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화함수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8초

구면 스레피안 함수로 표현된 지각 자기이상값과 구배 성분 (Spherical Slepian Harmonic Expression of the Crustal Magnetic Vector and Its Gradient Components)

  • 김형래
    • 자원환경지질
    • /
    • 제49권4호
    • /
    • pp.269-280
    • /
    • 2016
  • 지역에 최적화된 스레피안 구면함수(spherical Slepian function)를 활용하여 남극을 중심으로 반경 $20^{\circ}$ 범위의 지역에 지각 자기이상의 3개의 방향 성분과 6개의 구배성분들을 표현하였다. 2013년 11월 유럽 항공 우주국이 발사한 3개의 자력 위성인 Swarm은 궤도 전개를 통해 동서 방향의 구배값은 물론 남북 및 수직방향의 구배값을 얻을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이미 발사된 여러 중력위성들(i.e., GRACE and GOCE) 역시 이러한 구배값을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중력 이상값 및 지표에서의 시간에 따른 중력변화 연구등을 수행해 왔으나 자력 위성자료를 통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한편 지역화 모델링은 관심 지역 또는 자료 분포의 제한인 지역인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전지구 모델보다 효율적인 연산이 가능하여 위성자료로부터 고해상도의 지각 자기이상값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기존의 전지구 구면조화함수의 선형 결합으로 이루어진 기저함수들은 서로 직교성(orthogonality)이 유지되므로 스레피안 구면함수의 계수를 전지구 구면조화함수의 계수로 변환이 가능하여 스펙트럼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Swarm 위성자료의 구배 성분을 이용한 지역화 모델링 방법은 앞으로 많은 활용이 기대되며 여기서는 Swarm 위성자료로부터 얻어진 지각 자기이상값의 전지구 조화함수 계수 모델을 사용하여 자기이상의 방향성분과 구배성분을 유도하고 이를 스레피안 구면 조화함수에 적용하여 관심지역인 남극지역의 방향 성분과 구배 성분을 표현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토의 하고자 한다.

조화사상의 최근 발달에 대하여 (A Note on Recent Developments in Harmonic Maps)

  • 박기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5-92
    • /
    • 2005
  • 본 연구는 변분법과 조화사상 사이에 잘 알려진 내용을 개관하고, 조화사상의 성질 및 발전 과정을 정리하고, 구면 위의 라플라스 작용소의 기본 성질을 정리하고, 구면 사이의 고유함수 사상을 구성하기 위하여 스펙트럼과 고유함수를 계산하였다.

  • PDF

조화함수법을 이용한 주기 비선형 시스템의 Chaos 해석 (Chaos analysis for the periodic nonlinear system using harmonic balance method)

  • Kim, Y.B.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75-85
    • /
    • 1994
  • 주기함수의 외력을 갖는 버선형 시스템의 다양한 응답 특성을 구하기 위해 새로운 조화함수법(HBM)을 적용하였다. 새로운 조화함수법의 해는 비선형항을 선형항으로부터 따로 분리시킨 다음 같은 주파수 성분을 갖는 비선형 방정식들을 Newton-Raphosn법으로 풀어서 구하였다. 다양한 천이(Bifurcation) 특성을 해석적으로 판별하기 위하여 HBM의 해를 이용하여 구한 섭동 방정식의 Floquet 지수의 고유해를 사용하였다. 새로이 개발한 HBM과 천이 판별법을 1차원 비선형항을 갖는 구조물인 ALP(Articulated Loading Platform) 모델과 다차원인 비선 형 회전체 모델에 적용시켜 HBM의 해의 정확성과 이들 시스템의 천이 특성의 하나인 Chaos 존재를 확인 하였다.

  • PDF

유한대판법에 의한 복합적층절판의 해석 (FINITE STRIP ANALYSIS OF FOLDED LAMINATED COMPOSITE PLATES)

  • 윤석호;한성천;장석윤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41-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로 구성된 구조물로서 박스거더와 같이 임의의 각도로 연결된 절판을 유한대판법으로 해석하였다. 각 적층판의 강성으로부터 적분에 의하여 판두께 방향의 전체 강성을 구하고 최소 포텐샬 에너지 이론으로부터 구한 평형방정식에 대입하여 전체 강성매트릭스를 구하였다. 슬래브나 박스거더의 변위 함수는 횡 방향의 Hermite 다항식과 종 방향의 조화함수의 결합으로 가정하였다. 종 방향 조화함수는 단부의 경계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사용하였다. 해석시간의 단축 및 모델링이 쉽다는 장점을 가진 유한대판법은 복합적층 재료로 구성된 박스거더와 같은 절판해석의 경우에도 매우 정확한 해를 얻을 수 있다.

  • PDF

국소적 조화함수를 사용한 원통좌표계에서의 유동 해석 (Method of Numerical Simulation by Using the Local Harmonic Functions in the Cylindrical Coordinates)

  • 서용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1권3호
    • /
    • pp.300-305
    • /
    • 2007
  • Many practical flow problems are defined with the circular boundary. Fluid flows within a circular boundary are however susceptible to a singularity problem when the cylindrical coordinates are employed. To remove this singularity a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which uses the local harmonic functions in discretization of derivatives as well as interpol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basic reason for introducing the harmonic functions and the overall numerical methods. The numerical methods are evaluated in terms of the accuracy and the stability. The Lamb-dipole flow is selected as a test flow. We will see that the harmonic-function method indeed gives more accurate solutions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in which the polynomial functions are utilized.

초 고차항 구 조화 중력모델링에 의한 상향 연속의 정확도 검증 (Accuracy Assessment of the Upward Continuation using the Gravity Model from Ultra-high Degree Spherical Harmonics)

  • 권재현;이종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3-191
    • /
    • 2006
  • 최대 차수 10800의 초 고차 구 조화함수를 전개하여 중력을 모델링 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향 연속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초 고차 구조화 함수에 의한 중력 모델링에 있어 수치계산적 난점인 르장드르 함수의 언더플로와 오버플로를 128 비트 연산에 의하여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지오이드상의 중력이상값을 공간 상도 $1'{\times}1'$ 으로 계산하였다. 생성된 중력이상값에 다양한 크기의 잡음을 첨가하고 자료의 간격을 달리하여 상향연속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도출된 중력 섭동 벡터와 중력 모델로부터 직접 계산된 섭동 벡터와의 비교를 통하여 실제적인 상향연속의 정확도를 할당하였다. 상향연속 방법의 비교에 있어, 직접방법이 포아송 방법에 비해 월등히 좋은 정확도를 보였고, 지상 중력자료의 잡음이 적을수록 또한 자료의 간격이 작을수록 상향연속에 의한 중력 섭동벡터의 정확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차세대 관성항법장치의 정밀 항법을 위한 중력의 필요조건인 5mGal의 정확도를 위해선, 지상 중력의 잡음 정도가 5mGal 이하, 자료의 간격이 2arcmin 이하이어야 함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