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정혜란, 홍성훈, 이민구, 권혁무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품질경영, 한국품질경영학회지, 45, 629-648.
|
2 |
손병호, 김진하, 최동혁 (2017).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주요 과학기술혁신 정책과제, Issue paper 2017-04,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3 |
하원규, 황성현 (2011). Super IT Korea, 2030: 만물지능혁명국가, 전자신문사.
|
4 |
중장기전략위원회 (2017).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중장기 정책과제.
|
5 |
산업통산자원부.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 http://www.motie.go.kr
|
6 |
대통령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https://www.4th-ir.go.kr/
|
7 |
Schwab, Klaus (송경진 옮김)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
8 |
한국표준협회 (2015). 스마트공장의 글로벌 추진 동향과 한국의 표준화 대응전략, KSA Policy Study.
|
9 |
채창욱 (2017). 뿌리공정 스마트화 전략 도출을 위한 연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10 |
오세남, 박원철, 류문찬, 이민구 (2018). 다품종 소량 생산체제의 스마트공장 구축 사례: (주)IDIS를 중심으로, 품질경영학회지, 46, 11-26.
DOI
|
11 |
윤해열 (2016). 산업인터넷 플랫폼과 Next-Gen HMI/SCADA, 월간 계장기술.
|
12 |
정은미외 20인 (2017). 제4차 산업혁명이 주력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주요 과제, 산업연구원.
|
13 |
하원규 (2015). 디지털 행성시대의 메가트랜드와 창조국가전략, 국정관리연구, 제10권 제2호, 37-67.
|
14 |
산업은행 (2017). 한국형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 2017.
|
15 |
(주)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2017). 4차산업혁명정의 및 거시적 관점의 대응방안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
16 |
산업연구원 (2017). 4차 산업혁명의 글로벌 동향과 한국산업의 대응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