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증식활성(增殖活性)

검색결과 1,309건 처리시간 0.026초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이 골모세포의 증식과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on the Proliferation and Activity of Osteoblastic cells Abstract)

  • 하국봉;김세원;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37-248
    • /
    • 2001
  • 치아이동에 대한 생력학적 반응은 골 형성과 재형성의 조합이라 할 수 있다. 골 형성과 흡수에는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여러 부분비 인자가 관여한다. 대표적인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도 그 중의 한 인자로 성인 여성은 생리, 임신, 폐경 등 상태에 따라 체내 성호르몬 농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농도의 변화에 따라 골조직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골모세포는 골흡수를 일으키는 호르몬인 PTH, Vit $D_3$ 등에 일차적으로 반응함으로써 골형성 뿐만 아니라 골흡수에도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어 파골 세포에 영향을 주는 부분비 인자도 추측해 볼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ROS17/2.8 및 HOS 세포주를 배양하면서 에스트로젠 및 프로게스테론 등 여성 호르몬을 처리한후 골모세포의 증식과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에스트로젠은 HOS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ROS17/2.8 세포의 증식은 촉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2. 에스트로젠은 HOS 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증가시켰고 ROS 세포에서는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프로게스테론은 HOS 및 ROS17/2.8 세포 모두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골모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는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4.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은 골모세포내에서 생성되는 superoxide, nitric oxide 및 gelatinase 활성 등 골모세포의 기능에는 유의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 PDF

식품유해균에 대한 홍국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onascus koji extracts)

  • 김은영;류미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6-81
    • /
    • 2008
  •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색소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Monascus 균주 중 붉은 색소 생산력이 높은 6종의 Monascus 균주(M. araneosus KFRI 00371, M. kaoliang ATCC 46597, M. pilosus IFO 4520, M. purpureus IFO 4482, M. ruber IFO 32318 및 M. sp. ATCC 16437)로 홍국을 제조하고 색소 추출력이 높은 70% 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6종의 Gram 양성균(Clostridium botulinum, Bacillus subtilis, B.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cus luteus, Listeria monocytogens), 3종의 Gram 음성균(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roteus vulgaris), 2종의 효모(Saccaromyces cerevisiae, Candida albicans) 및 1종의 곰팡이(Aspergillus flavus)에 대한 항균활성과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M. kaoliang ATCC 46597과 M. purpureus IFO 4482가 B. subtilis, B. cereus, M.luteus, S. aureus 및 S. typhimurium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균주 중 M. purpureus IFO 4482가 M. kaoliang ATCC 46597에 비해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대표적 식중독균의 하나인 S. typhimurium에 대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M.kaoliang ATCC 46597과 M. purpureus IFO 4482의 시험 미생물 증식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에 따른 증식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배양 48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천연의 붉은색을 띄는 홍국 추출물이 식품의 천연착색제 및 보존제 소재로의 적용 가능성이 나타났다.

감초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Glycyrrhiza uralensis FISCH)

  • 안은영;신동화;백남인;오진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80-687
    • /
    • 1998
  •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75% 에탄올 추출물이 L. monocytogenes 5 균주에 대하여 뚜렷한 항균 활성이 인정되어 용매 분획한 후 활성이 높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얻었고 이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연속으로 2회 정제하여 황색 분말의 항균 활성 소획분을 분리하였다. 활성 소획분은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10{\sim}50\;ppm$ 수준에서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고 50 및 100 ppm 농도에서는 살균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S. aureus에 대해서는 $30{\sim}50\;ppm$ 수준에서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E. coli에 대해서는 100 ppm 농도에서도 증식억제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IR, $^1H-NMR$$^{13}C-NMR$로 기기분석하여 활성 획분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감초에 함유된 flavanone 화합물의 하나인 liquiritigenin으로 동정되었다.

  • PDF

배풍등 분획물의 항균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The Effects on Antimicrobial and Cytotoxicity of Solanum Iyratum Fractions)

  • 신미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48-954
    • /
    • 2005
  • 민간에서 만성간염, 수종, 옹종, 습진, 류마치스성 관절통, 소변분리, 말라리아, 황달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며, 해열 진통제로 약용하고 있는 배풍등을 metanol (SLM)로 먼저 추출하고 이를 hexane (SLMH), ethylether (SLMEE), ethylacetate(SLMEh), butanol (SLMB) 및 수층 (SLMA) 등 다섯가지의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배풍등의 항균 및 항발암 효과를 연구하였다. 먼저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배풍등의 항균효과를 알아보았다. P. mirabilis, S. aureus, S. marcescens 및 B. substilis의 4가지 사용균주에 배풍등의 각 분획물을 처리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SLMEA층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는 SLMEE에서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배풍등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cytotoxicity)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4종의 암세포주 HeLa, MCF-7, HT-29 및 HepG2 모두 배풍등의 ethylether 분획층인 SLMEE총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암예방 QR유도 활성을 HepG2 세포주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에서도,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SLMEE층에서 유의적으로 QR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극성과 비극성을 둘 다 가지는 SLMEA층에서의 항균활성 물질과 비극성 용매층인 SLMEE 층에서의 암 예방 물질의 단계적인 분리 동정을 통한 생리활성 물질의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봉약침액과 melittin의 세포고사 효과가 FBS에 의하여 유도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The Apoptotic Effect of Bee Venom and Melittin on FBS-induced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Proliferation)

  • 한재춘;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91-102
    • /
    • 2006
  • 목적 : 이 연구에서는 FBS에 의하여 유도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에 대한 봉약침액과 Melittin의 세포 고사효과의 영향 및 작용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I{\kappa}Ba$, p-$I{\kappa}Ba$, p-ERK1/2, p-Akt, p53, Bcl-2, Bax 및 active caspase-3는 Western blotting을, $NF-{\kappa}B$는 EMSA와 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1. Melittin은 $NF-{\kappa}B$ 활성에 대하여 $I{\kappa}Ba$의 인산화를 유의하게 익제하고 $I{\kappa}Ba$를 증가시켰으며, $NF-{\kappa}B$의 DNA 결합과 $NF-{\kappa}B$ p50의 핵 내 유입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2. Melittin은 $NF-{\kappa}B$ 활성을 증가시키는 물질인 Akt의 인산화를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ERK1/2의 인산화도 억제하였다. 3. Melittin은 세포사멸 전구 단백질인 p53, Bax 및 caspase-3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세포사멸억제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감소시켰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NF-{\kappa}B$ 와 Akt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혈관평활근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 향후 안전성 연구를 바탕으로 혈관성형술 후 재발성협착증과 동맥경화증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황오리로부터 항종양 활성 성분의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tumor Substance from the Sulfur Fed Duck)

  • 윤원호;황진용;김창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3-29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유황오리로부터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용매 추출법과 각종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 및 정제하였다. 유황오리로부터 정제한 활성 물질의 각종 종양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를 측정한 결과 MTT assay는 100 $\mu\textrm{g}$/mL의 농도에서 HEp-2는 56%, KB는 58%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정상 세포주인 MDBK는 28%의 세포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 정상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Clonogenic assay는 200 $\mu\textrm{g}$/mL의 농도에서 HEp-2는 26%, KB는 28%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황오리로부터 정제한 활성 물질은 후두암 세포주인 HEp-2와 구강암 세포주인 KB에서만 특이적으로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논토양의 생물적(生物的)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볏짚시용효과(施用效果) -II. 질소고정미생물(窒素固定微生物) flora와 그 활성(活性)에 미치는 볏짚연용효과(連用效果) (Effects of rice straw application on the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of paddy field -2. Effects of rice straw annual application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nitrogen fixing microbial flora)

  • 유익동;타츠히코 마츠구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3-449
    • /
    • 1988
  • 논토양의 질소고정미생물(窒素固定微生物) flora와 그 활성(活性)에 미치는 볏짚 연용효과(連用效果)를 밝히기 위하여 일본 청삼현(靑森縣) 농업시험장내 화학비료연용구(化學肥料連用區) 및 볏짚연용구(連用區) 작토층(作土層)을 공시토양으로 하고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을 달리하여 질소고정미생물 flora의 변천(變遷)과 대응하는 질소고정활성의 변화정도를 조사하였다. 1. 시용(施用)볏짚의 광합성미생물(光合成微生物)에 의한 ARA는 양토양(兩土壤) 모두 질소 300ppm 첨가구에서는 3주후(週後)부터, 질소 33ppm 및 무첨가구에서는 시용초기(施用初期)부터 ARA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비광합성미생물(非光合成微生物)에 의한 ARA는 광합성미생물(光合性微生物)에 의한 ARA의 1/10에 지나지 않았다. 2. 시용(施用)볏짚에 서식(棲殖)하고 있는 질소고정미생물 flora를 조사한 결과 초기 3주간에는 양토양(兩土壤) 모두 광합성세균(光合成細菌)(Rhodopseudomonas)이 주로 증식(增殖)하였으며 균량(菌量)과 ARA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그후 ARA의 급격(急激)한 증가에 대응(對應)하여 heterocyst형성 염조(鹽藻)의 증식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이상과 같은 효과(效果)는 화학비료연용구(化學肥料連用區) 토양보다 볏짚연용구(連用區) 토양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3. 염조류(鹽藻類)의 증식(增殖)은 질소시비량에 따라 약간씩 달라 질소 무시용구에서는 Anabaena, Nostoc, Cylindrospermum이 주로 증식(增殖)되었으나 질소 33ppm 시용구에서는 Cylindrospermum, Calothrix, 질소 100ppm 시용구에서는 Calothrix가 왕성히 증식(增殖)되는 경향이었다.

  • PDF

Baicalin이 조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icalin on the Proliferation and Activity of Osteoblastic Cells)

  • 고선일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05-110
    • /
    • 2008
  • Baicalin은 Scutellaria baicalensis에서 분리되는 flavonoid의 일종으로,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Baicalin은 항균, 항염증, 진통작용을 나타내며, nuclear factor-kappaB의 활성을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최근에 다양한 flavonoid 들이 골조직 대사에 관여함이 밝혀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baicalin이 골조직의 주요세포인 조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세포증식율, 세포생존율,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 및 osteoprotegerin 생성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baicalin은 조골세포의 세포 증식과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과 osteoprotegerin의 생성량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baicalin은 골조직에서 조절물질로 역할을 할 것으로 예견된다.

추출용매별 귀리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Oats under Different Solvent Extraction Conditions)

  • 함현미;우관식;박지영;이병원;최용환;이춘우;김욱한;이준수;이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18-92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귀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측정하고 각 추출용매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ABTS)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제거능 및 환원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대장암, 폐암 및 유방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ABTS 및 DPPH 라디칼 제거능, 환원력 모두 methanol 추출물이 각각 8.2 mg gallic acid equivalent/g residue, 12.1 mg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TEAC)/g residue, 4.4 mg TEAC/g residue 및 $A_{700}=0.39$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methanol 추출물이 대장암(HCT116), 폐암(NCI-H460) 및 유방암(MCF7) 세포에서 각각 69.5, 75.2 및 84.8%로 높은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추출용매에 따라 귀리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에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추출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된 생리활성 물질, 특히 폴리페놀 화합물의 용해도 차이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 및 항암제로서 귀리에 관한 생리활성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귀리의 소비 촉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

새삼(Cuscuta japonica CHOISY) 유래 정유의 피부 각질형성세포 증식 및 이주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ssential Oil from Cuscuta japonica CHOISY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Human Skin Keratinocyte)

  • 최인호;김도윤;이환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4-50
    • /
    • 2022
  • 피부의 재생피화는 상처 치유의 주요 과정으로 각질형성세포의 이주과 증식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새삼 유래 정유(Cuscuta japonica CHOISY essential oil, CJCEO)의 피부각질형성세포(HaCaTs) 증식 및 이주 유도 활성 평가를 통해 피부재상피화 및 상처치유 활성을 확인하였다. 새삼 유래 정유에 의한 HaCaTs의 증식은 10~250 ㎍/ml까지 농도의존적인 유도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50 ㎍/ml에서 대조군(control)에 비해 239.98±5.51%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새삼 유래 정유는 250 ㎍/ml에서 HaCaTs의 이주를 124.86±6.06% 증가시켰다. 새삼 유래 정유의 증식과 이주 유도 활성은 collagen sprout out growth를 통해 재확인되었으며, 50 ㎍/ml에서 140.20±11.83% 및 250 ㎍/ml에서 191.81±13.00%의 유도를 각각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새삼 유래 정유는 type I collagen의 세포 내 생합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새삼 유래 정유가 정상적인 피부재상피화 과정뿐만 아니라, 상처치유 등의 과정에서 피부조직재생 촉진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향후,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검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