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증식활성(增殖活性)

검색결과 1,313건 처리시간 0.045초

함초 조다당체 및 조사포닌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and Crude Saponins from Salicornia herbacea)

  • 정성희;박경욱;김재용;박채규;최갑성;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9-114
    • /
    • 2009
  • 함초를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함초 8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Diaion HP-20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조다당체 및 조사포닌을 분리 한 후 이들에 대한 항산화 효과,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비장세포 증식능 및 대식세포의 면역활성과 같은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함초 조다당체 및 조사포닌 첨가군은 $500{\mu}g/mL$ 농도 이상에서 20% 이상의 수소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조다당체 및 조사포닌은 $500{\mu}g/mL$ 농도에서 전립선암세포(PC-3) 및 대장암세포(HT-29)에 대하여 각각 20%, 50% 이상의 성장 억제율를 보였는데, 함초 조다당체 보다 조사포닌에서 더 높은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함초 조다당체 첨가군은 비장세포 증식 및 대식세포주 NO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으나, 조사포닌 첨가군은 오히려 농도 $50{\mu}g/mL$ 이상에서 이들 면역 활성을 억제하였다. 즉 면역 활성에서는 함초 사포닌 보다 조다당체에서 더 높은 면역 증강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함초는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생아 분변 및 동치미에서 분리한 젖산균 대사산물의 항균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Metabolit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ces of Newborn Baby and from Dongchimi)

  • 이지영;박영수;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72-479
    • /
    • 2002
  • 식중독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며, probiotic으로 작용할 수 있는 균주로서 가능성이 있는 젖산균을 신생아 분변과 동치미서 젖산균을 분리(0.15%의 담즙산염과 pH 3.0인 산성조건)하였고, 항균활성이 우수한 젖산균을 선발하였다. D2와 F35-2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 F20-3 균주는 L. fermentum으로 동정되었다. 젖산균 대사산물의 특성과 항균 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몇 종의 식중독 미생물(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dis)을 사용하였으며, 항균활성 Bioscreen C로 측정하였다. 젖산균의 대사산물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 pH가 중성으로 갈수록 항균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atalase 효소처리 후에는 F20-3 균주만 항균활성이 소실되어 항균활성의 원인으로 $H_2O_2$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단백질 분해 효소(trypsin, pepsin)처리에는 항균활성에 영향이 없었고, $121^{\circ}C$ 15분간 열처리에도 안정한 물질로 추정되었다. 분리균주 대사산물은 유사한 pH와 젖산 농도보다 식중독 미생물의 증식 억제가 우수하여 분리된 균주의 증식억제 물질은 유기산 및 대사산물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리균주가 생성하는 유기산을 HPLC로 정량 한 결과, D2와 F35-2는 발효 24시간에 각각 1.84, 1.85%의 젖산만이 생성되었고, F20-3은 발효 24시간에 0.91%의 젖산과 0.22%의 초산을 생성하였다. 이것으로 볼 때 젖산발효형태는 D2와 F35-2는 homo형이고, F20-3은 hetero형의 발효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흑효모를 이용한 참도박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티로시나제 및 콜라게나제 저해효과 (Evaluation of Antioxidant, Tyrosin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of Grateloupia elliptica Extracts after 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ation)

  • 부반빈;이경은;강상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9
    • /
    • 2020
  • 연구에서는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를 이용한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 발효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및 발효하지 않은 참도박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과 항산화, 티로시나제와 콜라게나제 저해효과,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흑효모 발효 참도박 추출물과 참도박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졌으며, 발효에 관계없이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시료 중 참도박 발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참도박 발효 에탄올 추출물(GEFEE)이 9.8%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모든 추출물에서 10%이하의 낮은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발효와 관계없이 열수추출물에서는 collagenase 저해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collagen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참도박 발효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0 ㎍/mL에서 50.3%의 시료 중 가장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인간세포(HaCaT, keratinocytes)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참도박 및 참도박 발효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증식률은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90% 이상의 결과를 나타냈다. 모든 시료 중 참도박 발효 에탄올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참도박 발효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주름개선 효능을 가진 화장품의 생리활성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녹차 폴리페놀을 첨가한 화장품의 암 세포증식억제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 of Irradiated Green Tea Polyphenol Addition in Cosmetic Composition)

  • 박태순;이진영;박근혜;현석준;이진태;조영제;김영선;안봉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217-223
    • /
    • 2007
  • 화장품에 폴리페놀을 다량 첨가 시 색소가 문제시 될 수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폴리페놀을 첨가한 토너와 에센스에 방사선을 5, 10, 20 kGy로 조사하고, 조사량에 따른 암세포증식 억제능을 검토하였다. 암세포 증식 억제능 측정 결과 모든 세포주(B16F10, G361, A549, HT-29)에 대하여 폴리페놀이 첨가된 토너와 에센스는 500 ppm에서 80% 이상의 증식 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human melanoma(G361)에서는 100 ppm에서 80% 이상의 뛰어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방사선 조사량이 증가해도 폴리페놀의 활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방사선 조사량이 증가 할수록 색이 점차적으로 옅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녹차 폴리페놀을 토너와 에센스에 첨가했을 때 암세포증식 억제능이 우수하였으며, 화장품에 첨가 시 나타나는 색소문제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개선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양파 육질 및 껍질의 화학성분과 항산화 및 항암 활성 비교 (Effects of Onion Flesh and Peel on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 장주리;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98-1604
    • /
    • 2009
  • 양파 껍질의 폐기는 생리활성 물질이 손실 될 수 있으므로 양파 껍질을 이용한 연구는 폐자원을 활용한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파를 육질과 껍질로 나누어 이들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세포 내 활성산소종 제거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양파 껍질은 육질과 비교했을 때 48배의 플라보이드 함량을 나타내어 양파 껍질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양파 껍질의 A+M과 MeOH 추출물을 0.05 mg/ml의 농도로 HT-1080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크게 억제시켰다. 이들 두 추출물들은 $500{\mu}M$ $H_2O_2$만을 처리한 control군과 비교하였을 때 측정 시간 120분 동안 계속적으로 높은 세포 내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능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양파 껍질에 의한 저해 효과가 양파 육질보다 높았다. 양파 육질과 껍질의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분획물들 중에서는 양파 껍질의 85% aq. MeOH 및 BuOH 분획물에 의한 저해효과가 우수하였고 양파 육질의 경우에는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항산화효과가 높았다. 암세포증식 억제 실험에서 양파 껍질의 A+M 추출물의 $IC_{50}$은 AGS 및 HT-29 세포에서 각각 0.07 및 0.05 mg/ml로 양파 육질보다 저해효과가 높았고 껍질 MeOH 추출물의 $IC_{50}$은 두 세포에서 각각 0.75 및 3.31 mg/ml로 AGS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가 우수하였음을 관찰 할 수가 있었다. 분획물들 중에서는 양파 육질 및 껍질의 85% aq. MeOH 분획물의 AGS 세포에 대한 $IC_{50}$이 각각 0.04 및 0.03 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들 분획물들도 HT-29 세포보다는 AGS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가 높았음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 대체로 water 분획물에 의한 활성산소종 저해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분획물들 중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양파 부산물인 껍질에도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활용한 양파가공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조, 기장, 수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전립선 암세포주 증식 억제 효능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ng effects of Setaria italica,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extracts on prostate cancer cell lines)

  • 김정호;조현동;홍성민;이주혜;이용석;김두현;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033-104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조, 기장 및 수수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및 인체 전립선암 세포성장 억제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조, 기장 및 수수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SOD 유사 활성능을 통해 확인한 결과, 수수 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인 항산화 활성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조 및 기장 추출물보다 높은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의 다른 형태의 인체 전립선 암세포(PC-3 및 LNCaP)를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 조 추출물과 기장 추출물의 처리는 $1,000{\mu}g/mL$의 농도에서도 큰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LNCaP 세포에 수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10{\mu}g/mL$의 농도에서부터 유의적인 세포증식 억제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PC-3 및 LNCaP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알아본 결과, 수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부유, 사멸 및 증식억제가 관찰되었으나 동일한 농도의 조 및 기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세포형태를 유지하였으며 특이적인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Hoechst 염색을 통한 핵 형태 관찰에서도 조 및 기장 추출물과는 대조적으로 수수 추출물에서만 apoptotic body, 세포 및 핵의 응축 등 세포 사멸과 관련된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조, 기장, 수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01, 1.71, 29.10 mg GAE/g로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던 수수에서 항산화 및 항암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조, 기장 및 수수 추출물 중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던 수수에서 항산화 활성 및 인체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수 추출물을 항산화 및 암세포의 증식억제를 위한 식품원료 및 산업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바위솔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 (The activity of antioxidants and suppress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extra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김충현;박재호;임종국;이건주;정규영;정형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39
    • /
    • 2003
  • 바위솔의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및 동물 항암세포를 이용한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지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비교에서 재배지에서 수확한 시료의 활성이 $6.07(IC_{50}:{\mu}g/m{\ell})$로 가장 높았다 생육시기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의 활성은 9월 수확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항산화물질 분리결과에서 S-4 분획물의 DPPH와 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이 $5.02(IC_{50}\;:\;{\mu}g/m{\ell})$$6.18(IC_{50}:{\mu}g/m{\ell})$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분리효율를 보였다.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던 LH-4 분획물의 주요화합물은 GC/MS에 의하여 지방산, 폴리페놀화합물 및 페놀유도체로 동정되었으며 alpha-androsta-7,14-diene과 1,2,3-benzenetriol이 주 물질이었다. POD 및 SOD 활성은 생육지간에 재배지, 산, 바닷가 순으로, 생육시기간에는 시기가 늦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SOD 동위효소의 밴드수는 전 생육지, 전 생육시기에서 공히 2개의 밴드가 나타났으나, 그 세기는 재배지와 9월의 수확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LH-4 분획물은 HL-60 세포의 종양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종양유발유전자와 IPTG로 콜로니 형성을 유도한 암세포(2-12 cells)에서 분획물 400ppm 처리와 negative control 처리간의 colony형성은 유의차가 없었다.

잠재적인 항노화제로 텔로머레이즈 활성화제, 서르튜언 활성화제, 세노릭틱스에 대한 최신 동향 (Recent Trends on Telomerase Activators, Sirtuin Activators, and Senolytics as a Potential Anti-aging Agent)

  • 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819-825
    • /
    • 2020
  • 모든 생명체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 내에서 노화된 세포수가 축적되면서 피부주름 형성, 근육퇴화, 백내장 및 모발의 백발화 과정 같은 노화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노화의 핵심적인 원인으로 알려진 세포노화는 세포가 외부 및 내부요인에 의하여 늙어서 결국 세포의 증식이 정지됨으로 생물체의 노화와 직접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로부터 세포노화의 원인이 텔로미어가 세포 분열에 따라 점차적으로 짧아짐으로, 텔로미어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히스톤 디아세틸레이즈 유전자가 효모에서 뿐만 아니라 예쁜 꼬마 선충 및 사람의 항노와 기전에 깊숙히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편, 최근에는 늙은 세포가 노화 현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발견하여 이러한 노화세포를 채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젊은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노화를 지연 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향후 잠재적인 항노화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텔로머레이즈 활성화제, 서르튜언 활성화제, 세노릭틱스에 대한 심층연구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어, 최근에 각광 받고 있는 위와 관련된 항노화 후보물질에 대한 최근 연구에 대하여 기술한다.

양식 환경이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혈액 생화학적 성상 및 lysozym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aculture conditions on blood chemistry property and lysozyme activity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권문경;임한규;민병화;변순규;김이청;조병열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1-289
    • /
    • 2007
  • 어병세균인 Edwardsiella tarda, Vibrio ichthyoenteri, Streptococcus iniae의 강도다리에 대한 병원성, 염분농도가 어병세균의 성장 및 강도다리의 lysozyme 활성과 사육수온, 밀도가 강도다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연구 결과, E. tarda에 대해서는 병원성이 높았으나, V. ichthyoenteri와 S. iniae에 대해서는 항병력이 높았다.염분농도에 따른 균의 증식속도 조사 결과, E. tarda와 S. iniae는 저염분에서 증식속도가 빨랐으나, V. ichthyoenteri는 저염분에서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저염분 사육에서 강도다리의 lysozyme 활성은 일반해수구에 비하여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사육수온, 밀도가 강도다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수온은 26℃ 이하, 밀도는 수조저면적의 100% 이하가 강도다리의 생리학적 성상 및 lysozyme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점액세균 Sorangium cellulosum이 생산하는 약제내성 암세포의 증식억제물질 (Isolation of Antibiotics Effective to Multidrug-Resistant Cancer Cells from Sorangium cellulosum(Myxobacteria).)

  • 안종웅;이정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7-51
    • /
    • 2004
  • 암세포가 특정 항암제에 의해 내성을 획득하면 구조가 상이한 타 항암제에도 교차내성을 나타내는 이른바 암세포의 다약제 내성이 암 화학요법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약제 내성 암세포주인 CL02 세포를 이용하여 cellulose 용해성 점액세균인 Sorangium cellulosum의 60여종의 균주를 대상으로 다약재 내성 암세포에 유효한 항암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균주 JW1006의 대사산물에서 강한 증식억제 활성을 발견하고 그 활성 본체로서 macrolide계 화합물인 Disorazoles $A_1$$A_2$를 분리하였다 Disorazoles $A_1$$A_2$는 인체기원의 암세포에 대해 모두 강한 세포독성($IC_{50}$ <0.04 ng/$m\ell$)을 나타낼 뿐 아니라 다약제내성 세포주인 CL02와 cisplatin내성 세포주인 CP70에 대해서 감수성 세포주와 동일한 활성을 나타내어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우수한 활성 물질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