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학습

검색결과 791건 처리시간 0.027초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of Police Officials)

  • 박창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381-384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민간부문에서 선행되어진 조직학습에 관한 연구들을 고찰하여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에 대한 전략모형을 정립하고 그 실천적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조직학습은 개인이나 조직 내 특정집단이 자신이나 다른 조직으로부터 지식창출, 지식공유, 지식저장, 지시 폐기하는 순환과정을 통해서 일어난다고 하였다. 특히 경찰조직에서의 조직학습은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변동대응능력 확보와 경찰조직의 내적인 성장발전능력을 재고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학습조직의 영향요인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한진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3-108
    • /
    • 2006
  • 본 연구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생존과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습조직을 통한 조직유효성의 증대를 추구하기 위해 학습조직의 선행요인으로 조직문화를 선정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습조직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게 나타났는데, 조직학습을 통한 학습조직수준의 향상으로 축적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둘째, 학습조직수준향상에 조직문화 중 변화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관계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조직학습을 통한 학습조직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변화지향 문화와 과업지향문화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새로운 조직으로의 조직변화가 있을 때 조직유효성이 크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 PDF

시큐리티 종사자의 조직학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ecurity Oractitioners' Organizational Learnin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s)

  • 김평수;이광렬;이영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10호
    • /
    • pp.79-102
    • /
    • 2005
  • 시큐리티 종사자는 많은 고객의 욕구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하며, 갖고 있는 전문지식도 고객의 욕구에 따라 적절히 활용되어야 한다. 특히, 현대사회는 안전보호에 대한 욕구의 급상승에 따른 치안 수요가 급격히 증가되고, 또 고객이 요구하는 업무들도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에서, 이제 시큐리티 종사자는 업무처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자질과 능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시큐리티 종사자의 조직학습과 조직성과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연구변수인 조직학습과 조직성과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시큐리티 종사자들의 조직학습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직학습수준이 높을수록 조직만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큐리티 종사자들의 조직학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도 조직에서의 조직학습문화의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학습은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큐리티 종사자들의 조직학습과 조직성과의 제고를 위한 시큐리티 조직 발전과 쇄신이 필요하다.

  • PDF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와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Corporate Support in Learning on Individual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Organizational Learning)

  • 김지영;장원섭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133-156
    • /
    • 2010
  • 이 논문은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와 조직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기업에서의 학습지원과 개인의 학습참여가 조직학습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과 연세대학교가 공동으로 실시한 '대졸 청년층 직장생활 적응능력 향상 연구'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서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에서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의 지원여부는 개인의 형식학습 참여와 공식적 관계학습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업의 학습지원과 개인의 학습참여는 조직학습의 각 요소(수용력, 조직기억, 학습능력, 환경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조직 혁신과 학습조직이론 (Innovation in Library Organization and the Principle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 홍현진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8년도 제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7-150
    • /
    • 1998
  • 환경의 급격한 변화속에서 혁신할 수 있는 조직의 능력이란 조직의 생존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총체적인 혁신전략으로서 각광 받고 있는 학습조직이론을 도서관조직의 새로운 혁신기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학습조직의 개념정립과 학습조직 등장의 시대적 배경, 그리고 학습조직의 구축요소와 구축단계와 함께 최근의 학술도서관의 재조직 경향과 학습조직이론간의 관련성에 대해 논하고 있다. 단, 본 연구는 앞으로 전개될 경험적 연구의 기초로서 개념의 변별 타당도 확보 차원의 이론 연구라고 할 수 있으면, 앞으로 다양한 학습조직 구축방법 등을 활용하여 실제로 도서관들을 진단하고 이들을 학습조직으로 전환시키는 사례연구들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

학습조직의 영향요인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한진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42-49
    • /
    • 2006
  • 본 연구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생존과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조직에 대한 연구로 학습조직을 향상하기 위한 학습조직의 선행요인으로 조직문화를 선정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습조직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게 나타났는데, 조직학습을 통한 학습조직수준의 향상으로 축적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둘째, 학습조직수준향상에 조직문화 중 변화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관계지향 문화, 위계지향문화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조직학습을 통한 학습조직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변화지향 문화와 과업지향문화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새로운 조직으로의 조직변화가 있을 때 조직유효성이 크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 PDF

평생학습사회를 위한 학습조직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Learning Organization for Learning Society)

  • 박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114-122
    • /
    • 2007
  •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 지향의 한 방법으로 기업에서의 학습조직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학습조직을 위해 어떤 구성요소를 가져야 하며, 어떤 단계를 마련하여 학습조직을 구축해야 하는지 등에 관하여 논하였으며 이는 향후 학습조직을 도입하고 실행하려는 조직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올바른 학습조직의 구축은 조직의 환경대응역량과 성공의 길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역량개발, 적응력 향상, 행동역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국가 사회적으로는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전 과정을 통해 학습조직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전 사회적으로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는 기초가 되리라 확신한다.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조직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효과 : Senge모형을 중심으로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ocused on Senge Model)

  • 강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65-673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조직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조직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습조직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비교적 가장 명확히 제시하고 있는 Senge(1990)의 학습조직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조직을 공유된 비전, 개인적 숙련, 팀 학습 및 시스템 사고로 구성하였고, 민간분야 사회복지사 342명의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의 학습조직 수준은 평균값 이상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관분석 결과 학습조직은 조직몰입과는 정(+)의, 이직의사와는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공유된 비전, 개인적 숙련 및 팀 학습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유된 비전과 팀 학습은 또한 이직의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학습조직 구축수준이 학습조직화 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on Satisfaction of Learning Organization Support Project)

  • 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1호
    • /
    • pp.51-57
    • /
    • 2016
  • 본 연구는 학습조직화 사업에서 학습조직 구축수준이 학습조직화 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강한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조직 구축수준이 학습조직화 사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p<.001, ${\beta}=.652$)을 미쳤으며 세부 요인별로 자아완성은 지식창출과 이전 및 재무적 성과에, 시스템사고와 팀학습은 학습인프라 구축에, 비전공유는 학습문화 및 활동 팀워크 및 네트워킹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상사의 강한 리더십에 따라 학습조직 구축수준의 팀학습 요인이 학습조직화 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조직 구축수준이 학습조직화 사업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학습이론과 실제 사업성과를 연결시켜 인과관계를 분석했으며 성공적인 학습조직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 데 그 의의가 있다.

수출기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The Impacts of self-directed learning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 오주연;최병우;김형기
    • 통상정보연구
    • /
    • 제15권1호
    • /
    • pp.207-2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경쟁시대의 기업성과향상을 위하여 수출기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집권화와 분권화된 조직문화특성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학습능력 변수 중 학습의 책임수용성 변인만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권화의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학습의 책임성 수용(t=-1.934, p<0.01), 학습자적 신념(t=-1.820, p<0.001), 미래지향성(t=2.249, p<0.001) 변인들과 조직몰입 관계에 집권화가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래지향성(t=-1.645, p<0.01) 변인과 조직몰입 관계에 분권화가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학습자 개인적차원과 조직적 차원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지원 및 분위기 조성이 전제 되어야 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수출기업에서 다시 재확인하였으며, 지식정보사회에서 조직의 역량과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관료제적 계층조직에서 유기적 학습조직으로 적극 변화되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