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택형태

Search Result 44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아파트 거주자의 변인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 -부동산 관련 창업자를 위한 소비자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 Jin, Seon-Ji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0a
    • /
    • pp.81-108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거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거형태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에 차이, 그리고 주거환경 만족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 500명을 대상으로 2009년 9월 1일부터 2009년 9월 20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 Multiple Ranger's Test 등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만족도는 중간이상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사회환경 중 단지질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거주자 변인에 따른 시설환경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거주자 변인에 따른 근린, 사회환경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주거환경 만족도 변수상호간에는 주택환경 만족도와 단지 내 환경 만족도, 단지 내 환경 만족도와 관리상태 만족도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Plug using Sensor Networks in Smart House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첨단주택의 스마트 플러그 설계 및 구현)

  • Lee, Min-Goo;Park, Yong-Guk;Jung, Kyung-Kwon;Yoo, Jun-Jae;Sung, Ha-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412-415
    • /
    • 2010
  • 첨단 주택에서 가전기기의 에너지 소모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플러그를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전기 콘센트 형태로, 매 초마다 홀센서를 지나가는 전류량을 측정하여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에 전송한다. 홈 게이트웨이는 전송된 데이터를 전력량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전력량을 표시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시스템은 에너지 소모와 사용을 관리함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ypes and Problems of Defect lawsuit on Apartment Buildings (공동주택 하자소송의 발생형태 및 문제점에 관한 분석연구)

  • Seo, Deok-Seok;Um, Sang-Kweon
    • KIEAE Journal
    • /
    • v.7 no.6
    • /
    • pp.127-132
    • /
    • 2007
  • Recently, the cases of lawsuit are growing on residential defects. Though, mostly residential construction companies are trying to mitigate resident's dissatisfaction due to keep the company's brand image by operating customer service team, some representatives of apartment buildings initiate litigations without any negotiation with countrepartner companys incited by planned suit lawyers. But lawsuit takes longtime to sentence(about more than one year), and judged amount of money are very few (averaging about 14%) compared with asserted amount of it. To suggest the improving alternatives, the types and problems of defect lawsuit on apartment complex are analyzed.

Data Mining for Water Supply Forecasting (물 공급량 예측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

  • Shin, Gang-Wook;Kim, Youn-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10a
    • /
    • pp.233-23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물 공급량 예측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 적용에 있어서 데이터 마이닝의 효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물 공급분야에 있어서, 물 이용 지역의 특성에 따라 공급량과 이용 시간이 매우 상이한 특성을 나타낸다. 물 이용 지역은 주택지역, 상업지역, 산업단지지역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 이용 시간의 상이함에 따른 물 공급패턴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특히, 주택지역과 상업지역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물 이용 단위인 블록 단위에서의 물 특성이 불규칙적인 패턴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 블록 단위 특성에 적합한 물 이용량을 예측하여 효율적 물 공급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 이용량 데이터 중 이상 데이타 감지와 이상 데이터 보정을 통하여 물 이용량 예측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블록 단위의 물 이용량에 대한 원시데이타의 효율적인 데이터 마이닝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 공급지역의 특성에 따른 물 공급 패턴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제시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은 딥러닝 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적합성을 검증하고, 이를 물 공급량 예측알고리즘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rediction for Future Housing using Delphi Technique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미래주거예측)

  • An, Se-Yun;Ju, Hannah;Kim, So-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3
    • /
    • pp.209-22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dict the future changes of housing through the Delphi technique. The targets to predict were set by housing type, housing space, housing demand, and architectural techn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① The influences of social and value perspectives on the change of housing type, space, and demand would be high, on the other hands, the influence of political perspective would be low. ② In terms of housing type, the increase in demand for downsizing housing for high-rise buildings and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remote medical support services and homecare using big data are highly predicted. That is, ③ it is anticipated that IoTs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s on future housing changes, and ④ enactment of co-housing and related laws by the sharing economy, services for maintenance through the supply of high-rise and high-density homes, housing support for residents, and advanced lease markets by developed architectural technology are expected as anticipated forms of future housing.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Tenure and Birth in Newlywed Couples by Using Panel Data (패널자료를 이용한 신혼가구의 주택점유형태와 출산 관계 연구)

  • Shin, Hyungsub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3
    • /
    • pp.39-55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ousing tenure and childbirth by exploiting the correlation probability effect method that accounts for household heterogeneity. Using the newlywed household panel from 2011 to 2022, we find that home own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childbirth in newlyweds. Specifically, newlywed households with housing tenure show a 6.2%p higher birth rate and a 5.7%p higher second childbirth than newlywed households living in rented houses. For the case of first childbirth, we employ the probability effect probit model since the endogeneity was not detected between housing tenure and birth rate. We document the differential effects of housing tenure on childbirth in that the first childbirth rate is higher for households without housing tenures. The negative effects on first childbirth could be attributed to the economic burden due to initial housing ownership, while housing tenure could eventually provide housing stability, leading to positive effects on more than one childbirth. Finally, we identify that households with childbirth over the last year show a 4.2%p and 3.9%p lower probabilities of housing tenure in the total sample and second childbirth sample,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the increased living cost due to childbirth could delay home ownership.

Residential Independence of Youth and Policy Implications (청년의 주거독립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

  • Yoonhye Jung;Jinuk Su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2
    • /
    • pp.39-56
    • /
    • 2024
  • This study addressed housing issues among various social problems of youth. With a focus on residential independenc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lead youth to achieve residential independence. This study drew on nationwide data from the 'Youth Life Survey (2022)' with a sample size of 12,578.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 being residential independence. Key factors were as follows. The probability of residential independence was higher for men than women. Residential independence occurred mainly in non-metropolitan areas compared to metropolitan areas. Findings revealed that greater age, income, and assets facilitate achieving residential independence. In addition, public transport and cultural facilities were important for their residential independence, and it was found that the previous experience of residential independence had a positive effect.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t is required to consider the heterogeneity and diversity of youth rather than implementing unitary policies. To ensure continuity and sustainability of self-reliance, long-term support programs are needed rather than temporary support. Moreover, it is required to offer public support comprehensively, instead of youth relying on support from personal networks, including their parents. An inclusive housing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ort youth for their residential independence in the future.

Analyzing the Impact for Housing Occupied Form of HouseNomad ('하우스노마드족'의 주거점유형태에 미치는 요인 분석)

  • Yun, Jin-Young;Oh, Jongry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1
    • /
    • pp.955-963
    • /
    • 2014
  • According to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2010", announc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House Nomad group" was increased by more than 70% compared to 2005. Emergence of House Nomad tribe about the cause of the increase of influence and House Nomad tribe give the housing market, but prior to the discussion often, there is no place that still it became clearly evident in th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looking for the emergence and increasing cause of House Nomad group in terms of consumption behavior of the house. For this reason, We use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1% of the data 2010. and Multinomial Logit Models., is a useful method that can be utilized when there is no rank and order the consumer choi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House Nomad group was found to be higher probability of living place and g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that has been expressed in the properties of the housing. Also appeared to have a relatively longer time commuting. And that residential mobility is high.

Evaluating Spatiality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Building Site ("대" 지목에 의거한 온실가스 분포의 공간성 평가)

  • Kim, Jun-Hyun;Um, Ju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94-102
    • /
    • 2010
  • These days the land category is the most specific basis of legal for land use or land use form that is determined by the main use of land. Even if same land building site, it is used very various like a detached house, a row house, a multiplex house, a villa, an apartment, a mixed-use Apartments, commercial building, fallow land etc. There is a need of variety analysis in order to apply greenhouse gas emission or statistics assessment for standard of class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carbon dioxide by for different government agencies of maps by land use time, season, elevation, space, area of floating population. As a result, The emission characteristic was high l.78 times, on average of l.35 times in winter compared with summer, when the temperatures increased 11C, the carbon dioxide is 22ppm high in the afternoon, A commercial building is high 4.04 times compare with detached house.

  • PDF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the Elderly Housing in Korea : In Reference to the Comparison of Research Trends Among Korea , Japan and the U.S.A.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 - 한국과 일본, 미국의 연구 경향 비교를 중심으로 -)

  • 최정신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7 no.2
    • /
    • pp.45-56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장래에 이루어질 노인주거연구의 주제를 예측할 수 있도록 일본, 미국,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의 차이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세나라에서 1940년대부터 1990년대 현대까지 발표된 노인주거연구에 대한 학술지와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세 나라에서 전체 772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이를 발표된 연도와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과 미국의 연구 경향의 특징을 별도로 발표한 후속 연구이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에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80년대 후반에 절정을 이루었으며, 그 이후로 서서히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에서의 주요 주제는 노인홈과 노인시설내의 주 생활조사, 3대 동거 주택, 유료노인홈과 노인시설의 소비자 문제등이다. 미국의 경우, 노인주거의 연구는 일본보다 빠른 1940년대에 시작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서 다른 때보다 더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주요주제는 1970년대부터 80년대에는 노인주거와 노인시설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80년대 이후에 노인주거의 연구방법과 노인주택정책방향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한국에서의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는 세나라 중에서 가장 늦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80년대 후반 이래로 그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연구대상의 하나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기혼자녀와 노부모와의 동거주택에 대한 주제이다. 이상 세나라의 연구주제에서의 차이점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모두 노인주거와 연구방법 분야에는 비교적 관심이 적은 반면, 미국에서는 3대동거주택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이다. 일본과 미국 두나라에 비하여 한국에서는 노인주거 연구에 있어서 아직까지 다양한 주제를 발견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한국에서는 노인주거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아서 노인주거에 대한 경험도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한국에서도 노인주거가 개발된다면 그 후에는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된다. 예를 들면 노인거주시설의 질적인 비교, 특수한 형태의 노인주거에 대한 요구, 노인주거내의 주생활조사나 평가, 노인을 위한 설비의 디자인 등에 관한 연구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