어, 이동 보조 로봇 등이 거주자가 독립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노약자 및 장애인의 관점에서 서비스 양의 증가뿐만 아니라, 이를 쉽고 편하게 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질의 측면 또한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ISH에서는 집사 로봇(steward robot)의 개념을 도입하여 거주자와 복잡한 시스템의 효율적인 매개체로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추구하기 위한 공학적인 접근방법 중의 하나로, 본 논문에서는 집사 로봇의 작업 계획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 계획 시스템을 이용하여, 집사 로봇은 사용자의 상위 레벨 명령을 해석하여 각 로봇 또는 제어 가능 개체들을 제어하게 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STRIPS(STanford Research Institute Problem Solver) 상태 표현 방법과 그래프계획(Graphplan) 방법에 기반하여 작업 계획을 수행한다. 또한 작업 계획 속도를 증가 시키기 위하여 공간 추상화(world abstraction)와 하위 목표 계획(subgoal planning)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ISH에서 정의된 시나리오를 이용한 상위 레벨 명령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증하도록 한다.

  • PDF

Design of network for data interaction between Robot Agents in Multi Agent Robot System (MARS) (Multi Agent Robot System(MARS)의 Robot Agent 간 정보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프로그램 구현)

  • Ko, Kwang-Eun;Lee, Jeong-Soo;Jang, In-Hun;Sim, Kwee-B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7 no.5
    • /
    • pp.712-717
    • /
    • 2007
  • Using home network system including home server, home service robot, a variety of device, it is generally known that application of Multi Agent System for performing variously distributed process that can be occur in home environment, is efficient method. In this system, it is intelligent service robot that a key of human interface and physical service offer Therefore, using application of established multi agent system, we can defined Multi Agent Robot System. In 'open' home environment, between all agent data interaction and cooperation are needed for Multi Agent System offer to user that more efficient service. For this, we focus our attention on define as agent that can autonomic drive and offer to user that physical service robots and, design, suggest the simulator can display that between robot agents communication or between other agents, like home server, and robot agents communication information to user interface.

Analysis on Service Robot Market based on Intelligent Speaker (지능형 스피커 중심의 서비스 로봇 시장 분석)

  • Lee, Seong-Hoon;Lee, Dong-Wo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5
    • /
    • pp.34-39
    • /
    • 2019
  • One of the words frequently mentioned in our society today is the smart machine. Smart machines are machines that contain smart or intelligent functions. These smart machines have recently been applied in our home environment. These are phenomena that occur as a result of smart home. In a smart home environment, smart speakers have moved away from traditional music playback functions and are now increasingly serving as interfaces to control devices, the various components of a smart home. In this study, the technology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smart speaker market are examined, problems of current products are analyzed, and necessary core technologies are described. In the domestic smart speaker market, SKT and KT are leading the related industries, while major IT companies such as Amazon, Google and Apple are focusing on launching related products and technology development.

Implementation of User-friendly Intelligent Space for Ubiquitous Computing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사용자 친화적 지능형 공간 구현)

  • Choi, Jong-Moo;Baek, Chang-Woo;Koo, Ja-Kyoung;Choi, Yong-Suk;Cho, Seong-Je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2
    • /
    • pp.443-452
    • /
    • 2004
  • The paper presents an intelligent space management system for ubiquitous computing. The system is basically a home/office automation system that could control light, electronic key, and home appliances such as TV and audio. On top of these basic capabilities, there are four elegant features in the system. First, we can access the system using either a cellular Phone or using a browser on the PC connected to the Internet, so that we control the system at any time and any place. Second, to provide more human-oriented interface, we integrate voice recognition functionalities into the system. Third, the system supports not only reactive services but also proactive services, based on the regularities of user behavior. Finally, by exploiting embedded technologies, the system could be run on the hardware that has less-processing power and storage. We have implemented the system on the embedded board consisting of StrongARM CPU with 205MHz, 32MB SDRAM, 16MB NOR-type flash memory, and Relay box. Under these hardware platforms, software components such as embedded Linux, HTK voice recognition tools, GoAhead Web Server, and GPIO driver are cooperated to support user-friendly intelligent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