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성수

검색결과 1,610건 처리시간 0.042초

발효울금 주정추출물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3T3-L1 세포에서의 지방 형성 억제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50%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in 3T3-L1 Cells)

  • 김지혜;박정진;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81-1687
    • /
    • 2014
  • FCEE를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FCEE가 지방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FCEE($200{\mu}g/mL$)를 세포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과 AdipoRed 형광염색법을 이용한 지방 축적과 세포내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각각 10.2%, 13.7%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기작을 확인하고자 포도당 유입량과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 처리 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포도당 유입량이 36.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도 8일째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FCEE의 처리로 분화가 억제되어 지방구의 형성이 억제되고 배양액으로 배출되는 유리 글리세롤의 총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가 지방세포 분화의 억제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지방 형성 관련인자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의 처리로 AMPK mRNA 발현량은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3배 증가하였으며, SREBP-1c, $C/EBP{\alpha}$$PPAR{\gamma}$ mRNA 발현량은 각각 0.6, 0.6 및 0.8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FCEE는 지방 합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바, 향후 항비만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ZnO 기반 박막트랜지스터의 기계적 안정성 확보에 관한 연구 (Study on Design of ZnO-Based Thin-Film Transistors With Optimal Mechanical Stability)

  • 이덕규;박경애;안종현;이내응;김윤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호
    • /
    • pp.17-22
    • /
    • 2011
  • 실험을 통해 구현한 ZnO 기반의 투명 박막트랜지스터의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고 안정성에 대한 확보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FEM (Finite Element Method)을 이용하여 소자를 구성하는 브릿지 와 패드 부분에 대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였다. 소자의 유연성 확보를 위해 설계된 브릿지 부분의 웨이브 패턴을 구현한 결과 실험 값 대비 최대 진폭의 크기가 오차 0.5%로 실험값과 유사한 신뢰성 있는 결과 값을 얻어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브릿지와 패드 사이에 나타나는 압축 응력을 확인하였으며, 압축 응력 값을 패드에 적용하여 그 변형 정도를 분석하였다. 기계적으로 안정성을 갖는 소자를 설계하기 위해 $SiO_2$ 절연층위의 ITO 전극과 ZnO 활성 층의 위치 및 크기를 예측 하였으며, SU-8 코팅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중성 역학 층 (Neutral Mechanical Plane)의 위치와 구조적 타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황토 첨가 사료가 조피볼락의 혈청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Yellow Loess on Serum Constituents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동수;조영철;최옥수;이영재;김해섭;배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86-291
    • /
    • 2000
  • 고품질의 수산양식식품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조피볼락의 사료에 황토5%∼ 15%의 농도로 첨가하여 7주간 사육한 후 혈청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황토의 화학 적 조성을 분석한 결과 SiO2 49.80%, Al2O3 27.50%, FeO3 8.33%, CaO 0.09%, MgO 0.64%, K2O 1.62%, Na2O 0.12%, P2O5 0.20%, MnO 0.03%를 함유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가지는 zeolite의 화학 적 조성과 유사한 다량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혈청중의 총단백질과 알부민 함량 은 대조구에 비하여 황토 첨가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혈청중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 조구에 비하여 황토 첨가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황토첨가농도가 10%까지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중의 빌리루빈 함량은 15%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혈청중의 헤모글로빈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7.5%, 10%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5%, 12.5%, 15% 첨가구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지방 침착률이 높은 식용소에서 나타난 골격근의 디스트로핀 소실 (Dystrophin Degradation in Skeletal Muscles with Lipid Enrichment in Cattle)

  • 전성환;김아영;이은미;이은주;홍일화;황옥경;정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92-602
    • /
    • 2016
  • 풀사료를 주식으로 하며 자유롭게 방목되는 호주산 소와 곡물사료를 주식으로 하며 상대적으로 제한된 면적의 축사에서 사육되는 한국산 소의 두 가지 근육에서 디스트로핀 단백질 발현 수준을 비교하였다. 총 244 두의 식용소 도체로부터 양국에서 같은 부위의 골격근 조직을 채취하고 10% 중성 포르말린을 이용해 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방 침착률이 골격근 막 관련 단백질들의 소실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는데, 특히 디스트로핀이 지방이 침착된 골격근에서 가장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동시에 CD36이 지방이 침착된 골격근에서 가장 풍부하게 발현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렇게 정상 골격근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세포골격 단백질들의 소실에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서부터 사료의 종류에 따른 산화 지질 및 운동, 기후, 성장 기간 등의 환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육 조건들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졌다. 디스트로핀은 근형질막 관련 단백질들 중에 근이영양증이나 근육 변성과 관계된 가장 민감한 막 단백질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람의 근이영양증 관련 연구를 비롯해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근육질환의 기전을 찾는 연구에도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 근이영양증 기전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뿐만이 아니라 치료를 위한 실용화 연구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적무 새싹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합성 억제 효과 (Antiadipogenic Effects of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Extract in 3T3-L1 Preadipocytes)

  • 김다혜;김상준;정승일;천춘진;김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24-1230
    • /
    • 2014
  • 적무(Rahphanus sativus L.) 새싹은 십자화과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무새싹 물 추출물의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능과 3T3-L1 지방 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지방합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적무새싹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적무새싹 추출물은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지방 및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적무새싹 추출물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and CC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alpha}$와 같은 지방합성 전사 인자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지방합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적무새싹 추추물은 지방합성과 수송 저장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adiponectin, fatty acid synthesis (FAS), perillipin, and fatty acid bind protein-4(FABP4)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 연구는 적무새싹이 지방합성 전사인자는 물론 지방합성 단백질 발현의 제어를 통해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전이금속 갈륨이 금붕어(Carassius auratus)의 적혈구 및 혈청의 생화학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ition Metal Gallium on the Serum Biochemistry and Erythrocyte Morphology of Goldfish (Carassius auratus))

  • 김동휘;숩라마니안 다라니다란;장영환;박소현;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308-1312
    • /
    • 2016
  • 갈륨은 갈륨비소와 같은 고속 반도체 제작에 사용되는 금속간 화합물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붕어(Carassius auratus)에 갈륨을 적용 시 일어나는 혈청의 생화학 변수, 급성독성 및 적혈구 형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LC_{50}$은 96시간 째 갈륨 농도 9.15 mg/ml로 나타났다. 갈륨을 농도별(2.0, 4.0, 8.0 mg/ml)로 금붕어에 노출시켜 28일 동안 독성실험을 하였다. 독성실험 결과 혈청의 생화학(글루코즈,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반응에서 갈륨 미처리 그룹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갈륨의 노출에 따른 적혈구의 변형으로 인한 호흡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에 사용된 금붕어와의 동일한 크기에 갈륨을 적용할 때 생물학적으로 안전한 농도는 2.0 mg/ml로 사료된다.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와 참당귀 추출물의 triton WR-1339 유발 고지혈증에 대한 예방효과 (The Preventive Effect of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and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on Triton WR-1339-induced Hyperlipidemia)

  • 김강민;김보슬;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26-732
    • /
    • 2018
  • 이번 연구의 목표는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B. polyfermenticus KJS-2) 및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AGNE) 추출물의 고지혈증에 대한 효과를 확인 하기 위한 것이다. AGNE에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인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 (D/DA)의 순도를 확인하였을 때 약 78%로 나타났다. AGNE (0.1-20 mg/ml)를 이용한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Endospore를 형성한 B. polyfermenticus KJS-2 ($1{\times}10^9CFU/ml$)는 약 0.3 mm의 담즙산이 함유된 배지에서 내성이 관찰되었다. Normal control, positive control (atorvastatin), negative control (triton WR-1339) 및 AGNE, B. polyfermenticus KJS-2, AGNE + B. polyfermenticus KJS-2와 Atorvastatin + AGNE + B. polyfermenticus KJS-2투여군의 7개군으로 나누어 실시한 동물실험에서는 몸무게 및 간의 무게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신장의 무게는 triton WR-1339만 처리한 군에서 조금 높게 나타났다. B. polyfermenticus KJS-2 및 AGNE를 투여는 HDL-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키고,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은 감소시켰다. 또한, 간조직 내에서의 지방 축적 정도를 확인한 결과 B. polyfermenticus KJS-2 및 AGNE투여군에서는 지방 염색의 감소가 나타나 지방의 축적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 polyfermenticus KJS-2 및 AGNE는 고지혈증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keiskei Extracts Against D-Galactosamine (GalN)-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Choi, Sang-Hoon;Park, Kwan-Ha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5-241
    • /
    • 2011
  • 아직 분명히 규명되지 않은 부분이 많지만, 신선초가 다양한 측면에서 건강증진 효과가 있다고 믿어져 왔고 따라서 일반인들이 지금까지 사용해 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신선초의 메타놀 추출물을 투여한 후, 전형적인 간독성 유발물질인 갈락토사민과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랫드에서 일반적 간독성지표와 지질대사능 지표를 측정함으로써 간장 보호작용이 있는지 시험하였다. 신선초를 독성유발전 7일간 매일 1회씩 200 및 500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고, 간독성물질을 복강내로 투여 한 후 독성유발 24시간에 혈장과 간장조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험한 두 용량(200 및 500 mg/kg)은 갈락토사민에 의해 유발된 지질과 산화물 증가, 혈장 AST 및 ALT 활성의 증가를 감소시켰다. 또한 신선초 500mg/kg은 갈락토사민이 유발한 혈장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농도 증가현상을 감소시켰다. 갈락토사민에 의해 유발된 독성에 대한 효과와는 달리,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AST, ALT 및 과산화지질의 증가현상이 신선초 전투여에 의해 더욱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갈락토사민에 의한 독성을 신선초 전투여가 감소시킬 수 있지만, 반대로 사염화탄소 유발 독성은 더 악화시킴을 의미한다. 신선초의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 증강효과에 대한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신선초를 투여한 랫드의 간장내 aninline hydroxyi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염화탄소가 간독성을 발휘하는 데에 필요한 조건인 대사체로의 변환을 매개하는 이 효소의 간장내 활성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종합적으로 신선초가 간장보호효과를 발휘하지만 간독성이 어떤 독소에 의해 유발되었느냐에 따라 향상 보호효과가 있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β-Glucan 추출에 미치는 온도, 용매 농도 및 pH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Solvent Concentration, and pH on the β-Glucan Extraction)

  • 이상훈;장귀영;김기종;이미자;김태집;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71-877
    • /
    • 2012
  • 추출조건에 따른 귀리겨 ${\beta}$-glucan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추출온도($40{\sim}60^{\circ}C$),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0~20%) 및 pH(5~9)를 변수로 중심합성계획법으로 설계하여 ${\beta}$-glucan 추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beta}$-glucan의 추출속도는 추출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이후에는 완만하였다. 총괄물질전달계수는 $3.363{\sim}8.552{\times}10^{-6}cm/min$ 범위로 낮은 추출온도에서는 추출용매의 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추출온도에서는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지만 pH에 의한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의 pH는 중성일 때보다 산성이나 알칼리성일 때 ${\beta}$-glucan의 추출량이 증가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라서 ${\beta}$-glucan 수용액의 점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총괄물질전달계수가 높을수록 crude ${\beta}$-glucan 수용액의 점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점도, 추출율 및 총괄물질전달계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요인들이 높은 양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었다.

전분이용(澱粉利用)에 관한 연구(硏究)(제(第) 1 보(報)) Starch Agar-gel-plate를 이용(利用)한 Amylase 활성(活性) 측정법(測定法) (Studies on Application of Starch Part I. Action of Amylase on Starch Agar-gel-plate)

  • 유주현;추경희;홍윤명;유마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7-71
    • /
    • 1970
  • 본 실험(本 實驗)에서는, amylase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하기 위하여 starch-agar-gel-plate를 만들어 cork borer로써 9mm의 구멍을 뚫고, 각(各) 농도(濃度)의 효소(酵素)를 주입(注入)하여 일정(一定)한 온도(溫度)에서 일정(一定)한 시간(時間)동만 반응(反應)시킨 후, 0.1N-iodine액(液)으로 분해(分解)하지 않은 starch를 착색시켜, 착색안된 무착색(無着色) zone의 직경을 측정(測定)해서 비교 검토한 것으로 서 이 방법(方法)을 "cork borrer method"라고 칭하였다. starch-agar-gel-plate 상(上)에서의 무착색(無着色) zone 형성(形成)의 최적(最適) pH는, Bacillus 균(菌)이 생산(生産)하는 amylase인 biotex, spitase 등은 중성(中性) 내지 알카리성(性)에서, 사상균이 생산(生産)하는 효소인 mucor-rennin, gluco-amylase, biodiase 등에 있어서는 pH $5{\sim}7$의 범위이다. 무착색(無着色) zone 형성(形成)직경은 전분농도(濃度)가 적을수록 유리하고, 반응시간(反應時間)이 길수록, amylase activity가 강할수록 커진다. 한편 반응온도(反應溫度)에 의한 영향은 $10^{\circ}C$보다 $50^{\circ}C$에서 무착색(無着色) zone이 크게 형성(形成)된다. 따라서 starch 온도(溫度) 및 pH가 일정(一定)한 starch-agar-gel-plate를 만들고, 반응시간(反應時間) 반응온도(反應溫度) 등을 일정하게 하여주면 amylase activity 를 능률있게 측정(測定)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本 硏究)를 위하여 연구비(硏究費)를 지급(支給)하여주신 연합재단(聯合財團)과 대학원장 이길상박사(大學院長 李吉相博士), 또 효소(酵素)를 제공하여 주신 삼중효소공업주식회사(三中酵素工業株式會社)의 김동진사장(金東振社長). 천야제약주식회사(天野製藥株式會社)(일본(日本)) 등의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