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 III급 부정교합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근첨하 분절 골절단술을 병행한 III급 양악 전돌증의 교정치료 증례 (ORTHODONTIC TREATMENT OF CLASS III BIMAXILLARY PROTRUSION COMBINED WITH SUBAPICAL SEGMENTAL OSTEOTOMY)

  • 정미향;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79-486
    • /
    • 1998
  • 양악 전돌은 흔히 접하는 부정교합 증례로서, 대부분 상하순의 전돌에 의한 안모 심미성의 손상을 주소로 내원한다. 이러한 증례는 제 1소구치를 발거하고 그 공간을 이용하여 전치부를 견인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많으며,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성인 환자의 경우에는 환자의 협조도 불량으로 인한 악외 고정원 사용의 불량, 치료기간의 장기화, 치조골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등에 있어서의 치근 흡수량의 증가, 구외 장치 사용으로 인한 환자의 사회심리적 부담감등의 부작용이 있다. 이의 해결방안의 하나인 근첨하 분절 골절단술은 고정원의 절대 보존, 치료기간의 단축, 구외 고정원 사용 필요성 제거 및 이를 통한 환자의 협조도 증가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제 1소구치 발거 및 이 부위를 이용한 근첨하 분절 골절단술을 병행하여 치료한 치아치조 전돌의 증례를 치료 전후의 두부 방사선 계측 사진및 연구 모형을 통해 비교분석하여 변화를 살펴보고, 이의 장단점을 고찰해 보도록 하고자 한다.

  • PDF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환자와 구순구개열환자의 두부방사선계측치의 비교 (A cephalometric comparis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백형선;유형석;전재민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9-67
    • /
    • 2003
  • A cephalometric study was performed to reveal differences betwee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nd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The material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6 males (mean age 19.8, range 17-29) and 9 females(mean age 19.4, range 16-27) with cleft lip and palate, and 222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males 106, females 116), Cephalometric tracing and measurements were done by one investigator. Results were followed: 1. Cleft lip and palate group had more retrusive maxilla than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2, Cleft lip and palate group had smaller effective maxillary and mandibular length tha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ore prominent in the mandible than in the maxilla. 3. Dental compensation was not observed in the upper incisors of cleft lip and palate group and in the lower incisors it was smaller than skeletal Class III group. 4, In the Gonial angle and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valu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eft lip and palate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and orthognathic surgery for the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술 전 교정치료 전과 후의 수술계획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STO between before and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s)

  • 이은주;손우성;박수병;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75-186
    • /
    • 2008
  • 본 연구는 술 전 교정치료 전 치아 이동 예측치(initial STO)와 술 전 교정치료 후 실측치에 바탕을 둔 STO (final STO)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 및 악교정수술 복합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하악만 수술한 환자 40명을 선정하여 상악 제1소구치 발치 여부에 따라 두 그룹(발치 그룹 20명, 비발치그룹 20명)으로 분류하였다. 술 전 교정치료 전의 initial STO, 술 전 교정치료 후의 final STO를 작성하여 각 계측치를 수평, 수직 기준선에 대해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발치 그룹의 두 STO 비교 시 수직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과 치근단, 상악 제1대구치 협측교두에서,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상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교두, 하악 중절치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과 근심협측교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비발치 그룹의 경우는 수직적으로 하악 중절치 치근단,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하악 중절치 절단연과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두 STO의 차이와 initial STO 수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진단 요소와의 상관성 평가 시 상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상악 전치의 수평, 수직 및 제1대구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가졌으며 두 그룹 모두 하악 전치 치축 각도와 하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하악 전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Initial STO 작성과 술 전 교정 단계에서 이를 고려하여 진행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치료 계획 수립 및 전체적인 치료 기간을 줄이는 것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상하악 동시이동술시 LeFort I 상악골절단술의 술후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LEFORT I OSTEOTOMY IN THE TWO-JAW SURGERY OF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임양희;고승오;신효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5호
    • /
    • pp.397-403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LeFort I osteotomy in two-jaw surgery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to help the establishment of treatment planning in patients with a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the future. Materials and Methods: The lateral cephalograms of 14 patients who had been underwent two-jaw surgery via one-piece LeFort I osteotomy were traced and the landmarks were identified. Repeated tracings and construction of reference planes were done. Comparisons were made from the immediate postoperative to late postoperative results of each landmarks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Conclusions: 1. The horizontal changes of landmark ANS, point A, PNS and Mx6Rt between immediate postoperative to late postoperative data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p>0.05). 2. The vertical changes of landmark ANS, point A, PNS, Mx6Cr and Mx6Rt between immediate postoperative to late postoperative data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p>0.05). 3. The horizontal change of landmark Mx6Cr between immediate postoperative to late postoperative dat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Results showed that it was stable that one-piece LeFort I osteotomy in two-jaw surgery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PDF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견인이 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ON GROWTH IN CLASS III MALOCCLUSION)

  • 성상진;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49-366
    • /
    • 1994
  • The method of treatme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ust be chosen according to an etiology and timing of the treatment. Maxillry protraction has been us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in growing children with maxillary deficiency. The efficacy of maxillary protraction has been viewed as a result of downward-backward displacement of mandible and compensatory dental displacement during the treatment rather than forward -downward growth of maxilla itself. In this study, 104 subjects treated with maxllary protraction, and 19 males and 21 females with known annual growth amount have been chosen longitudinally as treated group and normal group, respectively. And changes in position of maxilla, mandible and dentition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zed on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by 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reated group showed more forward movement of maxilla compare to the normal group and the mandible displaced backward compare to the normal group. 2. Downward movement of maxilla in treate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gicance in female 12 year old group and downward movement of mandible in treate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 3. In treated group, maxillary central incisor moved more forward than the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8, 10 year-old groups and female 8, 9, 10 year-old groups. In treated group, downward movement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similar to that of the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and female 7,8 year-old group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and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the forward movement of maxilla due to maxillary protraction was effective compared to normal growth amount of the normal group.

  • PDF

하악 제3대구치의 성숙도를 이용한 성장 평가 (Skeletal maturation evaluation using mandibular third molar development in adolescents)

  • 조선미;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0-129
    • /
    • 2009
  • 성장기 환자의 교정 치료에서 바람직한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성장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장 과정은 개인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성장 평가를 위해서는 연대 연령이 아닌 생리적인 연령을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춘기 동안 발육하는 하악 제3대구치에서 치아성숙도를 측정하고 성장 평가 지표로서의 그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성장기 여자 환자 270명을 대상으로 제3대구치의 치아 성숙도(Demirjian index), 경추의 골 성숙도(CVMI), 수완부 골 성숙도(SMI), 초경 연령 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Demirjian Index와 SMI, CVMI 간의 상관관계에서 SMI와 Demirjian index (r = 0.64), CVMI와 Demirjian index (r = 0.59)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01). 그러나 초경 연령과 Demirjian index간의 상관관계(r = 0.26)는 낮았으며 (p < 0.001), Demirjian index를 통해 평가한 제3대구치의 치아성숙도는 I, II, III급 부정교합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3대구치 치관이 완성되고 치근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Demirjian index I단계 이상이면 SMI 10단계, CVMI 5단계 이상에 속하였다. 하악 제3대구치의 발육단계를 이용한 치아성숙도 평가는 경추 및 수완부 골성숙도와 조합하여 사용한다면 사춘기 성장 평가에 있어 하나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Hard Tissue in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Occlusal Plane)

  • 황충주;임선아;문정련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9-249
    • /
    • 1999
  • 악안면 부조화를 치료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형태를 얻고자 하는 악교정 수술에 있어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수적이다. 특히 심한 상 하악의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시행되는 양악 수술에선 상악골과 하악골이 삼차원적인 공간에서 동시에 재배치되는데, 상악골의 재배치에 따라 하악골은 전후 좌우 위치가 결정되면서 새로운 교합평면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교합평면은 양악 수술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어 상악골의 새로운 위치를 결정하게되므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시에 최적의 기능적, 심미적 결과와 수술 후 안정성을 얻을 수 있게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명(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 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의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 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으로 수술되었을 때 경조직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 직전($T_1$) 과 수술 직후($T_2$-평균 4.3일), 수술 8개월 이상 경과 후($T_3$-평균 1년 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A군과 B군 모두 수술에 의하여 ANS의 수직적 위치보다 PNS의 수직적 위치가 감소되었다. 즉 상하악 복합체가 후상방으로 회전되었다. 2. $T_3$$T_2$와 유의차를 보이는 값은 두군 모두에서 수직 계측항목에서 HRP-Me(p<0.01), 각도 계측항목에선 Articular angle(p<0.01), Gonial angle(p<0.01), Mn. plane angle(p<0.05)이 유의차를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HRP-Me이 감소하면서 하악평면각은 증가 하였다. 3. A군과 B군사이에서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4. 수술에 의한 B와 Pog.의 수평 이동량은 수술후 B와 Pog.의 수평 재발량과 그리고 PNS의 수직 재발량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평면각의 수술에 의한 변화량과 gonial angle의 술후 변화량과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교정 치료의 한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mit of orthodontic treatment)

  • 김선주;박소영;우혜홍;박은지;김영호;이신재;문성철;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5-175
    • /
    • 2004
  • 치료의 한계를 미리 알 수 있다면 현실적이고 체계적으로 치료목표와 계획을 설정 할 수 있을 것이며, 치료결과 또한 좀 더 예측 가능할 것이다. 대체적으로 볼 때, III급 수술-교정 치료 증례는 통상적인 증례보다 교정 치료를 통하여 얻어야 하는 치아 이동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고, 이들이 보인 교정적 치아이동 양상을 측정하여 교정적 치아이동의 한계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 이동량의 측정방법으로서 선택한 치아 위치 측정 기구의 신뢰성을 평가한 다음, 이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의 교정적 치아 이동의 한계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재료로서 III급 수술-교정 치료를 받은 환자 55명의 치료 전$cdot$후 모형을 이용하였고, 연구 방법으로 각 모형에서 치아의 angulation, inclination 및 견치에서 제2대구치에 이르는 치열궁 폭경의 변화를 측정한 다음, 치아 이동량 측정방법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임의 표본에 대하여 검사자간의 신뢰성을 분석하였으며, 기술 통계량을 얻고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 방법의 양호한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치아이동 범위는 악궁 내 각 부위에 따라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연구 대상인 III급 수술-교정 치료 증례에서 치아 이동의 변화량을 해석한 결과, 수술-교정 치료 시 필요한 상$\cdot$하 구치부 치열궁 조화를 이루기 위한 치열궁 폭경의 변화량은 주로 구치부위의 경사 이동에 의한 것임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이용된 방법론은 II급 부정교합 등 다른 증례의 치료에서 치료 전$\cdot$후 치아 이동 양상의 해석에 적용할 수 있으며, 만일 이것을 통하여 특정 치료증례에서 치아 이동양상에 대한 충분한 자료를 얻는다면, 해당 치료 증례의 치료 계획 설정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후 골격적 재발 양상에 관한 연구 :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과 구내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의 비교 (A STUDY ON SKELETAL RELAPSE PATTERNS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OF CLASS III PATIENTS : COMPARISON BETWEEN SSRO AND IVRO)

  • 이장열;유형석;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61-477
    • /
    • 1998
  • 하악 전돌증의 치료를 위해 외과적인 술식이 교정임상분야에 도입된 이래로 많은 임상적인 성공사례가 보고되어 왔으며 최근에 와서는 하악골 후퇴술의 대표적 술식으로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SSRO)과 구내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IVRO)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물론 이 두가지 술식 모두 만족스러운 술후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술후 안정성과 재발의 양상과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하악 후퇴술후 시간경과에 따른 재발의 정도에 관한 국내의 연구는 국외에 비해 다소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시상 분할 골절단술과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후의 재발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후 수술방법에 따른 재발 양상과 장기적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로 시행받은 24명(남자 10명, 여자 14명)과 구내 상행지 수직골절단술로 시행받은 26명 (남자 10명, 여자 16명)의 수술 직전(T1), 수술 직후 48시간 이내(T2), 수술 후 4-8주(T3), 수술후 6개월 이상(T4)등 4장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계측하여 두 군간의 기간별 재발 양상과 각 군내의 타 변수들과의 상관성에 관해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골의 수평적인 초기 재발은 시상 분할 골절단술군에서는 전방 이동,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군에서는 후방 이동양상을 보였다. 2. 두 군 모두에서 하악골의 수직적인 초기 재발과 후기 재발은 전안면고경이 감소하는 쪽으로 일어났으며 두 군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시상 분할 골절단술군에서 수술시 근심절편의 후방회전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후기 재발이 더 전방으로 일어났다. 4. 두 군 모두에서 수술시 하악골 후퇴량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초기 재발이 더 전방으로 일어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