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어 동특성

Search Result 76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tatic Characteris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 Experiment of First-stage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1단 비례 압력제어밸브의 정특성 및 동특성 실험)

  • Jeong, Heon-Sul;Nam, Ji-Woo;Lim, Hyo-Joon;Jung, Seung-Wook;Han, Sung-Min
    • 유공압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8-24
    • /
    • 2010
  • Because of the increasing demand on the high precision and high response of a machinery, electronic control valves are widely adopted at various application fields. This paper studies on the static characteristic of a first-stage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At first an experimental apparatus including hyd. pump variable speed inverter, pressure and data aquisition system was setted up with the experimental apparatus, various tests such as P-Q-W test, hyd, pump, dynamic, static, frequency response test of the proportional valve was carride out and the results are discussed.

  • PDF

Development of Teleoperation System with a Forward Dynamics Compensation Method for a Virtual Robot (가상 슬레이브 정동역학 보정에 기반한 원격제어 시스템 개발)

  • Yang, Jeong-Ye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7
    • /
    • pp.322-329
    • /
    • 2018
  • Teleoperation is defined with a master device that gives control command and a slave robot in a remote site. In this field, it is common that a human operator executes and experiences teleoperation with a virtual slave, and preliminary learns dynamic characteristic and network environment from both agents. Generally, a virtual slave has neglected forward dynamics and its kinematic model has been implemented in computer graphics. This makes a operator to experience actual feelings. This paper proposes a dynamic teleoperation model in which a robotic forward model is applied. Also, a novel compensation method is proposed to reduce the numerical error problems in forward dynamics caused by low control sampling rate. Finally, its results will be compared to the teleoperation in an actual environment.

Stabilization System for Mobile Antenna Gimbal based on Dynamic Characteristics Analysis (동특성 해석에 기반한 이동용 안테나 김발 안정화 시스템)

  • Lee, Ki-Nam;Lee, Byoung-Ho;Lee, Jeung;Kim, Jie-Eok;Song, Jae-B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7 no.7
    • /
    • pp.851-856
    • /
    • 2013
  • Recently, as the tactical environment has changedto one of network-centric warfare, where all components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much emphasis has been placed on the use of an artificial satellite for achieving high communication speeds. To provide a high-quality artificial satellite link, stabilization is very important in a platform. Previous stabilization control techniques used PI control, which is commonly used for vessels. However, for ground terminals that require a higher communication speed, the antenna should move faster to track an artificial satellit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Moreover, the terminals must be equipped with proper sensors and algorithms so that they can detect and compensate for external disturbances while tracking the artificial satellite.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ynamic model of an antenna system, a stabilization algorithm for ground terminals was proposed;this algorithm shows high isolation performance in the low-frequency range and includes $PI^2$ control.

DQ Synchronous Reference Frame Model of A Series-Parallel Tuned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and Current Controller (직렬-병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DQ 동기 좌표계 모델 및 전류제어기)

  • Noh, Eunchong;Lee, Sangmin;Lee,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181-18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DQ 변환을 적용한 직렬-병렬 공진형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기 좌표계 모델과 이를 이용한 전류제어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급전 측과 집전 측에 단상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상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수식을 이용하여 부하에 전달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과도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동특성이 원하는 특성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렬-병렬 공진형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단상 전압 및 전류를 DQ 변환하여 과도 상태 및 정상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동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등가 회로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과도 상태 제어를 위한 고성능 전류 제어기를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Helicopter Trajectory Tracking Control using Neural Networks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헬리콥터 궤적추종제어 연구)

  • Kim, Yeong Il;Lee, Sang Cheol;Kim, Byeong 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3
    • /
    • pp.50-57
    • /
    • 2003
  • In the paper,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a helicopter trajectory tracking controller are presented. The control algorithm is implemented using the feedback linearization technique and the two time-scale separation architecture. In addition, and on-line adaptive architecture that employs a neural network compensating the model inversion error caused by the deficiency of full knowledge of helicopter dynamic is applied to augment the attitude control system. Trajectory tracking performance of the control system in evaluated using modified TMAN simulation program representing as Apache helicopter. It is show that the on-line neural network in an adaptive control architecture is very effective in dealing with the performance depreciation problem of the trajectory tracking control caused by insufficient information of dynamics.

A study on the real time simulation of continuous dynamic system using a multiprocessor (Multiprocessor를 이용한 연속 동특성계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 곽병철;양해원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86.10a
    • /
    • pp.619-622
    • /
    • 1986
  •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탈 전산기는 연산처리 능력이 더욱 빨라지고, 더욱 큰 기억용량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산업공정, 화학프랜트, 원자력발전 및 항공분야 등의 복잡한 연속 동특성계에 대한 실시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복잡한 연속 동특성계의 시뮬레이션 목적으로 Multiprocessor 형태의 전산기가 개발되었다. 이 Multiprocessor형태의 전산기는 D/A 변환기와 A/D 변환기를 갖추므로써 실시간 실물 모의시험(A real time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시의 컴퓨터와 외부장비와의 데이타 전달이 용이하여 졌다. 본 연구에서는 비행체의 비행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조종장치의 설계해석 및 성능시험을 위하여 Multiprocessor를 이용하여 실시간 실물 모의실험이 가능함을 보였다. 본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전산기는 AD10 전산기이다.

  • PDF

Auto-tuning of PID Controller using Neural Network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PID 제어기 자동동조)

  • Oh, Hun;Choi, Seok-Ho;Yoon, Yang-Wo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2 no.3
    • /
    • pp.7-13
    • /
    • 1998
  • In this paper, the control technique that ID controller are autotuned according to system dynamics, driving out sample in the changeable limits of system dynamics and learning neural network, is presented. In order to lean neural network, the backpropagation learning algorithm is used and the controller parameters obtained by rule-base are used as teacher's values. When load changes, the auto-tuning of PID controller proper to system dynamics is conformed by simulation.

  • PDF

Micro-vibration Control in Concrete Slabs (콘크리트 슬래브의 미진동 제어)

  • 노병철;변근주;양재성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2 no.4
    • /
    • pp.63-72
    • /
    • 1998
  •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chnique for micro-vibration analysis and control of concrete slabs to fulfil the vibration criteria for working environments. The proposed technique is for determining the unknown forces from accelerance of two concerned points and the micro-vibration analysis and control of concrete slabs are then validated by numerical model and structural tests. And it is recommended that the natural frequency of structures for micro-vibration control design should be above 25 Hz~30 Hz, and 1.5 times forcing frequency in case of 3~5% structural damping ratio of concrete structures.

  • PDF

선단압력을 고려한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의 정특성 및 동특성 해석

  • 김종수;김경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8.11a
    • /
    • pp.57-66
    • /
    • 1988
  •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은 베어링틈새가 원주방향으로 불연속적이므로 패드선단의 약간 전방에서 압력이 상승하기 시작하여 패드선단에서는 주변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나타낸다. 이를 선단압력(lnlet pressure or Ram-pressure)이라한다. 추력식 베어링에 대해 선단압력을 고려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선단압력은 베어링의 틈새에서 발생하는 유막압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잇다.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에 대해 정특성 해석을 한바 있으나 선단압력을 고려한 틸팅-패드 베어링의 동특성을 해석한 연구는 아직 없다. 실제로 틸팅-패드 저어널 제어링에서도 선단압력이 0이 아님이 알려져 있으므로 정특성 및 동특성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각 패드 입구부에서 발생하는 선단압력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한폭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에 대하여 선단압력을 고려하여 정특성 및 동특성을 해석하고 선단압력이 베어링의 정특성 및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Design of Wavelet Neural Network Based Predictive Control System for the Path Tracking of Mobile Robots (이동 로봇의 경로 추종을 위한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 기반 예측 구어 시스템의 설계)

  • Song, Yong-Tae;Park, Jin-Bae;Choi, Yoon-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329-233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이동 로봇의 경로 추종 제어를 위해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에 기반한 예측 제어기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에 의해 설계된 제어기는 이동 로봇의 동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웨이블릿 신경회로망 기반 예측기와 예측 제어기로 구성된다. 제안한 방법에서 모델링 및 제어기로 적용되는 신경 회로망의 장점과 우수한 해석 능력을 가진 웨이블릿 변환의 장점을 결합한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을 이용하여 이동 로븟의 동특성을 모델링하여 예측 제어기에서의 비용 함수 최소화에 적용한다. 경로 추종 제어의 목적인 이동 로봇의 실제 출력과 예측기의 출력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의 파라미터 동정 및 예측 제어기는 경사 하강법을 이용하여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예측 제어 시스템의 적용가능성 및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