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thics of integrity

자아 통합성의 윤리

  • Received : 2017.07.15
  • Accepted : 2017.11.24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Nowadays, the attention of integrity increases in ethics by concerning about the self and reviving the virtue ethic. It's terminology is diverse because integrity is understood and translated in various dimensions. I am trying to translate integrity into self-integration. Firstly, the reason why is to bring the Latin language of integrity. The Latin language of integrity means an undivided and broken completeness or totality with nothing wanting. Secondly,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related with the morally good life. This integrity is not an integration as a stream of consciousness and a substantial self identity given from an ancient Greek. I resolve a self integration through the unity of a narrative of MacIntyre. MacIntyre's point is like this. Integrity is connected with the unity of character which a self is embedded in character. The unity of character presupposes a self identity, ultimately the integrity of narrative requires the unity of character. But like a beginning and middle and end of a narrative, he says that the concept of self is based on the its unity in the narrative uniting birth and middle and death. This is in the course of life being his/her history and narrative because a self has a sustainability of time embedded in a life from birth to end. That self exists as a subject making its narrative shows being responsible for and responsible for experience and action constructing this narrative. This shows the relation with narrative and temporality. The self of present is talking about the self of past and brings the problem of responsibility by narrating the self of future. Then, who are those person who live life of their integrity. We can talk that comfort women live life of their integrity. Comfort women realized their integrity by narrating and become subject of their history.

오늘날 자아에 대한 높은 관심과 덕 윤리의 부활로 윤리학계에서는 자연스럽게 integrity에 관심이 모아진다. 그런데 integrity는 학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층위에서 이해되고 번역되고 있기 때문에 번역 용어 또한 다양하다. 필자는 integrity를 자아 통합성으로 번역한다. 그 이유는 첫째, integrity의 라틴어 어원을 살리기 위해서이다. 그 어원의 의미는 전체가 분리되거나 변질되지 않는 흠 없이 잘 돌아가는 통합된 상태를 말한다. 둘째, 그것이 도덕적으로 좋은 삶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통합성이라는 말은 의식의 흐름으로서의 통합성이 아니며, 더욱이 고대 그리스로부터 전제되어진 실체적 자아 동일성으로서의 통합성도 아니다. 필자는 자아통일성을 매킨타이어의 이야기의 통일성을 통해서 논의를 풀어나간다. 매킨타이어의 핵심적 주장은 자아는 성격에 깃들어 있기 때문에 자아 통합성을 성격의 통일성과 연결되며, 성격의 통일성은 자아 동일성을 전제하는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이야기의 통합성은 그 성격의 통일성을 요구한다. 그런데 그는 자아의 개념은 이야기의 시작과 중반과 종말과 같이, 탄생과 삶과 죽음을 결합시키는 이야기의 통일성 속에 자신의 통일성의 기반을 두고 있다고 말한다. 자아는 탄생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삶 속에 침전된 시간의 지속성이 있기 때문에 그것이 그의 역사가 되고 이야기가 되는 삶의 과정 속에 있다. 자아가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주체로서 존재한다는 것은 이 이야기들을 구성하는 경험과 행위에 책임을 진다는 것과 책임을 묻는 존재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것은 이야기와 시간성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현재의 자아는 과거의 자아를 이야기하고 또한 미래의 자아로 앞서 달려가 이야기함으로써 책임의 문제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우리는 시간성 안에서만 삶의 통일성, 설화적 통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책임을 질수 있고 물을 수 있는 존재가 된다. 그런데 그러한 자아 통합성의 삶을 사는 사람은 누구인가? 우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통해서 자아 통합성의 삶을 이해할 수 있다. 할머니들은 이야기를 통해서 역사의 주체가 되며, 그럼으로써 자신의 자아 통합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