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약침액과 melittin의 세포고사 효과가 FBS에 의하여 유도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The Apoptotic Effect of Bee Venom and Melittin on FBS-induced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Proliferation

  • 한재춘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송호섭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Han, Jae-Choon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 Song, Ho-Sueb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발행 : 2006.06.20

초록

목적 : 이 연구에서는 FBS에 의하여 유도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에 대한 봉약침액과 Melittin의 세포 고사효과의 영향 및 작용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I{\kappa}Ba$, p-$I{\kappa}Ba$, p-ERK1/2, p-Akt, p53, Bcl-2, Bax 및 active caspase-3는 Western blotting을, $NF-{\kappa}B$는 EMSA와 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1. Melittin은 $NF-{\kappa}B$ 활성에 대하여 $I{\kappa}Ba$의 인산화를 유의하게 익제하고 $I{\kappa}Ba$를 증가시켰으며, $NF-{\kappa}B$의 DNA 결합과 $NF-{\kappa}B$ p50의 핵 내 유입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2. Melittin은 $NF-{\kappa}B$ 활성을 증가시키는 물질인 Akt의 인산화를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ERK1/2의 인산화도 억제하였다. 3. Melittin은 세포사멸 전구 단백질인 p53, Bax 및 caspase-3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세포사멸억제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감소시켰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NF-{\kappa}B$ 와 Akt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혈관평활근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 향후 안전성 연구를 바탕으로 혈관성형술 후 재발성협착증과 동맥경화증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