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Hard Tissue in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Occlusal Plane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 Hwang, Chung-Ju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Lim, Seon-A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Moon, Jeong-Lyon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Published : 1999.04.01

Abstract

In orthognathic surgery to obtain proper functional and esthetic form after skeletal discrepancy treatment,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are essential. Especially in two jaw surgeries that have serious upper and lower jaw problems, maxilla and mandible are arranged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the maxillary rearrangement, mandibular sagittal and transverse positions are determined, and thus new occlusal plane is establish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indiviual ideal occlusal plane based on the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craniofacial analysis of Delai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 patients who underwent two jaw surgeries, and they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A and B. A group was operated with ideal occlusal plane and B group was not. Two groups were compared at the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average 4.3days), and long-term postoperative (average 1.3year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NS was lower than that of PNS for both A and B after the surgery. That is, maxilla and mandible are rotated in posterior and superior direction. 2. Significances were found between $T_2$ and $T_3$ for both A and B are HRP-Me at vortical measurements, articular angle(p<0.01), gonial angle(p<0.01), and Mn. plane angle(p<0.05) at angular measurement. Mn. plane angle is increased at HRP-Me is decreased for both A and B. 3. There is no significance in skeletal stability aster the surgery between group A and B. 4. Horizontal movements of B and Pog by surger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 with horizontal relapse of B and Pog, and vertical relapse of PNS, as well as Mn. Plane angle, and gonial angle after the surgery.

악안면 부조화를 치료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형태를 얻고자 하는 악교정 수술에 있어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수적이다. 특히 심한 상 하악의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시행되는 양악 수술에선 상악골과 하악골이 삼차원적인 공간에서 동시에 재배치되는데, 상악골의 재배치에 따라 하악골은 전후 좌우 위치가 결정되면서 새로운 교합평면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교합평면은 양악 수술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어 상악골의 새로운 위치를 결정하게되므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시에 최적의 기능적, 심미적 결과와 수술 후 안정성을 얻을 수 있게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명(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 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의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 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으로 수술되었을 때 경조직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 직전($T_1$) 과 수술 직후($T_2$-평균 4.3일), 수술 8개월 이상 경과 후($T_3$-평균 1년 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A군과 B군 모두 수술에 의하여 ANS의 수직적 위치보다 PNS의 수직적 위치가 감소되었다. 즉 상하악 복합체가 후상방으로 회전되었다. 2. $T_3$$T_2$와 유의차를 보이는 값은 두군 모두에서 수직 계측항목에서 HRP-Me(p<0.01), 각도 계측항목에선 Articular angle(p<0.01), Gonial angle(p<0.01), Mn. plane angle(p<0.05)이 유의차를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HRP-Me이 감소하면서 하악평면각은 증가 하였다. 3. A군과 B군사이에서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4. 수술에 의한 B와 Pog.의 수평 이동량은 수술후 B와 Pog.의 수평 재발량과 그리고 PNS의 수직 재발량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평면각의 수술에 의한 변화량과 gonial angle의 술후 변화량과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