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s of self-directed learning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수출기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 Oh, Ju-Yeon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ha University) ;
  • Choi, Byung-Woo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nkuk University) ;
  • Kim, Hyung-Gi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ha University)
  • Received : 2013.03.03
  • Accepted : 2013.03.23
  • Published : 2013.03.27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it verified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centralization, decentralization) in the era of global compet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self-directed learning(acceptance of responsibility for learning)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2) centralization moder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acceptance of responsibility for learning, self-confidence as a learner, future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3) decentralization moder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future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of findings for both theory and practice.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경쟁시대의 기업성과향상을 위하여 수출기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집권화와 분권화된 조직문화특성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학습능력 변수 중 학습의 책임수용성 변인만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권화의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학습의 책임성 수용(t=-1.934, p<0.01), 학습자적 신념(t=-1.820, p<0.001), 미래지향성(t=2.249, p<0.001) 변인들과 조직몰입 관계에 집권화가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래지향성(t=-1.645, p<0.01) 변인과 조직몰입 관계에 분권화가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학습자 개인적차원과 조직적 차원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지원 및 분위기 조성이 전제 되어야 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수출기업에서 다시 재확인하였으며, 지식정보사회에서 조직의 역량과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관료제적 계층조직에서 유기적 학습조직으로 적극 변화되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