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각된

검색결과 7,150건 처리시간 0.04초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 콘텐츠 재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use Intention of Virtual Reality(VR) Content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교용용;한동숭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15-132
    • /
    • 2019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하여 VR콘텐츠의 지각된 재미가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지각된 재미의 요인은 콘텐츠 품질, VR특성, 감정적 특성, 몰입 네 가지로 설정하여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 VR특성, 감정적 특성, 몰입은 지각된 재미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콘텐츠의 고품질 요인은 지각된 재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또한 지각된 재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모두는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텐츠의 지각된 재미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바일 베이커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지속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bile Bakery Application's Perceived Usefulness and Easiness on Its Continuous Use)

  • 이명호;소영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1-186
    • /
    • 2015
  • 본 연구는 모바일 베이커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혁신성, 정보의존성, 정보제공 충분성 및 리뷰 신뢰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그리고 최종적으로 지속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베이커리산업에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500부를 배포하여 455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통계분석이 가능한 441부에 대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을 실시하고,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의존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제공 충분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뷰신뢰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모바일 베이커리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이용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닝에서 사회성, 사용용이성, 유용성, 즐거움이 수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관점- (Study on the Effect of Sociability, Ease of Use, Usefulness, Enjoyment on Acceptance Intention in e-Learning -A Perspective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이종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17-42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수용모델, 동기이론, 사회적 반응 이론을 적용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관점에서 이러닝 수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각된 사회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그리고 이러닝 수용의향으로 구성된 이론모형을 개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은 모두 이러닝 수용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이러닝 수용의향 결정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회성은 이러닝 수용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각된 유용성을 매개로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VR기기 수용관련 소비자 연구 (Consumer Study on the Acceptance of VR Headsets based on the Extended TAM)

  • 진천천;박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117-126
    • /
    • 2018
  • 본 연구는 VR기기를 중심으로 VR기기 수용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제출하고 이러한 요인들과 소비자들의 수용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VR기기를 사용해 본 중국 소비자 238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AMOS 23.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 다양성과 자기효능감이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희성을 경유하여 지각된 유용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지각된 가격은 수용의도에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은 모두 VR기기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VR기기에 주목하고 있는 기업이 타겟으로 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마케팅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TT서비스이용자의 유료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Pay for OTT Service Users)

  • 한윤화;김찬원;이민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105-114
    • /
    • 2020
  • 본 연구는 OTT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유료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OTT 서비스 이용자들의 지각된 유용성은 이용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OTT 서비스 이용자들의 지각된 유희성은 이용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OTT 서비스 이용자들의 지각된 비용은 이용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OTT 서비스 이용자들의 지각된 유용성은 유료지불의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이용만족은 유료지불의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OTT 서비스 이용자들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희성, 지각된 비용은 이용만족을 높이며,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만족은 유료지불의사를 예측하는 핵심요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OTT 서비스 이용자들의 유료지불의사를 예측하고 설명할 수 있는 경로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중국 소비자의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 있어 지각된 위험, 지각된 이익, 한류문화콘텐츠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Perceived Risk, Perceived Benefit, and Korea Wave to Crowdfunding Participation in China)

  • 이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04-213
    • /
    • 2016
  • 크라우드 펀딩은 소비자들이 제품의 생산전 투자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소비자 역할 변화의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최근 문화콘텐츠관련 크라우드 펀딩이 증가하는 한편 문화콘텐츠로의 해외자본의 영향력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한류 문화콘텐츠가 소비자 투자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로서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새로운 투자처 확보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소비자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중국 광저우의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 졌으며 이들의 한류선호도가 크라우드 펀딩과 같은 투자행위로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이익 중 지각된 이익의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의 영향력이 더 강했으며 한류 선호도가 낮은 경우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이득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참여의 영향력이 없었지만 한류 선호도가 높은 경우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이득이 크라우드 펀딩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소비자가 향후 직접투자자로서의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크라우드 펀딩에서 자본의 모집에 있어서 한류의 영향력을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드뉴스 이용자의 정보추구성향과 뉴스 리터러시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델(TAM) 모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formation seeking style and news literacy of card news users on recommendation intention: Focu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 최명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41-148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을 적용하여 카드뉴스 이용자의 정보추구성향과 뉴스 리터러시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카드 뉴스 이용 경험이 있는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통계분석은 구조방정식모델(SEM)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추구성향은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뉴스 리터러시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모두는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독 서비스의 지각된 혜택이 구독 서비스 태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혁신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Perceived Benefits of Subscription Services on Attitudes toward Subscription Services and Continued Intention of Subscription Servic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veness)

  • 김태은;김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59-65
    • /
    • 2024
  • 본 연구는 구독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지속사용의도에 구독 서비스의 지각된 혜택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독 서비스의 지각된 혜택을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유용성으로 구성하였으며, 개인변수인 혁신성향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지각된 혜택인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유용성은 모두 구독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지각된 유용성에서 혁신성향의 조절효과도 확인하였다. 지각된 유용성이 구독 서비스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혁신성향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독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과 관련 개인특성의 가치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키오스크 서비스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변수에 관한 실증적 분석 (An Empirical Effect of the Belief Variables on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Using Kiosk Service)

  • 이은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113-121
    • /
    • 2019
  • 본 연구는 수직적으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을 토대로 사용자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신념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지각된 유희성을 추가하고, 키오스크 서비스의 만족과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변수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키오스크의 유용성과 사용편리성을 지각하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오스크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유희성은 키오스크 서비스의 추천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키오스크 서비스에 만족한 사용자는 강한 추천의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존 기술수용모델에서 규명한 새로운 정보기술의 유용성과 사용편리성이 사용자반응(만족과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임을 재입증 해주고 있으며, 새롭게 추가한 지각된 유희성이 키오스크 서비스의 만족을 매개하지 않고도 추천의도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키오스크 서비스의 지각된 유희성이 추가된 확장된 신념변수와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에 도입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3D프린터 소비자의 지각된 인식과 사용자 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ceptual Recognition and User Characteristics of 3D Printer Consumers on Perceived Value and Intent to Use Continuously)

  • 박준홍;이준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97-703
    • /
    • 2019
  • 본 연구는 3D프린터의 지각된 인식 및 사용자 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국내에 거주하고, 3D프린터를 사용해 본 직장인 등을 대상으로 300명의 설문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인식은 지각된 가치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자 특성은 지각된 가치 및 사용 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소비자들에게 3D프린터의 유용성과 용이성을 충분히 인식시키고, 소비자 중심의 편의성, 신뢰성을 함께 지각시킴으로써, 소비자들의 3D프린터 지속적 사용 의도를 제고 하여 3D프린터가 보급화, 대중화, 활성화를 할 수 있도록 관련 업계와 학계 등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전략이 수립되면 효과적일 것이라고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