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경력개발지원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1초

경력만족의 선행변인으로서의 조직공정성: 통합적 문헌연구를 통한 개념적 모델 도출 (Organizational Justice as the Antecedent of Career Satisfaction: Building a Conceptual Model from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 오정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915-929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통합적 문헌연구를 통해 경력만족의 선행변인으로서의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에 관해서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경력개발을 위한 조직지원(조직의 스폰서십)이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의 관계에서 잠재적인 매개변수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들에 관한 통합적 문헌조사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과의 관계를 경력개발을 위한 조직지원과 더불어 개념적 모델로서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모델에 의하면 조직공정성은 경력만족의 주요한 선행변인의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며, 경력개발을 위한 조직지원은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직장 내 경력개발의 맥락에서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기여한다. 나아가 이 연구는, 경력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인 매개변수들과 같이, 조직공정성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외식서비스기업종사원의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경력개발지원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the Career Plateau of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 이미정;심지현
    • 서비스연구
    • /
    • 제6권2호
    • /
    • pp.117-131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외식서비스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개인이 지각하는 경력정체를 구조적 정체와 내용적 정체로 구분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경력동기와 조직경력개발지원이 경력정체와 상호작용하면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총 350명의 외식서비스기업종사자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5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종업원이 지각하는 구조적 경력정체와 내용적 경력정체 모두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정체와 이직의도간 관계에서 공식적 지원과 비공식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비공식적 지원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외식서비스 기업 종사원이 지각하는 구조적, 내용적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지만 기업의 비공식적 지원은 이직의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업차원에서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벤처기업 구성원의 경력몰입과 직무태도간의 관계 및 조직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Commitment and Job Attitudes)

  • 이기은;최규현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0
    • /
    • 2005
  • 벤처기업은 위험성이 큰 분야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경력에 많은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 구성원의 경력몰입이 구성원의 행동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개 벤처기업의 구성원으로부터 수거한 설문지 23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력몰입은 구성원의 기술개발노력에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경력변경의도와 이직의도에는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는 경력몰입과 경력변경의도간의 관계 및 경력몰입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나타났다.

  • PDF

유자녀 여성관리자의 경력개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of Married)

  • 구유정;김지영;김이주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91-214
    • /
    • 2018
  • 본 연구는 여성들의 경력개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된 수평적 조직문화와 상사의 지원이 직장만족과 직무효능감을 매개로 경력개발활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자녀 여성관리자를 대상으로 수평적 조직문화와 상사의 지원이 직장만족과 직무효능감을 매개로 이들의 경력개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하는 "여성관리자패널조사" 5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유자녀 여성관리자 총 998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평적 조직문화와 상사의 지원은 직장만족과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효능감은 경력개발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만족과 직무효능감은 수평적 조직문화와 경력개발활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만족과 직무효능감은 상사의 지원과 경력개발활동을 매개했다. 연구결과를 통해 직장 내에서 유자녀 여성관리자들의 경력개발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프로테안 경력, 무경계 경력이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개발 지원정책의 조절 효과 (The effects of protean career and boundaryless career on workers' positive career attitude and future learning readiness: Moderating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policy)

  • 문한나;서요한;이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79-298
    • /
    • 2019
  • 기존 학술적으로 논의되던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에 대한 실증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그 개념도 명확해 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연구 등은 많았지만 두 독립 변인이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프로테안 경력 지향성과 무경계 경력,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를 탐색하였다. 경력관련 변인간 관계를 보면 프로테안 경력은 경력개발정책과 긍정적 경력태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무경계 경력은 긍정적 경력태도와 미래 학습 준비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에서는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미래 학습 준비도와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효과는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을 위한 의도와 학습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경력개발지원 정책을 주관하는 조직내 HRD/HRM 부서의 역할에 따라 근로자의 미래를 위한 학습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경쟁고용 장애인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개인 및 조직특성에 대한 다층분석의 적용 (A Study on the Impacters of the Disabled Worker's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the Competitive Labour Market: Application of the Multi-Level Analysis of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roperties)

  • 권재용;이동영;전병렬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1호
    • /
    • pp.33-66
    • /
    • 2017
  • 본 연구는 일반노동시장에서 근로자의 체계적 경력과정이 개인과 조직 모두의 성공적 성과착근과 창출의 핵심적 요소로 인식함을 전제로, 경쟁고용 장애인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및 조직(기업)의 다차원적 수준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천적 통계적 적확성에 기반 한 자료를 토대로 장애인근로자의 성공적 직업생활을 위한 경력관리의 방향성에 대해 실천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및 충청, 강원도 지역의 48개 기업에 취업중인 장애인근로자 12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개인 및 조직특성 자료를 수집하고, 다층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조직효과를 감안한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걸과, 우선 주관적 경력성공의 총 분산 중 조직특성에 의한 설명이 32.1%로 나타나 조직변수의 중요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와 다층모형적용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의 영향요인으로 개인수준에서는 장애정도, 성장욕구, 자기주도적 경력태도, 가치지향적 경력태도 등이, 조직수준에서는 장애관련 편의제공, 경력지원, 인사지원, 대인지원 등이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어 개인수준의 특성변수에 대한 주관적 경력성공의 영향을 의미 있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조직효과를 감안한 개인요인들의 활성화로 주관적 경력성공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바 장애특성을 반영한 편의지원시스템 구축,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의 적용, 프로티언 경력개발 지원체계구축, 인적 네트워크 구축 지원 등 개인-기업 통합적 실천전략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 결정요인에 대한 다층분석연구 (Multilevel Analysis Study on Determinants of Career Commitment among Social Workers)

  • 전희정;이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90-203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에서 체계적 경력과정이 개인과 조직 모두의 성공적 성과달성의 핵심적 요소라 인식함을 전제로,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차원적 수준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통계적 정확성에 기반 한 자료를 토대로 경력관리의 방향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46개 기관에 78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개인 및 조직특성 자료를 수집하고, 다층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조직효과를 감안한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경력몰입의 총 분산 중 기관특성에 의한 설명이 15.8%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이의 영향요인으로 개인수준에서는 프로티언 경력태도, 성장욕구, 인적 네트워크, 자기효능감이, 조직수준에서는 자격보상제도가 각각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에 조직효과를 감안한 개인요인들의 활성화로 성공적 경력몰입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으로 조직 내 슈퍼비전의 체계화,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의 적용, 전문적 경력개발의 인센티브제공, 학습조직으로의 전환 등 개인-기관 통합적 실천전략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국가기술자격취득자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조사 (The Perception Research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NTQ) Acquisitors)

  • 이연복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47-156
    • /
    • 2010
  • 본 연구는 국가기술자격취득자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을 조사 연구한 것으로 조사결과는 ${\bullet}$ 자격취득자들은 취득한 자격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미래에도 취득한 자격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기를 원하고 있다. 또한, 취득자격등급이 높을수록 취득자격과 동일하거나 관련된 직업을 더욱 선호하고 있었다. ${\bullet}$ 자격취득자들은 자신의 경력개발에 대하여 많은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직장에서 경력개발을 일부라도 지원받고 있는 자격취득자는 45.4%이며 이 또한 교육훈련에 국한되어 있다. ${\bullet}$ 자격취득자들은 기술변화에 민감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이나 지식의 습득, 전문가 집단과의 연계를 원하고 있으며 자신의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상위 자격취득 정보와 교육훈련을 원하고 있다. ${\bullet}$ 이러한 경력개발 및 관리를 체계적으로 제공해 주는 것이 자격취득자 배출기관인 공단의 역할이라고 응답하였다. 끝으로 자격취득자들에 대한 경력개발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일반 기업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경력개발 프로그램에서 조직이 담당하여야 할 부분을 자격취득자 배출기관에서 담당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는 제언으로 본 연구를 마친다.

  • PDF

예비사서의 경력 미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ecedents of Career Indecision for Prospective Librarians)

  • 최정희;최병우;안인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5-283
    • /
    • 2006
  • 본 연구는 예비사서들의 경력 미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수도권 및 충청권 소재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하였다. 외생변수로는 인적특성, 학교 조직적 특성 그리고 제도적 특성으로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인적특성이 경력 미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조직특성 및 제도적 특성은 경력 미결정 수준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는 예비사서로서의 경력 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적 자아정체감 및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개발 프로그램의 개발과 아울러 교과과정, 현장 사서가 갖추어야 할 실무능력, 사서자격제도 개선 등의 학교 조직적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뒤따라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경력역량이동지도(CCMM) 적용사례 연구: K 대학을 중심으로 (An Exploration of Career Competency Mobility Map (CCMM) Focusing on Engineering Students in K University)

  • 박지원;우혜정;노경원;이예지;황성준;김우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95-206
    • /
    • 2019
  • 가속화되는 기술의 진보와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으로 평생직장의 개념은 사라지고,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이 보장되지 않는 경영환경에서 근로자의 경력역량 개발이 중요해지면서 조직 및 국가차원의 다양한 경력역량개발 및 지원을 위한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국가차원에서 근로자의 맞춤형 경력역량 개발을 지원하고자 경력역량이동지도(CCMM) 개념적 모델이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는 경력역량이동지도 개념 모델의 각 단계를 적용해보는 사례연구를 통해 실제 시스템 구현 시고려해야 할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개념 모델에 제시된 절차를 기반으로 수요자 정보수집, NCS기반 경력역량 자가진단 및 훈련 필요역량 도출, 훈련과정 안내 및 직업정보 제공의 연구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전기 전자 정보통신 전공 3, 4학년 학생으로 구성된 참여자들은 11개 직무로 경력이동을 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직무역량보다는 일반역량(소프트스킬)이 경력이동을 위해 더욱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활동을 통해 경력역량 개발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진단 및 훈련필요역량 도출 결과, 참여자별 필요역량에 대한 평균점수는 1.83점~4.52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점수가 3점 미만인 역량을 훈련필요역량으로 도출하였다. 자가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훈련필요역량관련 교육훈련과정, 자격증, 진출가능 직업, 입직 및 경력개발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한 역량개발 안내서를 제공한 결과,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진단 결과가 유의미하고, 진로 및 직업 정보 탐색에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차후 온라인 시스템 상으로 진단하는 체계가 개발된다면 쉽고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