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2009.10a
/
pp.45-76
/
2009
본 연구는 1992학년도부터 2008학년도까지의 수학과 중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이하 중등교사 임용시험)과 2009학년도의 개정 시행된 시험(2008년 11월 9일), 그리고 이에 앞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시행한 2009학년도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모의평가(2008년 6월 14일 시행)을 분석하고 평가문항의 내용별 분포와 적절성을 검토함으로써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수학전공과목 임용시험 출제 평가문항의 내용영역별 분류는 어떠한가?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평가 문항들의 각 영역별 출제 빈도수는 어떠한가? 전국 사범대학교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임용시험 평가문항들이 사범대 수학교육과의 기본 이수과목을 포함한 교육과정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가? 향후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개선점에는 무엇이 있겠는가? 각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중등교사 임용시험 평가문항들과 전국의 사범대학교 수학교육과의 기본 이수과목들에 대한 관련성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중등교사 임용고사는 현실적으로 수요를 초과하는 다수의 교사 자격증 소지자 가운데에서 우수한 교사를 선발하여 공립 중등학교에 임용하기 위한 공개 경쟁 시험제도이지만, 그 영향력은 중등교육의 발전과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에서 결정적일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지대하다. 여기서는 “좋은 수학교사”의 양성과 선발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임용고사가 수학교육의 발전에 순기능적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개선을 위한 몇 가지 드러난 문제점들에 대하여 논의하고, 필연적으로 임용고사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는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과의 관계에서 상호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과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noticing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journals of fou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Our analysis was based on a framework including three categories such as Aware, Interpret, and Response. As results, we found a tendency that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have more general awareness of students and relatively fewer interpretations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than other categories. In addition, in the category of Response, the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explain to students than to promote students' thinking through qu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would like to discuss implications for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수학 교육에서 새로운 정보기술의 교육적 사용의 범위는 커지고 교육 모형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중등 수학교육에서의 변화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 및 한국의 수학 교육계의 폭넓은 지지를 받는 NCTM의 컴퓨터 및 정보기술 활용에 관한 규준들의 교육적 의미, 방법, 효용 등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컴퓨터과학 교과과정에 포함된 수학 분야에 대한 컴퓨터과학자 Hamming의 견해를 소개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의 중등 교육에도 컴퓨터과학 교과가 시행될 것을 예정하면서 수학 교사들이 미리 컴퓨터과학을 교과과정을 이해함으로 통합 교과적 요소, 특성 그리고 역할 관계를 알아보았다.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2009.05a
/
pp.101-106
/
2009
수학적 사고의 입장에서 중등학생들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수학교육에서 중요하고도 흥미로운 과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등학교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이러한 문제를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이들 중등영재학생들의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에 대한 선호도와 논리적 문제의 문제해결능력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flections of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their changes through practicing as assistant teacher in mathematics classroo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on the reflections and their changes. During the 2015 Spring semester,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ok a course related to working as assistant teachers in regular mathematics lessons in a middle school. This study selected cases of two pre-service teachers. The data such as reports on their practices and final meeting report with teachers were collected during the semes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eflected teachers, students, mathematics contents, and themselves in their reports. In addition, each participant showed different contents of reflections. This difference implied that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uld have different reflect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lessons that they participated in.
This paper compared and contrasted the views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by 223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51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using a questionnaire with 4 main domains (i.e., curriculum and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classroom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assessment) and a total of 48 sub-elements. The analysis of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ut their priority on the curriculum and content domain, while middle school counterparts di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domain. The teachers commonly agreed with instruction which fosters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constructs the curriculum tailored to students' diverse levels, and establishes appropriat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reed more than middle school teachers with regard to the 23 elements related to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In contrast, middle school teachers agreed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as for only 2 elements (instruction foster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nd instruction elicit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is paper include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Korean teachers' perception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mathematics education is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s who adopt it. This study surveyed 16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57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on their perceptions of using AI in mathematics education,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attitude toward using AI, AI for teaching mathematics, AI for learning mathematics, and AI for assessing mathematics. The findings showed that teachers were most positive about using AI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whereas their attitudes towards using AI were less favorable. In addi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onstrated a higher positive response rate across all categories compared to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who exhibited more neutral perception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eachers to effectively use AI in mathematics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2001.05a
/
pp.89-107
/
2001
영재는 그 다양한 특성으로 인하여 객관적인 판별도구를 개발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판별절차에 관한 학자들의 이론도 다양하다. 특히 고도의 창의적인 능력을 나타내는 수학 영재아의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한 면이 심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과학 영재교육센터에서 실행했던 중등 수학영재선발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검증함으로써 앞으로 더 발전된 수학 영재아의 판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MTEBI는 미국에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을 측정하는데 자주 이용되는 척도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MTEBI를 한국의 중등 예비 교사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지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미국에 있는 대학원에 다니며 영어와 국어 둘 다 말할 수 있는 박사 학생 두 명이 MTEBI를 브리슬린의 이론대로 국문으로 번역하였고, 그 뒤에 한국에 있는 다수의 수학 교사 교육자들이 번역된 척도를 면밀하게 검토하였다. 한글판 척도를 먼저 작은 표본에서 초벌 실험하였는데, 두 개 문항이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렸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개의 유용하지 못한 문항을 대신할 두 개 문항을 더한 23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에 대하여 정규성, 신뢰도, 요인 타당도 등을 658명의 표본에서 검사하였다. 초벌 연구에서 발견된 두 개의 유효하지 않는 문항은 본 연구에서도 역시 그와 같아서, 그 두 문항은 척도에서 제거되었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21 문항 척도는 한국의 예비 수학 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척도이다. 앞으로, MTEBI 한글판을 이용하여 한국에서 교사 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기를 기대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