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8초

사용자 만족도 및 중요도를 고려한 건설 정보화 시스템 평가모형 개발 (Assessment Model for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Based on User Satisfaction and Importance)

  • 박경아;이정호;김영석;한승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137-148
    • /
    • 2008
  • 국내 건설 프로젝트의 규모가 점차 복잡화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건설 사업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건설 정보화 시스템의 사용은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어 왔다. 그러나 건설 정보화 시스템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건설 정보화 시스템이 주로 현장관리자보다는 전체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본사 관리자 관점에서 개발되고 평가 및 개선되어 왔기에 현장관리자 관점에서의 시스템 활용도 및 만족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 및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정보화 시스템의 최종 사용자인 현장관리자를 중심으로 시스템이 제공하는 정보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고려하여 건설 정보화 시스템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시스템 개선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만족도-중요도 매트릭스 기반의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건설기업의 본사관리자 및 개발자는 건설 정보화 시스템의 개선 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평가모형을 토대로 현재 활용 중인 건설 정보화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정보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고려한 시스템의 합리적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만족도-중요도 매트릭스를 이용한 건설현장에서의 RFID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RFID Using Satisfaction-Importance Matrix in Construction Fields)

  • 장세웅;유회찬;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7-54
    • /
    • 2009
  • Integrated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using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facility maintenance introducing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mega construction project sites. But, the validation on performance of RFID systems after introducing those has not been carried out. Given that the use of RFID systems have been increased,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well as other industries needs the evaluation of the RFID system. By regarding the necessities for evaluation, a research to th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evaluation of RFID system from the end-users' view point for site management was conducted. Satisfaction-importance matrix of satisfaction standards and importance standards was created (organi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a survey, proposed improvement methods and analysis about the items presented by each region like areas of sustainable maintenance, maintenance, progressive improvement and priority improvement. The result would contribute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system and its performance.

IPA를 이용한 미용 기능경기대회 품질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Beauty Contest Quality using IPA)

  • 박하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09-315
    • /
    • 2022
  • 본 연구는 미용 기능경기대회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 개최되는 미용 기능경기대회의 품질요인을 도출하고,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적용하여 중요도와 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미용 기능경기대회 참여경험이 있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test와 PIA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중요도의 평균이 높게 나타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IPA 매트릭스의 일 사분면에는 대회 과제와 관련된 내용이 주로 나타났다. 이는 대회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 요소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 사분면은 대회심사와 관련된 요인이 분포되었다. 이에 심사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이 요구된다. 넷째, 삼 사분면은, 대회운영 내용이 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가 낮은 요소이지만 보완하면 개선 효과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사 사분면은, 능력향상 항목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대회 경험이 개인의 실력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미용대회의 활성화 전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데 의의를 둔다.

ISA 기법을 활용한 자활사업 성과지표에 대한 현장 인식 연구 : 지역 유형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Field Perceptions on Self-Support Performance Indicators using ISA(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Focusing on Regional Types)

  • 조준용;김경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47-456
    • /
    • 2022
  • 지난 25년간 우리나라의 자활사업은 저소득 취약계층을 위한 가장 중요한 고용복지정책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그러나 그간 자활사업 성과지표는 현장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특히 경제적 성과 중심의 지표와 지역유형을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인 적용 방식에 대해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ISA 기법을 활용하여, 자활사업 성과지표에 대한 실천현장의 인식을 분석하고, 현장 적합성을 제고하는 지표 개선에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성과지표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에서는 자활사업의 결과보다 과정에 대한 중요도가 크고, 현행 지표가 현장을 만족스럽게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SA 매트릭스 분석에서는 유지와 개선, 그리고 정책적 재고를 요하는 성과지표들이 분류되었는데, 이때 도시형과 농촌형의 매트릭스의 차이가 확연히 다른 것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발견들을 통해 본 연구는 현장 지향성을 가진 성과지표를 제안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향후 성과지표의 개선을 위한 탐색적 기초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기법을 활용한 노인복지관의 실버 오케스트라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연구 (An Evalua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Silver Orchestra Program Using IPA)

  • 허순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87-300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이 운영하는 실버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의 실천적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운영 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의 춘천동부노인복지관이 운영하는 '춘천 실버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실버회원 그룹(N=53)과 프로그램 운영자 그룹(N=32)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지역사회와의 연계', '예산 운영', '프로그램 운영', '인력 운영', '홍보전략', '프로그램 운영환경'을 포함하는 6개의 평가영역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평가영역에 대하여 22개의 평가항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버회원 그룹에서는 '인력 운영'이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운영자 그룹에서는 '예산 운영'과 '인력 운영'이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각각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하였다. IPA 매트릭스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는 실버회원 그룹과 프로그램 운영자 그룹의 관점에서 현상유지 및 강화, 집중투자 및 개선, 낮은 우선순위, 그리고 과잉노력 지양으로 영역화된 프로그램 운영 속성에 대해서 서로 차별화된 노력과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국 창작뮤지컬 관람동기의 중요도 연구 (A Study on IPA of Spectator Motivation in the Korean Creative Musical)

  • 구은자;이광호;김혜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595-1603
    • /
    • 2013
  • 본 논문은 한국창작 뮤지컬의 활성화를 위해 한국 창작 뮤지컬의 관람동기에 관한 중요도 연구이다. 중요도 분석(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는 다 속성 모델의 각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성취도를 동시에 비교 분석하는 평가기법이다. 이 분석은 고객들이 중시하는 요소와 이들 요소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를 매트릭스 상의 좌표로 표시하여 식별하는 방법으로 고객만족은 특성 속성에 대한 고객의 기대수준과 그러한 속성에 대한 실행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 분석법을 통해 본 연구는 한국 창작뮤지컬 관람동기 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IPA기법을 활용한 수영복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인식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Swimsuit Brand Image Using IPA Technique)

  • 김재환;이재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467-477
    • /
    • 2017
  • 본 연구는 IPA를 통해 수영복 소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수영복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순위와 차이를 제시하고 IPA 매트릭스로 도식화하여 수영복 산업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298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고, 평균값으로 중요도와 만족도의 순위와 대응표본 t-test, IPA매트릭스 도식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영복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평균값을 통해 순위를 살펴본 결과, 중요도에서 '품질', '기능성', '가격', '디자인', '신뢰감', '색상' 순으로 평균 4.0이상으로 나타났고 만족도에서 '신뢰감', '품질', '기능성', '인지도' 순으로 평균 3.5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영복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품질', '가격', '기능성', '디자인', '색상', '신뢰감', '세련미'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인지적 이미지는 전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수영복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IPA결과 I사분면(현상유지)은 '디자인', '기능성', '품질', '신뢰감'요인이 II사분면(집중노력지향)은 '가격'과 '색상'요인이 III사분면(열등순위)은 '광고이미지', '이벤트', '유행성', '독창성'요인이 IV사분면(과잉노력지양)은 '인지도', '세련미'요인이 포함 되어있었다.

요건추적매트릭스의 국제핵융합실험로 AC/DC 컨버터 Plant Interlock System(PIS) 적용연구 (Application Study of Requirement Traceability Matrix (RTM) to ITER AC/DC Converter Plant Interlock System (PIS))

  • 신현국;오종석;최정완;서재학;이락상;이의재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9-120
    • /
    • 2015
  • ITER 한국사업단은 AC/DC Converter 최종설계검토(FDR)를 2014년 4월에 끝내고, 제작에 관련된 준비사항 점검인 MRR (Manufacturing Readiness Review)를 2014년 10월에 수행하였다. 1차 제작공정인 CCU/L 컨버터와 관련 I&C System은 2014년 11월부터 제작에 착수하여 곧 FAT(Factory Acceptance Test)를 앞두고 있다. 이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FAT를 앞둔 제작된 기기가 ITER의 설계요건을 충분히 만족하는지에 대한 검증을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초전도자석 및 컨버터의 이상상태 또는 고장 시에 장치를 보호하는 중요한 Plant Interlock System(PIS)이 ITER의 설계요건을 충실히 반영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한 요건추적매트릭스(RTM) 기법을 소개하고, Interlock System의 중요기능인 사고 시 초전도 코일에 충전된 에너지를 급속 방전하기 위한 장치인 DLIB와의 연계기능에 적용한 예를 보이고자 한다.

  • PDF

유아교육기관장의 유아체육교육기관에 대한 선택속성 연구 (A Study on Attributes to Select the Physical Education Institutes for Preschoolers in Directors of Educational Institutes for Preschoolers)

  • 추나영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4호
    • /
    • pp.241-252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장이 유아체육교육기관을 선택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과 만족하고 있는 순위를 제시하고, 중요도와 만족도 사이의 차이와 각 항목간의 상대적 중요도 및 만족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아체육교육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체육교육기관의 직접 계약 대상자인 유아교육기관장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편의표집법을 이용하여 부산시와 경남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장 253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SPSS 23.0 이용하여 유아체육교육기관 선택과 관련된 항목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중요도 순위를 제시하고, 대응표본 t-test, IPA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체육교육기관에 대한 선택속성 중 지도자 자질과 프로그램 관련 항목이 중요도와 만족도 순위의 우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 자질과 프로그램 항목은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료 할인 혜택과 유아교육기관의 주위평판은 만족도가 중요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A 매트릭스 분석결과 I 사분면은 유아체육교사의 전문성 등 8개의 항목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I 사분면에는 유아체육교사의 지도능력과 프로그램 계획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II 사분면에는 수업료의 적정성 등 6개의 항목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V 분면에는 모든 항목이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관광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IPA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Tourism: Focusing on IPA)

  • 황영아;엄문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33-238
    • /
    • 2022
  • 본 연구는 뷰티관광 교육과정의 중요도-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뷰티관광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뷰티관광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8개의 유효표본을 활용하여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선이 필요한 교육내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 및 유지가 필요한 교육과정은 현장실습, 전공실무, 서비스 및 매너, 고객상담, 고객관리, 마케팅, 대인관계 등으로 나타났다. 우선순위가 낮은 교육내용은 외국어, 다문화 이해, 관광학, 뷰티경영 등으로 나타났으며 과잉 노력을 지양이 필요한 교육내용은 전공 이론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뷰티관광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