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죽음 의식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 EXPLORATORY STUDY TO DETERMINE HOW ADOLESCENT STUDENT NURSES VIEW PEDIATRIC NURSING EXPERIENCE AS STRESSFUL SITUATION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에 느끼는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긴장감에 대한 실험적 연구)

  • Oh, Kasi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4 no.3
    • /
    • pp.33-56
    • /
    • 1974
  • 간호를 장래의 전문직으로 택하려고 공부하는 간호학생들은 완전한 성인으로서의 발달 과정중 후기 성년기에 속한다. 이시기는 자아를 발견하고 인간이 무엇을 믿으며 인간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다시 말해서 어른과 어린이의 과도기에 서서 자신의 이상적 가치와 기성사회의 기존 가치를 잘 융화시켜 독립된 인간으로서 성숙하려는 노력의 시기이다. 그러므로 성년기의 갈등은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그 정도가 심하게 나타난다. 간호학생들은 이상의 일반적인 성년기 발달의 요구 외에도 간호대학이라는 특수한 배움의 여건 때문에 좀 더 심각한 문제에 대두된다. 특히 소아과 간호대학이라는 실습환경은 여러 가지 복잡한 병실 사정으로 많은 긴장감을 주는 학습경험이다. 어린이의 간호에는 그들의 발달과정에 따른 다양한 역활이 요구된다. 또한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어머니를 떨어져야하는 두려움으로 불안한 어린이와 그 어린이의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해 우울과 죄의식에 있는 어머니의 간호는 여러 면에서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일으키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문헌조사는 주로 미국 문헌에 나타난 간호 대학생들의 성년기 성숙을 위한 발달의 요구와, 소아병실의 복잡한 여건으로 발생되는 긴장감을 다루고 있다. 문헌을 기초로 하여 저자는 긴장감을 주는 간호활동을 크게 다섯 부군으로 묶었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 2. 어린이 환자나 부모와의 원만한 대화와 상호관계를 위한 간호활동 3. 소아병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간호원의 역활 4. 어린이나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 5. 간호의 가치나 이상적 간호. 연구방법으로는 49개의 폐쇄식 질문 항목을 가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 항목들은 문헌연구에서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 학생들이 긴장감을 느낀다고 밝혀진 내용들이 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긴장감이 없었다. ""긴장감이 있었다. ""심한 긴장감이 있었다. ""실습 중 경험이 없었다. "의 사항 중 택일을 하게 되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모 대학교 간호대학 학생으로 산부인과 간호학 실습을 마친 후 소아과 간호학 실습 8주를 완료한 4학년 학생 42명이었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고 나타났다. 다음은 연구결과 주목할만한 몇 가지 사항들이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는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주는 실습 경험이었다. 특별히 심하게 긴장감을 주었던 간호활동은 어린이환자의 상태가 중한 경우로, 장기간 앓는 아이, 선천성 기형이 있는 아이, 회복이 불가능하여 죽게될 아이나 사망하는 경우의 어린이 간호였다. 이 결과는 간호학의 기본과정 즉, 기초간호학이나 내 외과 간호학 실습만으로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충분한 준비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뜻 할 수도 있다. 한편, 문헌연구에서 밝힌바와 같이 어리고 연약해 보이는 어린이들의 신체조건이 학생들의 간호활동을 어렵게 하는 경우도 될 수 있겠다. 2. 간호학생들의 어린이 환자와의 대화나 원만한 인간관계에서의 긴장감은 이 연구결과로 평가나 제언이 힘들다. 조사결과에서 학생들은 주로 어린이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심한 긴장감을 가졌고 일반적인 간호의 경우에는 별로 긴장감이 없었다. 이것은 질병의 상태나 화제, 이야기 할 때의 상황에 따라 긴장감의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결론이 되겠다. 3. 소아병실에서의 다양한 역활을 수행하는 것은 비교적 긴장감이 많이 생기는 간호활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미있는 사실은 학생들이 간호원으로서의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환자나 보호자를 가르칠때는 별로 문제가 없었으나 어린이 기르는 방법이나 어린이 이해면에서 좀 더 잘 안다고 생각되는 어머니가 지켜 볼때의 어린이 간호에는 긴장감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Jewett의 연구에서 밝힌바와는 상반되는 결과다. 그의 연구에서 학설들은 부모나 어머니들에 의해 전문가로서 인정받고 기대되는 경우가 제일 어려운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4. 어린이 환자나 그들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은 학생들에게 심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 특히 신체적 간호에 대해 의뢰하는 경우에는 더 심한 긴장감을 준다고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병실에 상주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의뢰심이 심하며 이것은 학생들에게 감당하기 힘든 긴장과 어려움을 주게된다. 왜냐하면 성년기의 학생들은 그들 자신이 먼저 타인에게서 이해받기를 원하며 또 관용을 베풀어주기를 원하는데 그것을 남에게 주어야 하는 입장은 학생들을 긴장되게 하는 실습활동인 것이다. 5. 학생들은 그들이 배운 간호의 이상이나 가치가 실습지에서의 여러 경우와 맞지 않는 것을 보았을 때 극심한 긴장감을 갖는다고 밝혔다. 의사나 병원 행정의 사실이 자신의 이상과 맞지 않는다는 것보다는 간호원의 간호업무의 차이에서 더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성년기 학생들은 그들의 이상적인 간호원상을 그들의 선배나 실무 간호원 중에서 찾으려는 시기에 그들의 간호활동이 이론과 다른 점이나 학생 자신의 소아과 간호의 가치와 다른 것을 보았을 때는 심한 반감과 긴장감을 갖게된다. 이 문제는 어린 사람이 윗 어른과 함께 동료의식을 갖고 일하기 어려운 한국적 사회구조 때문에 더 심하게 긴장감을 주는 경험인지도 모른다. 선배 간호원의 전문인으로서의 권위와 어린이 환자 보호자의 어른으로서의 권위 사이에서 자신의 이상과 가치의 추구는 용이하지 않으며 내적 갈등은 어쩔수 없는 일 일 것이다. 6. 대부분 높은 백분율의 긴장 반응은 죽음이나 환자의 사망에 관련된 간호활동 항목에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대상 학생들은 2, 3학년에서 죽음에 대한 강의를 들었지만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충분한 학습 경험이 주어진 것 같지 않다. 어떠한 경우의 죽음에라도 어린이 환자나 그 보호자들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반응을 잘 관찰해서 적절한 간호를 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학습 경험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7. 학생들의 긴장도가 어린이 간호에 더 심한가, 보호자 간호에 더 심한가를 알기 위한 비교 결과는 비교적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8.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의 긴장도는 과거의 병실 실습기간의 장, 단이나 가정에서의 어린인 간호의 경험과는 별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의 대상자가 적기 때문에 단정을 하기는 힘이 들지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이 다른 병실의 실습과는 분리되어서 완전히 다르게 다루어 져야만 하며 간호교육자들의 주의 깊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실습교육이 라 하겠다. 이상의 전반적인 고찰에 의하면 한국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다. 문화배경의 다른 점은 무시하고라도 Davis와 Oleson이 결론한 바와 같이 "간호대 학생은 어디를 막론하고 다 같은 성격과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연구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제언한다. 1. 보다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교육 방법을 가진 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 2. 학생들이 실습 전 선입견이나 이미 들어서 생긴 긴장감의 개입 여부를 밝힐 수 있는 연구. 3. 학생 개인의 과거 경침이 긴장감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위한 연구 4. 이 연구의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종단적 연구. 5. 이 연구에서 나타난 긴장감이 학습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관찰적 연구. 이 연구를 위해 많은 도움을 주셨던 보스턴대학의 Dr. Kennedy와 연세대학의 여러 선생님께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 PDF

The ethics of integrity (자아 통합성의 윤리)

  • Lee, Hye-jung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4
    • /
    • pp.319-338
    • /
    • 2017
  • Nowadays, the attention of integrity increases in ethics by concerning about the self and reviving the virtue ethic. It's terminology is diverse because integrity is understood and translated in various dimensions. I am trying to translate integrity into self-integration. Firstly, the reason why is to bring the Latin language of integrity. The Latin language of integrity means an undivided and broken completeness or totality with nothing wanting. Secondly,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related with the morally good life. This integrity is not an integration as a stream of consciousness and a substantial self identity given from an ancient Greek. I resolve a self integration through the unity of a narrative of MacIntyre. MacIntyre's point is like this. Integrity is connected with the unity of character which a self is embedded in character. The unity of character presupposes a self identity, ultimately the integrity of narrative requires the unity of character. But like a beginning and middle and end of a narrative, he says that the concept of self is based on the its unity in the narrative uniting birth and middle and death. This is in the course of life being his/her history and narrative because a self has a sustainability of time embedded in a life from birth to end. That self exists as a subject making its narrative shows being responsible for and responsible for experience and action constructing this narrative. This shows the relation with narrative and temporality. The self of present is talking about the self of past and brings the problem of responsibility by narrating the self of future. Then, who are those person who live life of their integrity. We can talk that comfort women live life of their integrity. Comfort women realized their integrity by narrating and become subject of their history.

The Uncanny of Familiar, yet Foreign Gestures Focused on the Works of Brothers Quay (몸짓의 언캐니 연구 - 퀘이 형제의 작품을 중심으로 -)

  • Ko, Min-Ju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3
    • /
    • pp.55-78
    • /
    • 2013
  • The issues on the representation of digital images, the uncanny is not considered aesthetically but must be overcome. It seems that the future of visual media using digital images, depends on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the digital technology. However, the Brothers Quay regarded as unique and experimental animators, focus their attention towards the past rather than the future. They trace back to the origin of the media, reproducing, manipulating, and representing gestures in oder to restore the shock and thrill delivered in film and animation. The Brothers Quay explore the uncanny of gestures through the mechanism of medium. They work in a wide range of genres, from animation, live action to dance film. The creaking spasms, which create the feeling that the movement does not belong to this world, and the strange gestures, reveals the flicker of the still projection and make audiences recognize gestures in the true meaning of the word. While they animate live actors and dead objects like automata, the hidden desires are revealed over screen.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works of Brothers Quay, I tried to explore the uncanny of gesture based on Freud's and Jentsch' theory of uncanny.

A Study on the Death Consciousness Among Health Care Personnels (죽음의식에 관한 연구 -의.간호계 종사자 및 학생을 중심으로-)

  • 권혜진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10 no.2
    • /
    • pp.21-40
    • /
    • 1980
  • In order to take cue of the dying persons and their survivors in a more positive and affirmative atti-tube. and to understand the valuable meaning of and dying. a survey was performed to 550 cases of health care personnels including 116 nursing students. 238 medical students. 137 nurses. and 59 doctors. Samplings were made through census Procedure from the entire group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in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and of licenced nurses and doctors in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and in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from the first to the end of march. 1980. These collected data were computerized at KIST by SPSS programming an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chi-square test. Through content analysis of the word associated with death and descriptive analysis of the death-re-lated variables. the following conclusion in is reached. First. Total numbers of death-word percieved by health care personnels were 198 kinds. Among them, 40 kinds of words associated with death were responded from than 1% of the total. As to the 10 death related word responded by free word association method. it was revealed that individual average number of death related word was 7.70 word. which came from higher number of words in the senior students (8.96 word) or the graduates (8.10 word) compared with the freshman (6.84 word). Second. In Content specific analysis of the death related word. more frequently perceived types summarized as the following order; the affective context of death. the diseases. the disasters. the religion, the funeral ceremonies. the separation, the drakness. and the life. Third. The most prevalent 10 words associated with death which the the respondents gave response to the the first recalling word. were as following o order; the dieases. the sadness, the vanity. the darkness, the frustration. the suicide. the incurable dieases, the graves. the dead. and the catastrophes. By sex, the diease is outstanding in females, but the vanity is in males. By occupation. the vanity and the dead was frequently observed in student group including senior students. while the incurable dieases presented by doctors. Fourth. In health care personnels. the first perceived ages of death were 11.47 $\pm$3.33 years (8.14- 15.80 years). Among them. senior students were inclined to percept death at the earliest age of life (11.28years). while doctors and nurses perceived death later in their life (12.98 years). Fifth, It is revealed in this survey that the most frequently responded death perceiving motives by health care personnels ar“psychological conflict”and“death of those around them”. Death perceiving motives can be classified in two factors; personality and life circumstances. Sixth It is of interest that only 11.3% health care personnels was found to feel death as inevitable or acceptable event. whereas 58.3% deny or reject it.

  • PDF

Social Readjustment Experience of Military Widows as Single Mothers (순직군인 배우자의 여성한부모로서 사회 재적응 경험)

  • Lee, Yoon-So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1 no.1
    • /
    • pp.81-107
    • /
    • 2009
  •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 the view of resilience, the experience of military widows, whose husbands died while on active military duty and have lived as single mothers for a long time. This study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Phenomenology, especially using Colaizzi's process of data analysis. 99 meaningful sentences, 26 themes, and 10 theme clusters has been categorized from the interview of 9 military widows, who has been participated a self-help group for them. The 10 theme clusters are 'denial and grief over the death of spouse', 'ambivalence over the duty of their husbands', 'acceptance of the helpless fate and arduous fight to live', 'sorrow in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responsibility and endeavoring of parenting', 'self-existential challenge', 'immanent belief system as a military widow'. 'effort to find self-identity in the outer systems', 'wish to reassure their existence', and 'to find the meaning of life after husband's dead'. These their self respect and feeling of honor have become their belief system in their life, which they have raised their children and take their responsibilities with their best effort. The self-help group has helped them to find their self-identity and has sustained emotionally healthy. This group has been also empowering them through their voices being heard to the outside society. They have made an effort which their existence is recognized by the country and the military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ystem to gather opinion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program which may be accepted politically and then applicable and integrated social work service through the social support system and networking.

  • PDF

Grieving among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A Situational Analysis (청소년 소아암 생존자의 슬픔: 상황분석)

  • Jin, Juhye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v.20 no.1
    • /
    • pp.49-5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how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grieve the death of cancer peer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Korean adolescents with cancer between the ages of 13 and 18 (N=12)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face-to-face, telephone, and Internet chatting), observations of the social dynamics of participants in self-help groups, and retrieval of personal Web journal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were used. Clarke's situational analysis was adopted, and this paper focused on presenting "how to" and "what we can learn" from this analytic strategy. Results: Mapping examples were visualized using of three modes of maps. Adolescent cancer survivors coped with reminders of the "darkness" that ultimately featured their overall grief. Additionally, adolescents' encounters and avoidance of grief were triggered by introspection and interactions with family and friends. Conclusion: Situational analysis provided an efficient way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by systematizing possible information within the relational social contexts of the research phenomenon.

The Role of Women in Health Care in Korea (한국 보건의료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44-50
    • /
    • 1984
  • 한국여성은 전통적으로 대가족제도 속에서 육아 및 가사활동에만 종사해왔다. 그러나 산업화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여성들도 교육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가치변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반면에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 함으로서 가족 내에서의 자녀양육을 비롯한 가정적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여성에게 현재의 사회구조와 핵가족 속에서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역할사이에서는 여성은 갈등과 좌절감을 느끼게 되며 이중적인 부담 속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가치관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여성-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족은 부계 중심의 혈연 계승을 중요시하는 가부장적 대가족제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계 계승을 통한 가족의 영속성과 가 중심사상에 기반을 둔 철저한 가족주의적 가치관이 전통적 사회를 지배하여 왔다. 그러므로 자연히 개인보다 가족집단이 우의적인 지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행동의 결정에도 중요한 준거 집단이 되었다. 이러한 가의 영속 및 번영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녀를 필요로 했으며 부계중심 가족에서 자연히 남아 선호사상이 강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것은 조상에 대한 의무요 책임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가부장권의 확대에 반비례해서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축소되어갔다. 여성들의 절대적인 예속을 필요로 하여 삼종지도니 칠거지악이니 불경이부등의 도덕률을 만들었으며 여성들 스스로가 이러한 정절과 복종을 미덕으로 생각하도록 교육받음으로서 여성들 자신이 자기희생의 굴레 속에서 인내와 복종의 생활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남편과 자식을 위해서는 목숨까지도 희생하게끔 철저히 사회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가족 제도 안에서의 남녀의 지위는 동위 항렬 내에서만 해당되고 항렬을 달리할 때는 삼종지도의 이론에 부합된다. 어머니로서의 존장련이 인정되어서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종속적인 지위에 비하여 모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상례와 제례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의식에는 차이가 없으며 내외 명부제도에 의해서 부인도 남편과 똑같은 대우를 받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존장련에 의한 모의 권리와 더불어 부부유별에 의해서 가사권의 독자적인 결정권도 인정되고 있었다.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 전통적으로 건강관리에 관련된 한국여성의 역할은 1. 씨받이로서의 역할로 생명을 잉태하도록 돕고 건강한 아이의 수태를 위해 태교에 힘썼으며 2. 자녀의 의식주를 해결하는 가사 역할만을 담당하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며 출산한 생명을 건강하게 자라도록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였으나 체계적인 건강관리는 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으나 정서, 사회면은 도외시 한 과잉보호현상이었다. 3. 결혼 후에는 남편의 건강관리를 위해 철저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고 정서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유념하였다. 4. 또한, 임종시 평안한 죽음을 맞도록 도왔다. 전통적으로 한국여성의 역할은 돕는 역할이었다.

  • PDF

Rothko's Painting-Image and the Expansion of the Real: Lacan, Zizek, and Wilber (로스코의 회화이미지와 실재의 확장 : 라깡, 지젝, 그리고 윌버)

  • Bae, Chul-young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17
    • /
    • pp.85-111
    • /
    • 2011
  • Topics with which chis paper deals are as following; (1)Zizek's interpretation of Rothko's painting, (2)Lacan's gaze and picture, (3)the real as object a, (4)primal jouissance and death-drive, (5)a new identity of man-emptiness in Zizek, (6) existential level and existential conflict, (7)a variety of meanings of emptiness, (8)transpecsonal drive and meditation, (9) the different Real-Emptiness, (10)Rochko's painting and transpersonal drive.

A study on the cognition of 'the day of the Dead' as a culture code (문화코드로서 '죽은 자들의 날' 인식 연구)

  • Park, Chongwook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JIAS)
    • /
    • v.14 no.4
    • /
    • pp.53-78
    • /
    • 2011
  • The day of the Dead, so called as 'El día de los muertos' in Mexico is the traditional festival of the mexicans. There is no doubt that the origin of the festival traces back to the times of the people of Azteca before the Invasion of the spanish soldiers into the land of the soldiers of Teotihuacán. The festival rituals of the Azteca are the same as the catholic rituals in converging the actual characteristics and the cultural structure of the Festival. Therefore the hybridity of the Festival has been considered as high value worthy to be conserved and named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by the UNESCO. This investigation has been realized through the survey of questionnaire to get some practical informations and data on how the mexicans think of the Festival and enjoy it according to the diversity of the believes, sexes, locations, ages, etc. We could reveal that the absolute majority of the mexicans consider the Festival as very positive. Even though the sexes, educations, ages can't be elements to make the differences in conforming the common think of the day of the Dead, believes and locations where the people do live are the most sensitive elements that influence upon the ways of thinking. The protestants think negatively while the catholics do reflect the average opinion of the mexicans who consider the Festival as a good and positive tradition. The people of the city participate less than the people of the provinces. Conclusively the day of the Dead can be considered as a national symbol of the people of Mexico.

Predictability of Impending Events for Death within 48 Hours in Terminal Cancer Patients (말기암환자에서 임박사건 간 48시간 임종예측도 비교)

  • Hwang, In-Cheol;Choi, Chung-Hyun;Kim, Kyoung-Kon;Lee, Kyoung-Shik;Suh, Heuy-Sun;Shim, Jae-Yong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4 no.1
    • /
    • pp.28-33
    • /
    • 2011
  • Purpose: Recognition of impending death is crucial not only for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the caregiver of the patient, but also determination of the time to refer to a separate room. Current studies simply list the events 'that have already occurred' around 48 hours before the death.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dictability of each event by comparing the time length from 'change' to death. Methods: Subjects included 160 patients who passed away in a palliative care unit in Incheon. The analysis was limited to 80 patients who had medical records for the last week of their lives. We determined 9 symptoms and 8 signs, and established the standard of 'significant change' of each event before death. Results: The most common symptom was increased sleeping (53.8%) and the most common sign was decreased blood pressure (BP) (87.5%). The mean time to death within 48 hours was 46.8% in the case of resting dyspnea, 13.6% in the ease of low oxygen saturation, and 36.9% in the case of decreased BP. The symptom(s) which had the highest positive predictive value (PV) for death within 48 hours was shown to be resting dyspnea (83%), whereas the combination of resting dyspnea and confusion/delirium (65%) had the highest negative PV. As for the most common signs before death within 48 hours, the positive PVs were more than 95%, and the negative PV was the highest when decreased BP and low oxygen saturation were combined. The difference in survival patterns between symptoms and signs was significant. Conclusion: The most reliable symptoms to predict the impending death are resting dyspnea and confusion/delirium, and decline of oxygen saturation and BP are the reliable signs to predict the ev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