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4차 산업혁명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방안 모색

  • Song, Min-Gyeong;Kim, Seo-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605-618
    • /
    • 2017
  • ICT 기술 융합이 가져오는 초고속과 초융합, 초지능화 시대를 의미하는 제4차 산업혁명으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다. 그리고 그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국가, 기관차원의 전략수립이 치열하다. 그러나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불분명한 기준은 전략수립에 있어서 장애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에 관한 문헌을 토대로 전략수립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다가오는 시대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을 기술 인력 정보 제공자로 분명히 하고, 관련된 민간기업과의 공생을 통하여 제4차 산업혁명의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제4차 산업혁명이 유연한 산업구조를 요구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중소기업 및 기술기반 창업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한다면, 제4차 산업혁명을 대기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탈피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spect of Future World based on Network (네트워크 기반 제4차 산업혁명의 분석과 미래세계 전망)

  • Kim, Hak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3-64
    • /
    • 2017
  • 제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었고 한다. 인류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시대가 온다고 하며, 미래 사회의 변화에 전략적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4차 산업혁명을 명확하게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과 세계미래보고서 2055에 있는 단어들의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DB)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B를 기반으로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네트워크는 멱함수 성격을 가지는 전형적인 사회네트워크를 보여주었다. 제4차 산업혁명 네트워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 방법론, 국제안보문제, 사물인터넷, 신소재가 연결계수가 높은 허브 단어였으며, 세계미래보고서 네트워크에서는 인공지능, 메가시티, 자율주행차, 슈퍼휴먼, 텔로미어가 허브단어였다. 추출한 허브 단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와 융합하면 미래세계에 필요한 융합 콘텐츠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제4차 산업혁명과 ICT 동향

  • Bang, Seu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893-912
    • /
    • 2017
  • 제4차 산업혁명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것과 관련된 ICT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ICT의 그동안의 변화에 대해 단계적으로 관련된 기술을 살펴보고, 향후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해 ICT 입장에서 대응해야할 전략으로 IDX(Intelligent Digital Transformation: 지능적 디지털 혁신)을 제안한다.

  • PDF

Strategy Trends in Principal Countries towar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주요국 제4차 산업혁명 추진 전략 동향)

  • Ro, 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2
    • /
    • pp.1-9
    • /
    • 2017
  • 제4차 산업혁명은 스마트 제조 시스템의 도입을 통한 제조업 혁신의 개념에서 시작되어, 최근에는 ICT 기술과 다양한 과학기술의 융합으로 발생되는 전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의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제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 및 영향력에 대하여 이목이 집중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국가 차원의 전략적인 대비를 시도하고자 하는 나라들이 많아지고 있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점에서의 제4차 산업혁명 추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선도 국가들의 유사 전략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참고 사례로서 제4차 산업혁명의 발단으로 회자되는 독일의 인더스트리 4.0(Industrie 4.0)을 비롯하여 미국의 첨단제조(Advanced Manufacturing), 일본의 재흥전략 및 로봇 신전략, 중국의 중국제조2025, 영국의 고가치 제조전략(High Value Manufacturing Strategy), 네덜란드의 스마트 인더스트리(Smart Industry) 전략을 들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국가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Job Transi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제4차 산업혁명과 장애인 일자리 추이)

  • Na, Woon-Hwan
    • 재활복지
    • /
    • v.22 no.3
    • /
    • pp.23-39
    • /
    • 2018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will make the job facto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omplicated and difficult.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technical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tructure and tried to find a way to develop the job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changing the labor market and changing the trend of the employment by industry. The methods for this study are literature research and FGI. First, techn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job structu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and networking of things, 3D printing, big data, Second, technological innovation du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was a major factor in the job structure. As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rogressed, the job structure shifted rapidly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the service industry, Third, as the measur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nge of the job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make preemptive investment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to cope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Finally, in order to respon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apidly changing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basic data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able to be big data.

A Study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상용화에 관한 연구)

  • Sung, Tae kyu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9 no.1
    • /
    • pp.73-86
    • /
    • 2019
  • This study discuss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C), identifies success factor (SFs) for TC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ly tests these factors through questionnaires to executiv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es. Literature review identifies 11 SFs and they are communication, management support, incentives for TC, common goals, understanding business, awareness of TC, cooperation among partners, government support, concreteness of technology, demand-pull technology, and experience of TC.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CEOs and CIOs in 202 compan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es and final response rate was 64.4% (260 out of 404) that is considered to be high. Respondents rate cooperation among partners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management support, communication, common goals, and incentives for TC. To successfully pursu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ject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es, the attention should be focused on SFs that are evaluated as very important.

Quality management direc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서의 품질경영 방향)

  • Baik, Jaiwook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5 no.4
    • /
    • pp.1-13
    • /
    • 2020
  • Si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thrown into the world at the Davos World Economic Forum in January 2016, the world has been undergoing major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quality managemen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as examined. First, in all the major countries the industrial structural changes and smart business models were confirmed due to the convergence of new ICT such as IoT, robotics, 3D printing, big data, and AI with the existing technologies and industries. Second, we found that although the core technology leve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 is not as good as that of advanced countries, we have been working on expanding smart production methods and creating new industries by utilizing new ICT.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quality management is a real-time implementation of new ICT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market in real time based on big data from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 of products or service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trategy: Japan's Case and Implications (제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 일본의 사례와 시사점)

  • Kim, Pang-r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2
    • /
    • pp.314-322
    • /
    • 2018
  • Japan has established a strategic and concrete plan to respond in advance to the forthcoming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trategy in Japan is divided into two types of strategies of utilizing strength and complementing weaknesses. The former belongs to 'real data utilization' and 'new robot development', and the latter belongs to 'global issues Solution'. In particular, the Japanese government is more aggressive than any other country in introducing the Japanese version of the Regulatory Sandbox system as a social verification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the Society 5.0, which is regarded as the cornerston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examines the key strategies presented in the main documents relat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based on this consideration, we propose a suggestion worthy of reference when Korea develops the response strate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 Bae, Ho-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23-2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글로벌 시장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는데 필요한 4차 산업혁명 전문가 양성에 초점을 두고,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 설립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타특수대학원인 창업대학원과 컨설팅대학원을 비교고찰하였고, 해외 타전문대학원인 일본 회계전문대학원과 일본 법학전문대학원을 비교고찰하였다. 그 결과, 4차 산업혁명 전문가 양성을 위하여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 설립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은 4차 산업혁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차별화되고 융합화된 교과과정으로 2~3년제 전문대학원 석박사과정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둘째,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은 전문석(박)사 학위과정이므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야간보다는 주간과정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트랙제를 적극 활용하여 경영학, 회계학, 법학, 창업학, 공학 등 학제간 융합적 교과과정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이론교육과 실무교육의 균형적 교과과정으로 실무교육이 전체 교육과정에 30%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은 정부(중소벤처기업부)의 전략적인 재정 지원이 필수적이며, 재정 지원과 함께 교육의 질에 대한 평가인증을 지속적으로 받아야 할 것이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대학원 및 컨설팅대학원이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으로 통합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CSF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제4차 산업혁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Sung, Tae kyu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0 no.1
    • /
    • pp.69-83
    • /
    • 202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o empirically evaluate the validity of these factors through questionnaires from executives engaging in the industr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iterature review identifies leadership, change management, top management support, strategic fit, training, empowerment, teamwork, organizational culture, communication, and project management as ten critical success factor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CIOs and CEOs in the industries belo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sponse rate was 64.4% which shows quite high participation. Respondents rated strategic fi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top management support, leadership, change management, project management, teamwork, communication, train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owerment. To successfully pursu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llowings are recommended. (1) detailed and refined execution strategy, (2) establishment of effective network among government, public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and industries, (3) strategic and long-term plan, (4) differentiated execution strategy from other countries and global cooper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