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국 중년 여성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중국 중년여성의 곡류 섭취수준과 식품 및 영양소 관련성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real Intake Level and Food and Nutrients Intake of Chinese Middle-aged Women)

  • 박필숙;조한청;박미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3-124
    • /
    • 2019
  • 본 연구는 곡류 섭취수준과 식품과 영양소 섭취량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40~65세 중국 중년여성 2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융합연구이다. 데이터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2$ test, ANOVA, 상관분석과 Jonckheere-Terpstra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곡류군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아침결식(p for trend=0.000), 과식(p for trend=0.019) 및 외식(p for trend=0.003) 비율이 감소하였다. 대상자의 곡류군 섭취수준이 6~9단위인 경우, 에너지 1,000 kcal당 서류(p for trend=0.008), 육류(p for trend=0.043), 콩류(p for trend=0.020), 담색채소류(p for trend=0.015) 섭취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중년여성들의 곡류군 섭취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과 개선방안을 위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 중년 여성들의 소비성향에 따른 의복태도와 구매동기 (A Study on the Clothing Attitudes and Purchasing Motives According to Consumption Orientation of Chinese Middle Aged Women)

  • 김용숙;류국연;왕해연
    • 복식
    • /
    • 제56권2호
    • /
    • pp.45-55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clothing attitudes and purchasing motives according to consumption orientation of Chinese middle aged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actors of shopping orientation were rich & fashion, economy & profit, traditional virtue & leisure utilizing, and frugality & pragmatism. Chinese middle aged women were classified into practicality pursuit group, material & fashion pursuit group, conservative leisure utilizing group, and negative stagnating group. 2. Factors of clothing attitudes were fashion, self-confidence & symbol, politeness, comfort, and luxury. Practicality pursuit group considered politeness of clothing more and did not purchase impulsively, but material & fashion pursuit considered many factors of clothing attitudes most. Conservative leisure utilizing group considered economy most, but negative stagnate group considered less. 3. Factors of clothing purchasing motives were fashion & conformity, fitness, impulse, and practical needs. Practicality pursuit group purchased clothing because of practical needs, but material & fashion pursuit group purchased of fashion & conformity, fitness, impulse, and practical needs.

한국과 중국 중년여성의 자기효능,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between Middle-Aged Korean and Chinese Women)

  • 김귀분;석소현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5-374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and compare the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between middle-aged Korean and Chinese women. Methods: The sample included 430 (Korean: 220, Chinese: 210) middle-aged women. Study instruments were the Self Efficacy Scale developed by Shere et al (1982), the Social Support Scale modified and based on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ISEL) developed by Cohen and Hoberman (1983), and The Quality of Life Scale (SF-36) developed by Ware and Book (1981).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6 version. Results: Korean women reported more self efficacy and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e Chinese women. The quality of life scores between middle-aged Korean and Chinese women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Sel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scores reported by middle-aged Korean and Chinese women were below the reported standards of the instruments. In contrast to the other scores, Chinese women reported more social support than Korean women. Conclusion: The findings add to the body of literature about Chinese and Korean middle aged women.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explain the differences among the two groups but the findings can inform the practicing nurse who works with these populations.

중국 80-90후(后)와 외국 대중문화의 선택적 수용: 베이징 사례 (China's Post '80s and '90s Generation and Selective Reception of Foreign Popular Culture: The Case of Beijing)

  • 안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4-43
    • /
    • 2014
  • 중국 수용자들은 아이치이, 유쿠, 러스왕, PPTV 등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같은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여러 채널을 통해 한국, 미국, 일본, 영국, 태국, 인도 등 다양한 국가의 드라마, 영화, 오락 프로그램 등을 선택, 시청할 수가 있다. 최근 다양한 장르의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중년 여성을 중심으로 한 드라마가 인기였던 초기 한류 시기(1997-200년대 초)와는 달리, 현재는 드라마뿐만 아니라 K-pop, 오락 프로그램 등 다양한 장르로 퍼져나갔고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를 통해 한국 대중문화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80-90호우(后)의 외국 대중문화 수용태도를 파악하고자 한국, 미국, 일본 대중문화의 선호 장르와 이유, 선호 대중문화 및 국가 이미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가별 선호 장르와 이유에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선호 대중문화와 국가 이미지와의 밀접한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국에서의 한류의 지속가능한 발전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중국 현지 소비자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세분화에 따른 식행동 연구 (A Study on Dietary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Segmented by Dietary Lifestyle)

  • 오지은;윤혜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83-393
    • /
    • 2017
  •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의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구분함으로써 중국소비자들의 식행동의 차별성을 소비자 집단에 따라 세분화 하여 분석하고, 향후 타겟 소비자의 식품과 음식에 대한 속성과 특성 요구를 수용하는 상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음식의 맛과 질을 중요시여기는 미식요인(Gourmet factor), 건강요인(Healthy factor), 편의요인(Convenience factor), 경제요인(Economic factor) 등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점수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4개 그룹은 차별화된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룹 1 미식경제군은 20대의 젊은이들의 구성비율이 높고 자취의 비율이 높으며, 외식횟수가 높으며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들은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미식요인과 경제적 요인에 민감한 반면 건강요인과 편의요인에의 민감도가 낮았으며, 식행동에서도 규칙적이며 균형잡힌 식생활에 대한 실천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음식과 식품에 대하여 품질에 있어서 맛을 추구하지만 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식생활의 실천은 낮은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룹 2 두루관심군은 30대 구성 비율이 높았고 고학력층과 고소득층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 전반에 대한 추구성향이 타 그룹들에 비해 높아, 다양하고 새로운 음식, 외식과 삶에 대한 즐거움을 즐기는 미식을 추구하고, 건강과 관련되는 웰빙 식재료와 식품에 대한 추구도 높았다. 그러나 경제적인 요인인 쿠폰 활용, 가성비 등을 따지고 상대적으로 편의 식품을 적게 소비하며, 식행동 및 식습관에서도 다른 그룹보다 규칙적이며, 특히 유제품과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높고, 균형 잡힌 건강식을 섭취하는 식생활 고관심의 스마트 컨슈머의 성향을 보인다. 그룹 3 건강경제군은 40대 이상의 남성비율과 주부의 구성 비율이 높으며 소득수준이 다른 그룹에 비해 낮은, 가족형의 소비자군을 구성한다. 즉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서도 건강식품, 자연식재료 등에 건강성을 추구하고 식품구매에 있어서 경제적인 가성비를 추구하는 성향을 보이나 식행동 및 식습관 분석 결과 가공식품의 섭취가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그룹 4는 30대 이상,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대학 이상의 교육수준도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 이들은 가격과 편의성보다는 건강과 맛을 추구하는 그룹으로 중국의 중년여성들의 로하스 지향성이 가장 많이 나타나며,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직접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인의 식생활은 최근 10년 사이 전통적인 농수산물의 소비에서 간편식이나, 서구식 식사 등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도시거주민 등을 중심으로 웰빙과 건강, 식생활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미식과 웰빙, 가성비와 간편식 등을 추구하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유럽 등에서도 보편적인 식행동 등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중국인들은 높아진 소득과 더불어 건강과 미식 등을 지향하는 다양한 식생활 행동패턴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유형별 집단으로 구별되며 차별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이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식행동 및 식습관은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즉 소비자들이 유지하는 식생활은 그들이 유지하는 식생활에 대한 태도, 행동, 의견에 따라 차별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식생활관련 라이프스타일은 소비자들의 삶의 가치와 의식이 반영되는 것이며, 그들만의 고유한 특성이 식생활에 반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사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집단은 세분화된 소비자 집단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세분화된 집단별로 구매행동의 차이를 보이거나, 선호하는 상품의 유형과 특성에 차이를 보이며,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라서도 구분되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식품이나 음식 상품의 개발에서 식품과 식생활에 관련된 미식적, 건강적, 편의적, 경제적인 요소가 주요한 차별점이 될 수 있으며, 중국인들은 과거와 다르게 식품의 건강성과 미식성 등을 고려하고 있고,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과 인구학적인 특성, 식행동 등으로 세분화된 타겟 소비자들의 수용성과 욕구를 고려한 본 연구의 결과가 상품개발 마케팅 활동자료로써 의미 있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국의 지역적인 분류를 고려하지 않은 온라인을 활용하는 소비자들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어 조사대상자에 대한 연구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중국의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민족적 특성을 반영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