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주-11

Search Result 88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Jeju soybean cluster (제주 콩 클러스터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Ko, Seong-Bo;Hyun, Chang-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0
    • /
    • pp.3740-3746
    • /
    • 2010
  • Jeju soybean industry is not competitive in areas of food-safety, quality, price, and bargaining power. Also, the processing products of soybean are simply-processed product. They are short of diversified product. The size of processing company is very sm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suggest programs for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 network among farmhouseholds, agricultural cooperatives, manufacturing companies, related research institutes, and the local government, which are integrated vertically, horizontally and systematically. Jeju soybean cluster consists of production system, research & development system, industrial-support system, practical technology-support system, and center of operation. This system will help farmers get stable sales market & income. Also, It will help farmers produce the prod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raw products.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제주도 화산암의 물리・역학적 특성에 대한 비교연구)

  • Yang, Soon-Bo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0 no.11
    • /
    • pp.39-49
    • /
    • 2014
  •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show vesicular structure caus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cate the differences in geolog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from region to region. Previous studies on the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n ge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terms of geophysics and geology and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terms of engineering. But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is not conducted. In this study,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were compared and analyzed comprehensively through the existing research papers and reports about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on (porosity) and apparent specific gravity is commonly linear and could be represented as two different linear approximat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wave velocity and S-wave veloc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on (porosity)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could be classified more clearly, considering two different linear relationships in absorption (porosity) and apparent specific gravity.

Analysis of seas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tream runoff in Jeju Island (제주도 하천의 계절별 지역별 유출특성 분석)

  • Kim, Chul-Gyum;Chung, Il-Moon;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6-256
    • /
    • 2020
  • 하천의 유출률은 하천의 경사, 연장, 강우특성 및 규모 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제주도의 지역별 고도별 토양 및 강우 특성과 독특한 지형에 따른 간헐하천의 유출특성을 고려할 때 관측에 의해 유출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특히나 홍수시 관측되는 유량의 불확실성과 지역별·고도별 강우량의 편차를 고려한다면 강수대비 정확한 관측유출률의 산정 자체가 쉽지 않다. 이는 기존 관측된 유출률이 하천유역별로 대상기간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지점에서의 몇 개의 강우사상에 대한 유출률이 아닌 다양한 사상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유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델링에 의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하천유역에서의 건천화 현상과 간헐적 유출특성을 모의하는데 최적화된 제주형 SWAT-K 모형을 기반으로 제주도 11개 하천유역(유역면적 30 ㎢ 이상)에 대한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출률을 중심으로 계절별, 지역별, 하천유역별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강우규모에 따른 유출 특성과 시·공간적 유출률 변화를 평가하였다. 1992~2013년 기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제주도 전역에 대한 연간 유출률은 13.3%~30.5% (평균 21.8%)로 나타났다. 하천유역별로는 천미천(31.6%), 가시천(31.1%), 화북천(29.3%), 창고천(27.4%), 의귀천(27.1%)의 유출률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효돈천(18.9%)와 도순천(19.0%)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11개 하천유역에 대한 월별 평균 유출률은 강수량이 많은 8월에 가장 높은 유출률(26.1%)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trend of change in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do (제주도 초등학교 학생수 변화 경향에 대한 조사 연구)

  • Kim, Hyung-Jo;Yoon, Yong-Gi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9 no.3
    • /
    • pp.1-10
    • /
    • 2020
  • The results of a survey on 113 elementary schools in Jeju-do in December 2018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newly established schools in the last 30 years were long-term decline Type 3 (56 schools), followed by Type 9 (W-type, 24 schools), which was more than 30 years old. Second, one of the main achievements of this study is the discovery of four types (type 1, type 2, type 8 and new-type) that are well characterized by Jeju province. Third, the most smaller school has 50 schools (44.3%) and small schools (less than 300 students) are 77 schools, accounting for 68.1% of the total ; 6 the most largest elementary schools (5.3%), 13 large schools (11.5%), 17 optimal sized schools (15.0%), 27 small schools (23.9%). In particular,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almost all schools are small schools except for a few schools in Jejudo Ub-Myun areas. This means that it may cause serious problems if it is adopted as a standard of abolition of small schools in the same standard of management rather than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judo province.

제주도의 화산동굴 문화재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2.07a
    • /
    • pp.15-28
    • /
    • 1992
  • 제주도는 세계에서 이름난 화산동굴의 보고라고 불리운다. 그 동굴의 길이 뿐만 아니라 규모 그리고 동굴속에 간직하고 있는 갖가지 동굴의 지형지물등 하나하나가 모두 세계적인 것들이 많이 집중 분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제주도에 있는 화산동굴에는 세계 제 1의 것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이 있다. 그 길이에 있어서 세계 최대인 빌레못 동굴을 비롯하여 제 4위인 만장굴, 11위인 수산굴과 17위인 소천굴 등이 있고, 이밖에 길이가 1000m 이상 되는 것으로는 와흘굴, 한들굴 등이 있다.(중략)

  • PDF

제주도의 화산동굴 문화재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3.07a
    • /
    • pp.61-75
    • /
    • 1993
  • 제주도는 세계에서 이름난 화산동굴의 보고라고 불리운다. 그 동굴의 길이 뿐만 아니라 규모, 그리고 동굴속에 간직하고 있는 갖가지 동굴의 지형지물등 하나하나가 모두 세계적인 것들이 많이 집중 분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제주도에 있는 화산동굴에는 세계 제 1의 것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이 있다. 그 길이에 있어서 세계 최대인 빌레못 동굴을 비롯하여 제 4위인 만장굴. 11위인 수산굴과 17위인 소천굴 등이 있고, 이밖에 길이가 1000m 이상 되는 것으로는 화흘굴, 한들굴 등이 있다.(중략)

  • PDF

Size Distribution of Aerosol at Gosan in Jeju-do: March in 2002 (제주도 고산에서의 미세입자의 입경분포 특성 분석)

  • 한진석;문광주;안준영;홍유덕;서충열;김영준;류성윤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29-130
    • /
    • 2003
  • 대기중의 유해 에어로솔의 장거리 이동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2002년 8월 27일부터 9월 11일까지 제주도 서쪽 끝에 위치한 고산사이트에서 에어로솔의 샘플링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제주도 고산지역 대기 중 미세입자의 물리적, 화학적 입경분포 특성 결과를 통한 오염물질의 배출원 추정 및 장거리 이동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제주도내 보건진료원의 업무분석에 관한 연구

  • Hyeon, In-Su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 no.1
    • /
    • pp.183-184
    • /
    • 1989
  • 제주도내 보건진료원의 업무분석 및 보건진료소 이용에 관한 사항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주도내에 근무하는 보건진료원 43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86년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이며, 43명 중 37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보건진료원의 분포, 업무배경, 의료자원, 이용주민수 및 업무수행 등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PDF

Study on the Vertical Profiles and the Inflow Routes of Aerosols at Gosan, Jeju (제주 고산에서의 에어러솔 수직분포 및 유입경로 연구)

  • 김상우;원재광;이병일;윤순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137-138
    • /
    • 2002
  • 제주도의 서단에 위치한 고산 측정소는 한반도와 중국대륙에 인접하고 있어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을 연구하기에 최적의 장소이다. 대기 중 에어러솔은 미량독성 물질의 장거리 이동시 그 운반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본 연구는 제주 고산에서 2002년 11월 2주간의 집중 측정기간동안 측정된 라이다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고산 지역에서의 에어러솔 수직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Components in $PM_{2.5}$ at Gosan in Jeju-do ; March in 2002 (제주도 고산에서의 $PM_{2.5}$ 중 중금속성분 특성 분석)

  • 문광주;한진석;공부주;홍유덕;김정은;김영준;최덕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45-146
    • /
    • 2002
  • 대기중의 유해 에어로솔의 장거리 이동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2002년 3월 29일부터 4월 11일까지 제주도 서쪽 끝에 위치한 고산사이트에서 Filter Pack을 사용한 PM$_{2.5}$ 에어로솔의 샘플링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제주도 고산지역 대기 중 PM$_{2.5}$ 중 중금속 성분을 측정하여, 오염물질의 배출원 추정 및 장거리 이동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중략)(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