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 치료의 한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mit of orthodontic treatment

  • 김선주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
  • 박소영 (바른이치과의원) ;
  • 우혜홍 (수원과학대학) ;
  • 박은지 (수원여자대학교) ;
  • 김영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교정과) ;
  • 이신재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문성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백승학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Kim, Sun-Ju (Graduate School of Medical Administration, Han-Yang University) ;
  • Park, So-Young (Baruni Dental Clinic) ;
  • Woo, Hae-Hong (Suwon Science College) ;
  • Park, Eun-Jie (Suwon Women's College) ;
  • Kim, Young-Ho (Division of Orthodontics, Department of Dentistry, Medical Colleg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Shin-Jae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Moon, Seong-Cheol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Baek, Seung-Ha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4.04.01

초록

치료의 한계를 미리 알 수 있다면 현실적이고 체계적으로 치료목표와 계획을 설정 할 수 있을 것이며, 치료결과 또한 좀 더 예측 가능할 것이다. 대체적으로 볼 때, III급 수술-교정 치료 증례는 통상적인 증례보다 교정 치료를 통하여 얻어야 하는 치아 이동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고, 이들이 보인 교정적 치아이동 양상을 측정하여 교정적 치아이동의 한계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 이동량의 측정방법으로서 선택한 치아 위치 측정 기구의 신뢰성을 평가한 다음, 이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의 교정적 치아 이동의 한계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재료로서 III급 수술-교정 치료를 받은 환자 55명의 치료 전$cdot$후 모형을 이용하였고, 연구 방법으로 각 모형에서 치아의 angulation, inclination 및 견치에서 제2대구치에 이르는 치열궁 폭경의 변화를 측정한 다음, 치아 이동량 측정방법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임의 표본에 대하여 검사자간의 신뢰성을 분석하였으며, 기술 통계량을 얻고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 방법의 양호한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치아이동 범위는 악궁 내 각 부위에 따라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연구 대상인 III급 수술-교정 치료 증례에서 치아 이동의 변화량을 해석한 결과, 수술-교정 치료 시 필요한 상$\cdot$하 구치부 치열궁 조화를 이루기 위한 치열궁 폭경의 변화량은 주로 구치부위의 경사 이동에 의한 것임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이용된 방법론은 II급 부정교합 등 다른 증례의 치료에서 치료 전$\cdot$후 치아 이동 양상의 해석에 적용할 수 있으며, 만일 이것을 통하여 특정 치료증례에서 치아 이동양상에 대한 충분한 자료를 얻는다면, 해당 치료 증례의 치료 계획 설정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formation on the limits of treatment could allow for more rational treatment Planning and better results after treatmen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discuss the limits of orthodontic tooth movement. A relatively wider range of tooth movement is expected after Class III surgical-orthodontics than after conventional orthodontic treatment in general.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first,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eeth position measuring gauge; and second, to elucidate the limits of orthodontic tooth movement. Dental casts of fifty-fine subjects were analyzed by using Set-up model checker (InVisitec Co., Korea) before and aster the Class III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The changes of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al arch widths were also measured from the canines to the second molars. To test the inter-examiner reliability, randomly selected casts were measured by another examiner.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 tests were used to explain the tooth movement during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a relatively good reliability of measuring instruments and a very diverse range of tooth movement. Collective changes by the orthodontic tooth movement evaluated in Class III surgical-orthodontics allowed for a suggestive interpretation of specific treatment patterns. Arch width changes during the inter-arch coordination were mainly the result of tipping in both buccal seg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dentition as a result of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be understood in order to launch a well-organized plan of trea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Proffit WH, White RP.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St. Loues: Mo-sby: 1990. p. 3-4
  2. Andrews LF. Straight wire: The concept and appliance. San Diego: LA Wells: 1986. p. 14-31
  3. 김종성, 진근호, 홍성준.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관경사도에 관한 임상통계학적 연구. 대치교정지 1992 : 22 : 715-33
  4. Fillion D, Leclerc JF. Lingual orthodontics: why is it progressing? Orthod Fr 1991 : 62 : 793-801
  5. 권오원, 황해상 개개 치아의 inclination과 angulation을 측정하는 보조 기기를 이용한 tooth positioner의 제작, 대치교정지 1999: 29: 137-46
  6. 장영일, 양원식, 남용석, 문성철, 한국형 교정치료용 Bracket의 개발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2000: 30 : 565-78
  7. 장연주, 김태우, 유관희. 브라켓의 수직적 위치 변통에 따른 치관경사도 변화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2002: 32 : 401-12
  8. 박재우 레이저 스캔으로 제작된 3차원 진단 모형의 계측치 오차에 대한 연구 2003년 서울대학교 치의학석사학위논문
  9. Dahllberg G. Statistical methods for medical and biological students New York: Interscience Publishers Inc.: 1940. p. 122-32
  10. Guyer EC, Ellis E, McNamara JA Jr. Behrents RG. Components of Class III malocclusion in juverliles and adolescents. Angle Orthod 1986: 56 : 7-30
  11. McNamara JA. Maxillary transverse deficiency. Am J Orthod Dentofac Orthop 2000 : 117 : 567-70
  12. Del Santo M Jr, English JD, Wolford LM and GandirliL G Jr. Midsym-physeal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correcting transverse mandibular discrepanci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2 : 121 : 629-38
  13. Kahl-Nieke B, Fischbach H, Schwarze CW. Treatment and postre-tention changes in dental arch width dimensionsa long-term evaluation of influencing cofactor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6: 109 : 368-78
  14. Wolford LM, Chemello PD, Hilliard F. Occlusal plane alteration in orthognathic surgery-part I : Effects on function and esthetic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4 : 106 : 304-16 https://doi.org/10.1016/S0889-5406(94)70051-6
  15. Chemello PD, Wolford LM, Buschang PH. Occlusal plane alteration in orthognathic surgery-part II: Long-term stability of res띠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4 : 106 : 434-40
  16. Richmond S, Klufas ML, Sywanyk M. Assessing incisor inclination: a non-invasive techrlique. Eur J orthod 1998 : 20 : 721-6
  17. 박영철, 한국인의 Straight Wire Bracket 의 형태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1 : 21: 481-93
  18. Arnett GW, Jelic JS, Kim J, Cummings DR, Beress A, Worley CM, Chung B, Bergman R. Soft 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diagnosis and treatment planrling of dentofacial deforrrlit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 116: 23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