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진효과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6초

인방보에 마찰형 감쇠기가 설치된 전단벽의 제진효과 (Control Effectiveness of Shear Walls Connected by Beams with Friction Dampers)

  • 정희산;민경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05-115
    • /
    • 2009
  • 휨거동을 하는 전단벽을 대상으로 동일한 총 단면적을 갖는 1개의 전단벽과 마찰형 감쇠기로 연결된 전단벽의 내진성능을 수치해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KBC 2005 설계스펙트럼을 근거로 축소 조절한 7개의 지진파를 입력하중으로 마찰형 감쇠기가 설치된 전단벽의 평균응답을 분석하였다. 마찰형 감쇠기의 중요한 설계변수인 기준 마찰력인 슬립하중은 각층의 마찰형 감쇠기 위치에 생기는 수직방향 전단력의 총합의 5, 10, 20, 30, 60, 90%값으로 하여 슬립이 특정한 층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였다. SeismoSturct 프로그램을 이용해 비선형시간이력 해석을 수행하여 밑면 전단력, 에너지 소산량, 1층 벽체곡률, 최상층변위 측면에서 마찰 감쇠기의 제진성능을 분석하였다. 기준마찰력의 30%이하 수준의 총 마찰력을 갖는 마찰 감쇠기가 우수한 제진성능을 보였다.

TS 제진공법으로 내진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내진성능(Part 1:해석적 연구) (Seismic Performance of RC Frame System Retrofitted with TS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Part 1:Analytical Study))

  • 정명철;송정원;송진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41-14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TS 내진보강공법의 내진보강 효과를 검증 할 목적으로 TS 댐퍼(Tension Spring-Damper)를 설치한 철근콘크리트 골조를 대상으로 한 반복 주기하중 재하 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험체는 기준 실험체인 무보강 골조 실험체와 3개의 보강 골조 실험체의 총 4개이며, 실험의 변수는 댐퍼 설치 여부, 댐퍼의 형상 및 시공방법이다. 그 결과 창호 내부 삽입 형식의 시공방법이 강도와 강성의 측면에서 2배가량, 외부 부착형식의 시공 방법이 에너지 소산의 측면에서 2배가량의 성능 향상을 나타내어 TS 내진보강공법이 현장 적용성과 내진보강 효과가 우수한 공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4축소 철골구조물을 이용한 건물 기초분리장치의 진동대실험 (Shaking Table Tests of a 1/4-Scaled Steel Frame with Base Isolators)

  • 송영훈;김진구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39-48
    • /
    • 1997
  • 지진에 의한 진동이 건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강철 스프링에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를 피복 성형한 새로운 형태의 기초분리장치를 개발하고 물성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모형구조물에 부착하여 진동대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모델은 1/4로 축소된 1경간 3층의 철골구조물로 지진 진동을 사용하여 기초분리장치의 수평, 수직방향 안정서와 제진효과를 검증하였다. 얻어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실험에 사용된 모든 종류의 방진베어링이 지진진동에 의한 가속도를 줄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치백차량 트렁크의 진동저감을 위한 재진재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mping Material Design for Vibration Suppression of the Hatchback Trunk Floor Panel)

  • 정대훈;한정훈;김찬묵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7-350
    • /
    • 2011
  • Automobiles should be light and practical to reduce the price of manufacturing and maintaining expense. Hatchback vehicles are far from the silence for its practicality. This paper introduced the effective method of the planning of the asphalt material which applies the asphalt damping material. This paper showed the experiment which restrains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trunk using asphalt damping material and chose the position of damping material using the velocity map and strain energy map and planed the optimum position.

  • PDF

Fe-Mn 제진합금을 적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진동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High Damping Alloys for Vibration Reduction in Bridge Expansion Joints)

  • 김태훈;백진현;한동운;김정철;백승한;유문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19-1023
    • /
    • 2006
  • Conventional methods for reducing vibration in engineering designs may be undesirable in conditions where size or weight must be minimized, or where complex vibration spectra exist. Fe-Mn Damping alloy with a combination of high damping capacity and good mechanical properties can provide attractive technical and economical solutions to problems involving seismic, shock and vibration isolation. We have studied the noise and vibration characteristic of Dampalloy and checked Dampalloy reduced noise about 3.9dB and vibration about 15.9 times as compared conventional material through laboratory research. With this result, we obtained a good possibility of material substitution about the bridge expansion joint

  • PDF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 브라켓의 방진라이너 적용효과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Application on Vibration Isolation Liner of Elevator Guide Rail Bracket)

  • 노승권;김은도;오종석;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45-15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고층아파트 승강로 근접세대에 대한 진동 및 소음저감대책의 일환으로 승강기 가이드 레일 브라켓에 방진라이너를 적용하여 그 효과들을 분석하였다. 방진라이너 성능 분석결과, 카 측에서는 65.49%, 카운터 측에서는 90.05%의 방진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 브라켓의 방진라이너의 진동저감 효과를 상당히 가지고 있다. 방진라이너 적용의 경우 제진빔 적용에 비해 승강기 운행통로(승강로) 면적은 7.26 ~ 22.22% 감소, 재료비와 설치비는 3,840,000원 ~ 9,780,000원의 절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량물인 제진빔에 비해 경량물인 방진라이너를 적용할 경우, 설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사장교형식 보도교의 보행진동제어를 위한 TMD 적용 (Application of Tuned Mass Damper to Suppress Man-Induced Vibrations of Cable Stayed Foot-bridge)

  • 김윤석;이승우;김재민;장성규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74-7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앙경간 54m, 교폭 4m의 사장교형식의 보도교로 측경간은 계단으로 이루어진 1경간 케이블교량을 대상으로 보행하중에 의한 수직진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진장치(TMD)를 적용하기로 하고 실물 TMD의 설계 및 제작 그리고 설치 및 제어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사장교형식의 교량. 그리고 1경간 교량이라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감쇠율이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고 또한 54m의 경간장이 보행자가 가진 주파수에 근접한 고유진동수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어 Eurocode 2 part 2(EC5-2)의 규준에 따라 1인 및 다수 보행하중에 의한 보도교의 발생가속도를 산출하였다. 이 경우 최대가속도는 다수의 보행자가 연속적으로 진행할 때 발생하였으며, 수직방향의 가속도가 사용성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해석프로그램에 의한 고유치 해석결과, 보행하중의 주파수대역내에 진동모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교량의 설계단계에 있어서 보행진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수동형의 동조질량감쇠장치(Tuned Mass Damper)를 적용하기로 하였으며 TMD의 설계에서는 TMD의 제어목표를 만족시킬 수 있는 TMD의 가동질량(moving mass)을 우선적으로 결정하였고, 이로부터 Den Hartog의 제안식에 따라 TMD의 고유진동수비, 유효감쇠비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변수들을 이용하여 설계된 TMD는 현장설치 및 튜닝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평 외팔보형식으로 설계, 제작되었으며 제작된 TMD의 경우 회전축에 대해 질량, 스프링, 댐퍼의 중심거리를 조정함으로써 TMD의 진동수, 강성, 감쇠력을 상대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정범위 또한 광범위하여 일반 TMD에 비해 현장설치시 대상구조물에 동조시키기가 용이하며, 작동시 마찰감쇠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현장설치전에 제작된 TMD를 대상으로 자유진동 시험을 통하여 질량의 중심거리, 스프링 크기 그리고 댐퍼의 설치유무를 각각 변화시키며 TMD의 자유진동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각각의 시험에서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스펙트럼해석을 통하여 고유진동수를 구하였고, 자유진동 파형으로 부터 감쇠비를 구하였다. TMD는 일반적으로 제어모드의 변형형상이 가장 큰 곳에 설치되었을 때 최대의 제진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여건상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미관을 해치는 경우에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TMD 제어효율이 가장 크게 발휘할 수 있는 곳을 선택하여야 한다. 본 보도교의 경우, 중앙경간 중심부에서 가장 큰 모드변형형상을 나타내지만, 보도교의 상판 연결부 등에 따른 TMD 시공문제로 인하여 TMD 설치위치는 교량 중앙에서 양 방향으로 1.25m 떨어진 곳에 대칭으로 총 2기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TMD의 모든 설계변수는 구조물의 설계단계에서 수행된 구조해석결과에 근거하여 설정하므로 완공된 구조물, 즉 실제보도교의 동적특성을 계측하여 정확하게 진동수를 튜닝하여야 한다. 구조해석에 의한 보도교의 수직방향(TMD 작동방향) 고유진동수는 1.5225 Hz이며, 감쇠비는 규준에 의하여 0.6 %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이 값들은 구조해석모델 및 재료적 특성과 시공상의 오차에 의하여 실제와 다를 수 있으므로 현장계측에 의한 확인이 요구된다. 또한 TMD의 제진효율이 설계시의 목표대로 확보되었는지도 확인해야 하므로 현장튜닝 및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보도교의 가진은 사전에 실시한 상시 미진동계측결과를 토대로 2Hz를 목표로 하여 인력가진실험을 수행하였고, 탁월진동 주파수는 1.9896Hz로 나타나 구조해석결과와 오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진실험결과를 토대로 TMD의 진동수를 최적진동수비로 튜닝하고 인력가진 실험을 다시 실시하여 TMD의 진동제어성능을 검토하였다. TMD 튜닝 전, 후의 보도교 감쇠비를 비교한 결과, TMD를 설치함으로써 약 4.218%의 감쇠비 증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수위의 구속조건을 고려한 LCVA의 최적형상 (Optimal Shape of LCVA considering Constraints on Liquid Level)

  • 박지훈;김기면;이성경;민경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429-43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수평관과 수직관의 단면이 다른 액체기둥흡진기(LCVA)의 제진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형상을 수치 해석에 의한 변수연구를 통해 찾았다. 특정 진동수에 동조되고, 동일한 총질량을 가지면서 치수 및 수위와 관련된 구속조건을 만족하는 다양한 형상의 LCVA를 설계하고, 이 가운데 가장 큰 등가감쇠비를 획득하는 형상을 찾았다. 그 결과 LCVA 형상의 설계에서 수위변동폭이 최적형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구속조건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체가 운동하는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LCVA 수평폭을 증가시킬수록 등가감쇠비가 증가하였으며, 증가율은 점차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적정 수평폭의 결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제를 위한 무균실의 설계와 운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Aseptic Room for the Production of Injectable Drugs)

  • 이병국
    • 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68-275
    • /
    • 1985
  • 제약 공업중에서 주사제나 생물제제에 관한 무균실의 중요성은 주지하는 바이며 특히 무균실 설계에 소위 laminar flow나 conventioal flow에 의한 공기여과법도 잘 알려진 사실이다. 현재 무균실의 건축적 구조나 배치 설비의 운용 또는 공기여과법 등도 종래의 관례나 차고 자료에 의해 적절히 설치 운용하고 있으나 실지로 부유물 또는 미생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동태적으로 관찰하고 설계 운용을 비판해본 적은 그리 흔하지 않은것 같다. 이 점에 관하여 실지 표준 분전인 DOP를 통하여 여러 건축적 또는 공조 설비적 조건에 따라 제진 효과를 실험적으로 관찰해본 자료가 있어 소개하면서 무균실 설계의 한 참고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PDF

코안다효과를 이용한 제진기 스크린의 최적설계를 위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for Optimum Design of Dust Separator Screen Based on Coanda Effect)

  • 윤성민;김용선;신희재;고상철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77-185
    • /
    • 2018
  • There is a need to study dust separator screens with good drainage efficiency while effectively filtering suspended solids and other contaminants entering the intake pumping station, the drainage pumping station and the mediation pumping station, the cooling water inlet of the power plant, and the like. In this paper, Numerical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optimal design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using the Coanda effect. The shape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is important, such as the right curvature radius $R_1$ at the top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and the left curvature radius $R_2$ at the top, h is the height difference and shape between the screen and the accelerating plate, and ${\theta}$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creen. A total of 4 shape factors were set and the effects of Coanda and drainage performance of each el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optimum length and size of each shape element were derived by classifying the shape elements into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Finally,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filter foreign matter by narrowing the screen spacing, and the drainage performance was analyzed and optimized through numerical studies of dust separator scr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